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잡지각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점포내 밀집도 수준과 지각된 혼잡성이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성무;정석진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1999년도 공동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9-246
    • /
    • 1999
  • 구매환경이 포함하고 있는 상황적 요인은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루어진 연구들은 의사결정이 발생되는 특정 시점이나 장소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상황적 요인은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Belk(1975)는 상황적 영향력(situational influence)이란 현재의 행위에 명백하고 구체적인 효과를 미치는 특정 시점(time) 및 장소(place)와 관계되는 요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중략)

  • PDF

점포 밀도와 세일의 가격혜택이 혼잡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e Density and Perceived Price Benefit of Sale on Perceived Crowding)

  • 박경애;허순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13-62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1) the effect of store density on perceived crowding 2) the difference of perceived price benefit of sale by store density 3) the effect of perceived price benefit and store density on perceived crowding and 4) the effect of perceived crowding and price benefit on shopping behaviors. Store density and perceived crowding were categorized into social and spatial dimensions. Data were collected with 6 (high, medium, and low social and spatial densities) * 2 (sale and no-sale)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s. A total of 395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density affected social crowding, but spatial density had no effect on perceived crowding. Price benefit of sale was not different by store density. The sale itself did not affect perceived crowding. Under the social density situation, perceived price benefit reduced spatial crowding and social crowding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behavior while spatial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However,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purchase behavior was price benefit. The study implies that social density (not spatial density) is important for consumer behavior and retail strategies.

외식기업의 레스토랑 환경과 혼잡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taurant Envirionment and Crowding in Foodservice Company)

  • 양태석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6년도 제41차 정기하계학술세미나
    • /
    • pp.115-13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a period from July 4 to 30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taurant environment up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crowdedness awareness. Total 800set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mong major food service corporations. They were 16 restaurants from McDonald, Burger King, Popeyes, KFC, Rits Carlton, Intercontinental, The Westin Chosun, Hilton, Merriot, Outback Steak House, Bennigans, VIPS, Pizza Hut Pul-hyanggi(Scent of grass), Nolboo Co.,, and Our Story, and received 50 see each to hand out to their customers. Out of total 800 sets of questionnaires, 592 sets (74.25% were retrieved and underwen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among each variable of restaurant environment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owding, 'pTast service' and 'responsiveness to customer complaints' sooted a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0.381 and 0.325 respectively. Second, among each restaurant environment factor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owding, 'quality of facility' soot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0.423 with a standard error score 0.1074, fellowed by 'status of waiting', 'overall ambience' and 'service quality' in ascending order.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upon the satisfaction rate, 'status of waiting' show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0.3821 with a standard error score 0.4565, followed by 'cleanliness', 'service quality' and 'conveniency', in ascending order.

  • PDF

치유의 숲에서 다른 유형의 소리가 방문객의 기분상태(Profile of Mood States: POM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ounds on Visitors' Profile of Mood States (POMS) in a Healing Forest Area)

  • 김상오;김상미;박승찬;최솔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3-433
    • /
    • 2016
  • 본 연구는 치유의 숲에서 다른 유형의 소리(무음, 자연, 음악, 아이들 노는 소리)가 방문객의 기분상태(Profile of Mood States: POMS)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자료는 2012년 10월 중 장성 '축령산편백치유의 숲' 내에 위치한 '치유필드'를 이용하는 231명의 방문객으로부터 수집되었다. 각 피실험자는 각기 다른 유형의 소리에 노출되었으며 실험용 소리가 장착된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설문에 답변하였다. 실험결과, 기대했던 대로 '아이들 노는 소리' 노출 그룹이 타 그룹에 비해 높은 부정적 기분상태를 나타냈다. 그러나 예측과 달리 자연소리와 음악소리는 피실험자의 POMS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총 기분장애 점수(Total Mood Disturbance Score: TMDS)뿐만 아니라 요인별(불안, 분노, 활력, 피로, 혼란, 우울) POMS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혼잡지각(Perceived Crowding)수준과 TMDS(r=0.568) 및 하위 요인별 기분상태(r=0.331-0.571)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구의 결과에 대한 토의와 더불어 관리적 차원에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무등산국립공원 서석대 구간의 탐방객 조우수와 허용가능 조우수 (Encounters and Acceptable Number of Encounters at the Seoseokdae Trail Section of Mudeungsan National Park)

  • 김상미;김상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54-465
    • /
    • 2020
  •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의 서석대 탐방구간(Seoseokdae Trail Section: STS)의 탐방객수 관리 상태 진단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석대 정상부(Seoseokdae summit area: SSA)에서의 조우수 측정 및 조우수에 대한 평가기준(허용 가능 조우수) 설정이 이루어졌다. 데이터는 2019년 6월 중 편의표본추출에 의해 선정된 263명의 STS 탐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SSA에서의 평균 조우수는 18.7명으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응답자(95.4%)가 SSA에서 다른 탐방객을 30명 이하로 본 것으로 나타났다. SSA에서의 15분 간격 평균 동시 최대이용객수는 13.4명(범위 3-31명)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 동시 최대이용객수는 13-14시(21.0명), 11-12시(19.8명), 14-15시(15.5명), 12-13시(15.3명), 10-11시(12.3명), 8-9시(10.8명) 등 순으로 많았다. 두 가지 평가기준 설정방법, 즉 긴 질문 형식(Long-question format: LQF)과 짧은 질문 형식(Short-question format: SQF)을 적용한 결과, LQF에 의한 SSA에서의 허용가능 조우수(Acceptable encounter number: AEN)는 59.2명, SQF에 의한 AEN은 55.1명으로 나타났다. SSA에서의 현재 조우수인 18.7명과 동시 최대이용객수(범위: 3-31명)는 LQF 및 SQF에 의해 각각 산출된 AEN보다 적었다. 응답자의 83.0%가 STS에서 '진정한 자연경험에 가까운 경험'을 선호하였으며, 단지 10.0%의 응답자만이 '유원지/관광지와 같은 경험'을 선호하였다. '자연경험에 가까운 경험'을 선호하는 응답자의 AEN은 27.5명으로 '유원지/관광지와 같은 경험'을 선호하는 응답자의 AEN(46.6명)보다 적었다. 응답자의 78.4%는 SSA에서 전혀 혼잡을 느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92.3%)의 SSA에서의 조우수에 대한 개인 허용기준은 그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느끼는 지각 조우수(Perceived encounter numbers: PEN)보다 높았으며 응답자의 조우수에 대한 개인기준과 그들의 PEN의 차이는 혼잡 지각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지각패널티와 변동요금에 의한 교통류 분석 연구 (Traffic Flow Analysis by Delay Penalty and Road Pricing)

  • 변완희;김주현;최병국;송두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80
    • /
    • 2005
  • 과거 혼잡세 이론의 초기부터 주장되어온 변동요금징수 체계는 최근 텔레매틱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기술적 제약이 해결되면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변동요금 체계와 관련하여 교통정보와 요금의 변화가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로부터 변동요금에 의한 교통류 관리 방안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고패널티 운전자와 저패널티 운전자간의 시간가치가 달라 요금에 대한 저항이 다르다는 것, 통행요금이 증가하면 운전자들의 요금저항 역시 증가하여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에의 이용자 전환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행요금, 고패널티 운전자비율과 평균소요시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서는, 동일한 통행요금 체계일지라도 도로 네트워크내의 고패널티 운전자 비율에 따라서 교통류 상태가 가변적이라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지각패널티와 통행요금에 의한 효율적인 교통류 관리방안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다차원척도법(多次元尺度法)을 이용(利用)한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포지셔닝 (Positioning of Recreation Forest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 강미희;김성일;홍성권;이태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33-141
    • /
    • 1999
  • 본 연구는 다차원척도법을 적용하여 자연휴양림이 일반국민들에게 어떤 이미지로 지각되며 국립공원을 비롯한 국내 대표적인 휴양지들과 어떤 경쟁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여 자연휴양림에 대한 기존 관리정책을 평가하고 효과적이며 합리적인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단계 군집추출방법으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시민 1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연휴양림을 포지셔닝한 결과, 서울과 지방 등 거주지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국민들은 자연휴양림이 바가지 요금이 없는, 자연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혼잡하지 않은 휴양장소로 지각하였다. 자연휴양림은 국립공원과 심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지각되었으므로 차별화된 이미지 개발 등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 PDF

상업용 스포츠센터의 물리적 증거와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vidence and Performance of Commercial Sport Centers)

  • 원구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6권
    • /
    • pp.61-76
    • /
    • 2003
  • 스포츠센터의 참여수요의 절대적인 증가로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의 사업환경 변화에 따라서 노후화된 많은 스포츠센터는 시설규모 및 부대시설의 한계로 인한 이용의 혼잡성을 초래하여 소비자의 불만족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스포츠시설 공간과 운동기구 및 부대시설의 쾌적성 유지를 통한 소비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경영전략수립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스포츠센터의 물리적 증거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물리적 증거가 전반적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과 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여 마케팅 관리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물리적 증거요인이 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유형적 단서들에 대한 긍정적 지각으로 형성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향상이 고객애호도로 연결되어 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외식기업의 레스토랑 환경과 혼잡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taurant Environment and Crowdedness in Foodservice Company)

  • 박영배;양태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3-7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taurant environment up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crowdedness awareness from July 4 to 30. Total 800 set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mong major foodservice corporations including 16 restaurants from McDonald, Burger King, Popeyes, KFC, Ritz Carlton, Intercontinental, The Westin Chosun, Hilton, Merriot, Outback Steak House, Bennigans, VIPS, Pizza Hut, Pul-hyanggi(Scent of grass), Nolboo Co., and Our Story. They received 50 sets each to hand out to their customers. Out of total 800 sets of questionnaires, 592 sets (74.25%) were retrieved and underw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among each variable of restaurant environment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owdedness, "fast service" and "responsiveness to customer complaints" scored a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0.381 and 0.325 respectively. Second, among each restaurant environment factor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owdedness, "quality of facilities" scor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0.423 with a standard error score 0.1074, followed by "condition of waiting", "overall ambience" and "service quality" in ascending order.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upon the satisfaction rate, "condition of waiting" showe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0.3821 with a standard error score 0.4565, followed by "cleanliness", "service quality" and "convenience', in ascending order.

  • PDF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수용능력에 관한 연구(III) -혼잡도 지각과 만족도에 근거한 심리적 수용능력의 추정- (A Study on the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of Lawn Areas in Parks(III) -Estimation of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 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3-102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of lawn areas in parks.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This part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based on the perception of crowding level and recreation satisfaction of users.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lawn areas of Doturag World and Seorabul Plaza in Bomun Resort Complex in Kyungju.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regression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use density of lawn area and level of perceived crowding, the capacity was estimated as 60.0㎡ man. 2.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use density of lawn areas and total recreation satisfaction, the capacity was estimated as 48.5㎡/man. 3.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use density of lawn areas and satisfaction to use density, the capacity was estimated as 63.2㎡/man. 4. As a conclusion,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was estimated as 60.0㎡/man. And this value is based on user's perception of crowding and recreation satisfaction level for each use dens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