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oning of Recreation Forest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다차원척도법(多次元尺度法)을 이용(利用)한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포지셔닝

  • Kang, Mi-Hee (Dep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Il (Dep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ng, Sung-Kwon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Lee, Tae-Hee (Dept. of Tourism Science, Graduate School of Transportation and Tourism, Myoungji University)
  • 강미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성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홍성권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원예과학과) ;
  • 이태희 (명지대학교 교통관광대학원 관광학과)
  • Received : 1998.11.24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esent management policy of recreation forest under competitive environment with similar types of recreation areas like national parks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using a 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 Data were collected from 1200 residents of Seoul, Pusan, Taegu, Kwangju, and Taejon sampled by two stage cluster sampling method. There were some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Seoul residents and the others, but most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recreation forests as uncrowded natural areas with reasonable use fees. The results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have distinguishing images from national parks that have competitive.

본 연구는 다차원척도법을 적용하여 자연휴양림이 일반국민들에게 어떤 이미지로 지각되며 국립공원을 비롯한 국내 대표적인 휴양지들과 어떤 경쟁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여 자연휴양림에 대한 기존 관리정책을 평가하고 효과적이며 합리적인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단계 군집추출방법으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시민 1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연휴양림을 포지셔닝한 결과, 서울과 지방 등 거주지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국민들은 자연휴양림이 바가지 요금이 없는, 자연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혼잡하지 않은 휴양장소로 지각하였다. 자연휴양림은 국립공원과 심한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지각되었으므로 차별화된 이미지 개발 등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