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 훈련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7초

기초연기 교육과정에서 발성 이전 단계의 호흡훈련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Breathing Training Method at the Pre-phonation Stage in Beginning Acting Class)

  • 최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8-87
    • /
    • 2015
  • 배우로서 좋은 화술을 구사하기 위해 자연스런 호흡과 발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발성 이전 단계인 호흡 훈련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논구하고 있다. 기존의 호흡과 발성훈련에 대한 연구는 성악, 요가, 단전호흡, 의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 주류를 이룬 반면에, 배우의 연기훈련의 일환으로 되어진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더구나 그러한 연구도 대체적으로 호흡과 발성, 화술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연구 법위를 좁혀 발성 이전 단계의 호흡훈련, 특히 배우의 상상력과 이미지를 통해 극 속에서 존재할 법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호흡하는 훈련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호흡훈련보조기구를 이용한 호흡훈련 전 후의 폐기능 호흡근력과 최대발성지속시간의 변화 (Pulmonary Functionn and the Maximal Inspiratory and Expiratory Pressure, and Maximum Phonation Time Before and After the Specially Programmed Training)

  • 남도현;최홍식;안철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8-93
    • /
    • 2003
  • 성악훈련을 받고있는 여학생들은 호흡훈련과 호흡훈련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훈련을 하면서 발성연습을 하면 최대호기압과 최대흡기압이 증가하여 호흡근육의 근력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호흡기능에는 변화가 없어 호흡훈련에 의해 폐기능이 증진되지는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최대발성지속시간 역시 크게 증가하여 성악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이 방법대로 훈련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을까 추정된다.

  • PDF

폐암 환자의 호흡훈련에 의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계획의 유용성 평가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simulation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Training with lung cancer)

  • 홍미란;김철종;박수연;최재원;표홍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9-159
    • /
    • 2016
  • 목 적 : 폐암환자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계획 시 호흡 훈련 전후 RPM 신호와 횡격막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호흡 훈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6년 4월부터 8월까지 호흡 동조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호흡 훈련을 시행하였고 동시에 RPM 신호 및 횡격막 영상을 획득하였다. 호흡 훈련은 총 3단계로 1단계 자유 호흡 상태의 신호 획득, 2단계 호흡 신호 가이드를 통한 1차 호흡 신호 획득, 3단계 설명과 반복 훈련으로 규칙성과 안정을 유도한 최종 호흡 신호를 획득 하였다. 각 단계의 흡기와 호기시 RPM 신호와 투시 영상의 횡격막 위치의 평균값,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을 구하고, 이를 1단계 값으로 표준화 하여 2, 3단계를 상대분포 백분율(%)로 변환하여 환자의 호흡 변화와 내부 움직임을 분석 함으로써 각 환자의 호흡훈련 유용성을 평가 하였다. 결 과 : RPM 신호와 횡격막 진폭을 측정한 뒤, 1단계를 100%으로 표준화하여 각 단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의 오차 평균을 구하였다. 그 결과, 3단계 최종호흡 획득 시 진폭의 상대평균 및 표준편차 모두 감소가36.4%, 표준편차만 감소가 18.2%, 진폭만 감소가 36.4%로 나타났으며, 횡격막 영상의 위치 측정 시 3단계에서 전체 81.8%의 환자에게서 상대평균 진폭 값이 30%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모든 환자들에게서 2단계 대비 3단계의 RPM 신호와 횡격막 진폭이 각각 평균 52.6%, 42.1%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RPM 신호와 횡격막 영상 진폭 차이의 연관성은 2번 10번 환자를 제외하고 각각 1, 2, 3단계 움직임의 패턴이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호흡 동조 방사선치료에서 호흡 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최적화된 호흡 주기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모의 호흡 훈련을 치료 전 시행함으로써 불규칙적인 호흡에 의한 환자의 호흡을 제어해 폐의 움직임을 예측 가능 하게 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방사선 치료의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해 보다 정확한 치료를 기대할 수 있어 호흡 훈련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겠다.그러나 본 연구는 치료 전 호흡 훈련을 시행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로 제한되어 있으며 추후 실제 CT 계획과 치료 시 획득한 자료를 가지고 검증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이 중년여성의 HRV-자율신경시스템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ute Respiratory Training Feedback upon a Change on HRV-Autonomic Nervous System in Middle-aged Women)

  • 김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45-453
    • /
    • 2018
  • 본 연구는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이 중년여성의 HRV-자율신경시스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년여성(40-60세) 총 24명을 호흡군 12명, 통제군 12명으로 무선할당하여 일회성 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호흡군의 피드백 훈련은 총 15분 동안 실시되었으며, 10분 간 전문가 지도에 따른 호흡 자각 훈련 후 5분 간 자율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0.0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년여성들은 일회성 호흡 훈련 후 SDNN, RMSSD, LF, HF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호흡군이 통제군보다 SDNN, RMSSD, LF, HF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Mean HR과 LF/HF는 집단과 시기의 주효과,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은 중년여성들의 SDNN, RMSSD, 교감활성, 부교감활성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자율신경계 균형 능력을 향상시켜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 완화 및 자율신경실조증을 회복할 수 있는 운동중재의 효용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이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의 호흡재활에 미치는 효과 (The Efficacy of Pulmonary Rehabilitation Using Mechanical In-Exsufflator in Stroke Patients with Tracheostomy Tube)

  • 장상훈;이연섭;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30-3036
    • /
    • 2012
  • 본 연구는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이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의 호흡능력 및 기침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 10명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을 2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훈련 전, 훈련 4주 후 그리고 8주 후 대상자의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노력성 폐활량비 그리고 도수 보조 최대 기침유량을 측정하였으며 기간에 따른 호흡능력과 기침능력을 알아보고자 반복측정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기간에 따라 대상자의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도수 보조 최대 기침유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은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의 호흡능력 및 기침능력을 증진시켜 기관절개관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훈련방법이라 할 수 있다.

촛불끄기 호흡운동 프로그램의 시행이 성인의 노력성 호흡량의 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plementing Candle-Blowing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on Functional Improvement of Forced Breathing Volume among Adults)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03-210
    • /
    • 2021
  • 본 연구는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촛불끄기 호흡훈련이 성인의 몸통 근력 강화를 의미하는 호흡 능력 향상에 어떤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주간의 촛불끄기 훈련을 통해 실험 전-후의 노력성폐활량(FVC)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4주간의 촛불 끄기 훈련을 통해 실험 전-후의 1초간 노력성 날숨량(FEV1)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4주간의 촛불 끄기 훈련을 통해 실험 전-후의 최대날숨유속(PEF)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촛불끄기 호흡운동을 실시하여 성인의 몸통 근력 강화를 의미하는 노력성 폐활량(FVC), 1초간 노력성 날숨량(FEV1), 최대날숨유속(PEF) 등의 노력성 호흡훈련과 허파기능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앞으로 물리치료가 꼭 필요한 중증 호흡기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있어서 호흡근육 훈련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 of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Preliminary Study -)

  • Kim Mae-Ja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6
    • /
    • 1986
  • 내과외래를 내방한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환자를 대상으로 호흡근육훈련이 호흡근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자료수집을 하였다. 근력+지구력훈련과 근력훈련을 각각 두군에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근력훈련은 DHD Medical Products사 제품의 흡기근육훈련도구로 매일 30분씩 대상자의 가정에서 실시하였고, 근지구력훈련은 일정한 기온이 유지되는 서울대학교병원복도를 12분 동안 걷게하는 운동을 주 2회 시행하였다. 이 훈련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매주 최대흡기력(PImax), 참을 수 있는 흡기력(SIP), 최대환기량(MW) 및 기관지염-폐기종 증상 체크목록(BESC)과 환자의 건강상태와 계속 훈련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폐기능 검사와 vital signs을 매주 검사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근력+근지구력훈련군은 훈련전에 비해서 훈련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근력훈련군은 SIP가 증가되고 BESC는 감소되었으며 , 두 군간의 비교에서는 BESC에서 훈련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호흡근육훈련은 가정에서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는 근력훈련이 근력+근지구력훈련보다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측정도구들의 타당도 신뢰도의 평가, 더 많은 수의 연구대상자, 더 효과적인 근지구력훈련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 PDF

최적 호흡 훈련기반 업무 스트레스 완화 시스템 (The Optimal respiration training based work-related stress relief system)

  • 이양우;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85-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업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호흡과 심장박동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최적 호흡법을 유도하고 반복 훈련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을 자가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일정한 호흡은 심장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심장의 항상성 유지를 통해 업무스트레스 자극으로 인한 심장 리듬의 변화를 빠르게 안정시킬 수 있다. 사람은 개인에 맞는 고유한 호흡리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적 호흡리듬을 반복적으로 훈련하는 것을 통해 심장의 항상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시스템은 개인에 맞는 최적 호흡리듬을 찾아서 이를 반복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업무스트레스가 높은 콜센터 직원들을 대상으로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증실험 결과 자신의 맞는 호흡주기를 사용하여 호흡을 하면 심장의 반응이 안정성을 보이고 부교감이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있었다.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감정노동자들 중에서 콜센터 상담 업무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업무효율증가와 개인의 건강관리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호흡 동성 부정맥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바이오피드백의 개념과 임상적 활용 (The Concep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Biofeedback)

  • 이창수;우종민
    • 정신신체의학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2006
  • 건강한 사람들은 복잡한 양상의 심박동수 변이 (Heart rate variability, 이하 HRV)를 보이는데, 이것은 생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한 반응을 반영한다. 0.1Hz 내외의 속도로 호흡하도록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하면 호흡 동성 부정맥(Respiratory sinus arrhythmia, 이하 RSA)이 극대화되면서 심박동수 변이의 강도가 증가한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압반사계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리듬과 호흡동성 부정맥(RSA)사이의 동조가 일어나는 지점까지 호흡 속도를 늦춰야 한다. 기구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해 각자에게 알맞은 최적의 호흡 속도를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RSA 바이오피드백 원리에 따른 훈련 과정과 지침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 PDF

대중음악 보컬 발성법에 관한 연구 -진성(眞聲) 발성훈련을 통한 소리의 확장 중심으로- (Research on popular music vocalization)

  • 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8-20
    • /
    • 2011
  • 한류 문화를 비롯해 방송사들에서 시행하는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들로 인해 대중음악계가 상당히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가요계의 발전과 더불어 가수가 되고자 하는 지망생들이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아직은 이들을 가르치고 훈련을 받을 수 있는 교육적인 여건이 미비하다. 본 논문은 가수지망생, 즉 보컬이 기복적으로 갖추어야 할 호흡과 발성법에 관한 논문이다. 호흡과 발성은 노래를 잘하기 위한 과정이지만, 노래를 잘하기에 앞서 목소리를 크게 만들고 라이브 공연 시 목소리를 안정적으로 내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다. 명성에 비해 라이브 실력이 부족한 가수들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모두 호흡과 발성훈련을 소홀히 해서 생긴 결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크고, 안정적인 목소리를 만들기 위한 발성훈련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논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