• 제목/요약/키워드: 혼합무게비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3초

반영구적 대전방지 코팅액의 배합 및 물성 고찰 (Formul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rmal Curable Antistatic Agent)

  • 이도현;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68
    • /
    • 2000
  • 긴 사슬의 알킬기를 가진 4차 암모늄염으로서 다수의 하이드록시기(OH)가 있는 대전방지 단량체(Ultramer 5212)를 합성하여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여러 종류의 폴리올과 반응하여 대전방지 코팅액을 배합하였다. 대전방지 단량체의 첨가량은 배합시 사용한 폴리올의 양을 기준으로 무게비(wt%)로 5부터 30 %까지 변화하였다. 열경화 실험은 VET 필름을 사용하여 경화온도 80와 160℃에서 수행하였다. 코팅된 PET 필름의 표면저항은 대전방지 단량체가 무게비로 10 % 첨가될 매까지 감소하였으나 첨가량이 10 %이상이 되었을 때는 오히려 약간 증가하였다. 코팅액 베합시 혼합용매는 코팅액 점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코팅액의 점도가 클수록 코팅표면의 투명도는 좋지 않았고 메틸에틸키톤(MEK)이 혼합용매로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코팅액 배합조건 중 폴리올과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의 비율은 몰비로 1: 1일 때가 가장 좋았으며 반응성 대전방지제의 내수성은 일반 첨가형 대전방지제보다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Streptococcus oralis의 인공치태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STREPTOCOCCUS ORALIS ON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 김선미;양규호;정성수;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87
    • /
    • 1999
  • 이 연구는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의 치태형성과 증식에 대한 Streptococcus oralis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 mutans 단독 배양과 S. mutans와 S. oralis 혼합 배양후 형성된 치태 무게와 생균수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치태형성과 생균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 mutans와 S. oralis의 혼합배양시 S. mutans 단독배양에 비해 치태무게와 생균수가 감소되었다. 2. S. mutans 단독배양에 10mM의 포도당을 첨가한 군은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치태무게가 증가되었으나, S. mutans와 S. oralis의 혼합배양에 10mM의 포도당을 첨가한 군은 첨가하지 않은 군과 차이가 없었다. 3. S. mutans 단독배양에 10mM의 과당을 첨가한 군은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치태무게가 증가되었고, S. mutans와 S. oralis의 혼합배양에 10mM의 과당을 첨가한 군도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치태무게가 증가되었다. 4. S. mutans와 S. oralis의 혼합농도를 달리하여 배양했을때 S. oralis의 혼합농도가 높아질수록 치태무게와 생균수는 감소되었다. 5. 배양시간(6, 9, 12, 15시간)에 따른 치태무게와 생균수는 S. mutans 단독배양에 비해 S. mutans와 S. oralis 혼합배양시 배양 12시간 이후 급격히 감소되었다. 6. S. mutans와 S. oralis의 혼합배양에 $H_2O_2$를 소비하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첨가한 군은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치태무게와 생균수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S. oralis는 S. mutans와 혼합배양 시 S. mutans의 증식과 인공치태의 생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S. oralis가 $H_2O_2$를 분비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임이 시사되었다.

  • PDF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 혼합식이에 의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의 비만 억제효과 (Antiobese Effects of Diet Containing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서동주;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22-1527
    • /
    • 2009
  • 우리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및 혈장 지질 농도에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MPWEs) 혼합식이가 어떤 영향들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MPWEs 혼합식이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는 11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켰다. 마지막 6주 동안, 계속해서 고지방식이(HFD)만 섭취시키거나 고지방식이에 MPWEs(5 g/kg, HFD+MPWEs)이나 고지방식이에 orlistat[0.5 g/kg, HFD+orlistat(항비만 약)]을 섞어 섭취시켰다. HF-free군은 11주 동안 일반 식이를 섭취시켰다. 11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장 지질 수준, 몸무게, 간 무게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MPWEs를 함유하고 있는 식이는 몸무게, 간 무게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와 마찬가지로 혈장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혈당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혈장 중성지방 수준은 6주 동안 orlistat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HFD+orlistat)에서 현저히 낮았고 MPWEs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HFD+MPWEs)의 그것과 유사하였다. 고지방식이군 마우스의 지방세포크기가 일반식이군의 그것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MPWEs와 orlistat(positive control)는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나 orlistat가 MPWEs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MPWEs 섭취는 몸무게 증가, 지방세포 형성 및 지방세포 크기 증가를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비전분성 탄수화물 분해효소 혼합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중 대사물질, 및 장내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Starch Carbohydrase Supplementation on Productivity, Blood Parameters, and Cecal Microorganisms in Broiler Chickens)

  • 선상수;박철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37-443
    • /
    • 2019
  • 본 연구는 혼합효소제를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하였을때 생산성, 혈액성분, 및 장내 미생물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병아리(Ross 308) 300수를 공시하여 5개의 처리구 (대조구, 0.5MXG, 1.0MXG, 2.0MXG 와 1.0G)에 완전 임의배치하고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결과는 체중,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및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MXG 효소 처리구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도체중, 근위, 심장의 무게는 대조구에 비하여 효소 첨가구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나, 이는 도체중의 증가에 대한 영향으로 보인다. 그러나, 간장의 무게는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장내 전체 세균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효소 첨가구(MXG)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혈액성분 중에서 total protein, 혈중요소태질소(BUN) 와 포도당 함량은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면역항체인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1.0 과 2.0 MXG 혼합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결론적으로 혼합효소제 첨가는 육계에서 사료효율과 IgG 수준은 향상시켰으며, 간장의 무게와 장내 세균숫자는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매실을 첨가한 한방스포츠음료가 흰쥐의 혈중지질 및 운동수행력 증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Sports Drinks Containing Prunus mume Fruit Extract on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Endurance of Rats)

  • 김영제;정운주;이기동;최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09-1416
    • /
    • 2012
  • 본 연구는 한방소재인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단일음료형태 또는 매실을 첨가한 혼합음료 형태로 음용하였을 때 이들 한방스포츠음료가 운동 시의 지구력 및 체지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조군(C)과 가시오가피(A), 맥문동(L) 추출물 음료 급여군, 매실과 가시오가피 추출물 혼합음료(PA), 매실과 맥문동 추출물 혼합음료(PL) 급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점증부하 운동을 실시한 후, 실험 마지막 날 최대 운동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한방스포츠음료의 음용은 식이효율뿐만 아니라 체중증가량과 신주위 백색지방 무게를 낮추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부고환 지방과 견갑골 백색지방 무게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5). 특히 매실 혼합추출물인 PA와 PL군의 식이섭취량 및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반면 비복근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중 A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p<0.05). 또한 A의 음용으로 가자미근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유리지방산과 당 농도는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음료군 중 A군이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증가시킨 반면, 혈장 당 농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장 중성지질 농도가 C군에 비해 A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군은 지방을 주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탄수화물을 절약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p<0.05). 운동수행시간이 맥문동을 제외한 3종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매실과 혼합하여 공급한 혼합음료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편, 혈장 피로물질인 암모니아, 젖산, 무기인산 농도와 혈장 근육효소 활성도는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비복근조직의 LDH 효소 활성도는 PA군과 PL군이 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대 운동수행시간과도 일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구력운동과 함께 급여한 4종 한방스포츠음료는 체지방과 체중 감소 및 혈장 중성지질개선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방스포츠음료섭취에 의한 식이효율 감소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맥문동 추출물에 비해 근육량, 운동수행시간,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를 증가시키고 혈장 중성지질과 당 농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으며, 매실 추출물 첨가에 의해 이러한 변화가 증가(운동수행시간)하거나 감소(근육량, 혈장 중성지질, 유리지방산 및 당 농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매실, 가시오가피, 맥문동 혼합음료의 지구력 증강 효능이 피로물질 변화, 체내에너지기질 이용도 증가 및 비복근 LDH 활성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추후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n-Zn ferrite 廢棄物과 시멘트를 이용한 電波吸收體 (Microwave Absorber Prepared by Using the Wasted Mn-Zn Ferrite and the Cement)

  • 조완식;김종오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6호
    • /
    • pp.31-35
    • /
    • 2000
  • Mn-Zn ferrite 폐기물을 시멘트와 혼합한 복합전파흡수체를 제작하여 재료정수 및 반사감쇠량을 조사하였다. 지지재로 사용한 시멘트는 실리콘 고무의 재료정수와 비교하여 높은 복소유전율($\varepsilon$=$_{r}$': 7.6, $\varepsilon_{r}$ ": 0.6)을 나타내었고, Mn-Zn ferrite 폐기물과 시멘트의 혼합무게비(F/C)가 증가함에 따라 복소유전율은 감소하였고, 복소투자율은 증가하였다. 최대반사감쇠량을 나타내는 주파수는 F/C가 1에서 3으로 증가함에 따라 2.7 GHz에서1.3 GHz로 감소하였고, 정합두께는 8.7 mm에서 12.7 mm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모든 시편에서 최대반사감쇠량은 -40 dB 이상으로 Mn-Zn ferrite 폐기물을 전파흡수체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의 개발 (II) - 추와 날개끝 추의 무게에 따른 모형어구의 전개성능 - (Development for Fishing Gear and Method of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Net (II) - Opening Efficiency of the Model Net according to Front Weight and Wing-end Weight -)

  • 유제범;이주희;이춘우;권병국;김정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3호
    • /
    • pp.189-196
    • /
    • 2003
  •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은 유속에 관계없이 뜸줄은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되고 뜸줄의 깊이 변화가 없었다 또한, 뜸이 없기 때문에 부력은 작용하지 않지만 아래 끌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망고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부자 썽끌이 중층망의 전개성능은 발줄의 침자 외에도 추(Front weight)와 날개끝 추(Wing-end weight)의 침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었다. 연구는 회류수조에서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무부자쌍끌이 중층망의 추와 날개끝 추의 무게에 따른 전개 성능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기준형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체저항은 유속이 2.0∼5.0knot로 증가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느린 유속에서는 저항의 증가폭이 작지만, 유속이 빠를 때는 저항의 증가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추의 무게 및 날개끝 추의 무게의 증가함에 따라서도 유체저항은 증가 하였다. 2. 망고는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망고의 감소율은 기준형보다 무부자망이 낮았다. 추의 무게가 0.70ton 에서 1.75ton으로 증가할 때 각 단계별로 약 2m씩, 날개끝 추의 무게가 0.28ton에서 1.11ton으로 증가할 때 각 단계별로 약 1m씩 각각 망고가 증가하였다. 망폭은 기준형보다 모든 무부자망이 약 10m 정도 더 컸으며, 추와 날개끝 추의 무게가 증가햄에 따라 그 변화폭은 2m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다. 3. 망구면적은 추의 무게가 1.75ton 일 때, 날개끝 추의 무게가 1.11ton일 때 최대가 되었고 유속이 2.0∼3.0knot에서는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작았으나, 4.0-5.0knot에서는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더컸다. 4. 여과량은 기준형에서는 3.0knot일 때, 무부자망에서는 4.0knot일 때 각각 최대가 되었으며, 추의 적정무게는 1.40ton이었다. 팀은 환자가 원하는 영적 간호를 실시하도록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된다. 통하여 움직임 감소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장기 중 횡격막 움직임의 범위가 감소함과 동시에 CTV-PTV 마진이 크게 줄어드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흉부 또는 복부에 종양을 가진 환자 치료 시 더욱 질 높은 방사선 치료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한다. 30∼40% 정도 느렸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도 퍼레니얼라이그라스 100% 단일종류에 비해 20∼30%정도 늦었다. 따라서, 뗏장 재배시 여러 종류의 초종을 천편일률적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컨셉에 따라 적절하게 초종 및 품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 뗏장의 뿌리 형성 능력은 퍼레니얼라이그라스가 가장 좋았고, 가장 저조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다.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혼합구의 뗏장 형성 능력은 초종의 혼합비에 따라 뿌리 형성력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혼합비율이 많을수록 뿌리 형성 능력은 증가하였다. 6. 뗏장 수확시 잔디 품질은 단일 초종구의 품질이 혼합구에 비해 양호하였는데 가장 우수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고,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 다음으로 중간정도, 그리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가장 저조하였다. 켄터키블루그라스는 균일한 잔디 면, 고밀도 및 예초 후 상태가 우수한 특성으로 품질이 양호하였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품질이 저조하였던 것은 초장이 길어 잔디 면이 누운 상태로 나타나 균일도 저하 및 예초 후 품질이 켄터키블루그라스나 톨훼스큐 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혼합구의 품질은 여러 종류가 혼합됨으로 인해 색상 및 밀도의 균일도가 떨어지고, 또한 예초 시 물결처럼 불균일하게 깎여 잔디 표면이 불량하였기 때문이었다. 7. 골프장이나 경기장 기본 설계 시 초기 피복도 및 뿌리 형성력이

격파용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Rice Seed Pelleting Machine for Direct Seeding in Rice Cultivation)

  • 박종수;유수남;최영수;유대성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4
    • /
    • 2002
  •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벼 종자, 상토, 흔합 접착액 등 펠렛재료를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회전 성형롤에 공급, 압축성형 배출함으로써 직경 12 mm의 구형 벼 펠렛종자를 제조할 수 있는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를 설계·제작하였다. 나. 설계·제작된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의 제조능력은 시간 당 약 13,000 개 ∼ 37,000 개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성형률은 약 61% ∼ 71%였다. 하지만 벼 종자 손실률은 약 17% ∼ 48%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펠렛재료의 손실과 종자손상을 줄이기 위한 성형롤 및 펠렛재료 공급장치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 제조된 펠렛종자의 무게는 제조 직후에는 1.66 g, 완전 건조 후에는 약 1.3 g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펠렛종자의 직경은 약 12.0 mm에서 건조 후 약 11.2 mm로 축소되었다. 라. 제조된 한 개의 벼 펠렛종자 내 포함된 벼 종자의 개수는 상토와 벼 종자의 혼합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혼합비 6 : 1에서 펠렛종자 당 종자 개수는 4.1 립, 혼합비 7 : 1에서 3.6 립, 그리고 혼합비 8 : 1에서는 3.1 립으로 나타났다. 마. 건조 후 벼 펠렛종자의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기를 이용한 경우는 118 N ∼ 137 N, 음지 건조의 경우는 88 N ∼ 108 N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체적으로 운반 및 파종 과정에서의 취급성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PDF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식물혼합 추출물의 체지방 형성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Adipo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장영선;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39-14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체중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 조사 및 소화 효소 억제실험을 통하여 녹차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상엽추출물을 소재로 하여 체중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체지방 개선 효능이 있는 식물혼합 추출물(PEM)을 선별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부고환, 복막후, 장간막 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에 식물혼합 추출물이 어떤 영향들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lard 20%; 200 g/kg)를 급여한 고지방식이군과 고지방식이에 식물혼합 추출물을 1%(10 g/kg)을 급여한 PEM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은 정상식이를 섭취한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청 지질 수준,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식물혼합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이는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 및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을 고지방식이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식이 급여로 증가된 체중 및 지방조직 무게를 감소시키고, 혈청지질 조성을 개선시킨 식물혼합 추출물은 고지방 식사로 인한 고지혈증 및 비만과 같은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므로 항비만용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이용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단일 및 이중도포에 의한 삼파장형광등의 제조시 목표광색의 조합에 관한 연구 (Color Matching in Production of Tri-color Fluorescent Lamp Coated by Single and Double Layer)

  • 김성래;하백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1999
  • 삼파장 형광등의 제작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원하는 목표 색을 맞추기 위하여 혼합하는 세 가지 형광물질의 혼합비율이다. 한 형광체의 광 스펙트럼이 약간 변형되거나, 공정변수에 의하여 변경되거나, Ar과 Kr 같은 불활성가스의 스펙트럼이 혼재하거나 또는 재래 할로인산칼슘이 공존할 경우 원하는 정확한 색을 찾기가 매우 힘들어지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원하는 목표 색을 빠르게 찾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세 개의 각각의 단일색의 형광등과 3색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한 형광등을 만들고 각각의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이로부터 알곤과 수은의 스펙트럼을 빼서 변형 색 좌표를 얻었다. 이 변형 색 좌표로부터 적생에 대한 청색과 녹색의 광속비를 그의 무게 비에 대하여 도시하여 무게 대 광속비의 관계를 구하였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생산라인에서 삼파장 형광체의 단일 도포 및 할로인산칼슘을 1차로 도포하는 2중 도포를 실시하여 목표색을 조합해본 결과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