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의적 태도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초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한국인 노동자의 태도 (Attitudes of Korean Workers towards Foreign Workers)

  • 이정환;이성용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145-167
    • /
    • 2009
  •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한국인 노동자의 태도와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는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서울 및 경인지역 기업의 한국인 노동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에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한국인 노동자 가운데 외국인 노동자에게 자기들과 같은 노동권을 주고 이들의 가족을 한국에 데리고 올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과반수 약간 넘는 인원이 동의하는 데 비해 외국인 노동자에게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주는 것에 대해서는 과반수 약간 못 미치는 인원이 동의했다.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태도는 다문화주의, 외국인 노동자와 같이 일한 기간, 학력이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외국인 노동자에 대해 느끼는 위협감이 감소함에 따라 보다 호의적이 되는 경향이 있다.

미술문화자본이 자아이미지, 관용적 태도, 관람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stic Cultural Capital on Self-Image, Tolerant Attitude, and Viewing Loyalty)

  • 엄명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87-4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자본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문화자본과 관람 충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것이다.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들은 문화자본을 주로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연결하였기 때문에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에서 문화자본의 역할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문헌적 공백을 메우고자 본 연구는 미술 영역을 중심으로 문화자본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이 사용되었고, 서울지역 3개 대학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개인적 삶의 영역에서 미술문화자본은 자아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삶의 영역에서 미술문화자본은 관용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술관 방문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행동을 가리키는 관람 충성도는 미술문화자본에 의해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자본의 실제적 역할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사용자태도와 시스템 관리수준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er Attitude and System Management level on the System Performance)

  • 한경일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9-25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사용자 태도와 정보시스템 관리수준이 어떻게 조합되었을 때 정보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주는가는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시스템 관리변수로는 정보시스템의 평가기준관리와 프로젝트관리로 정의하였다. 정보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개발과 운영과정에서 개발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효과성, 생산성, 사용자 친숙성, 생산성 등 25개 항목을 조사하였고, 프로젝트 관리활동은 규모, 노력 기간, 결점등이 조사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보면, 사용자의 태도가 호의적이면 시스템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호의적인 집단에서도 평가기준관리와 프로젝트관리를 철저히 하면 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UCC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Text, Image, and Video UCC Adoption)

  • 장병희;이양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8권
    • /
    • pp.280-305
    • /
    • 2009
  • 최근 UCC 채택과 이용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수용자의 능동성이라는 UCC의 가장 큰 특징을 구체적으로 개념화하여 측정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수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구체적으로 개념화한 후 기존 연구의 틀과 통합하여 UCC의 채택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UCC 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 기존의 개혁확산이론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에 자기표현(self-expression)과 창조적인 예술활동(artistic activity)과 관련한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켜 대학생들의 텍스트, 이미지, 그리고 동영상 UCC 채택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했다.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서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변인들의 유의미성과 함께, 현실에서 자신의 표현에 서투른 사람들일수록 UCC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기 쉽고, 자기표현이라는 행위가 옳고 더 많은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강한 신념이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장인 UCC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술활동에 관심이 많은 사람일수록 UCC 제작 활동에 더 활발히 참여하고, 본인의 예술적 재능이나 예술활동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 UCC 제작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 영향 요인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Marriage of Undergraduate with Institutional Background)

  • 정선욱;이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62-3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와 결혼 태도 영향요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은 발달단계상 성인이행기에 있으며, 이 발달단계에서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는 친밀하고 낭만적인 관계 맺기, 결혼의 선택이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결혼 이슈를 결혼 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국의 양육시설과 자립생활관의 협조를 받아 총214명의 대학 진학 시설보호 청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연구 결과, 이들의 결혼에 대한 태도는 대체로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결혼을 외로움을 해소시켜주는 바람직하고 좋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경제 수준, 자아정체감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 하위3요소 가운데 자기 수용성, 즉 자신감과 자신을 신뢰하는 정도가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보호 청년의 자립 과정에서 결혼 이슈를 고려하는 것의 필요성과 의의, 결혼이 실질적인 자립 지원책으로 기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백화점의 마케팅믹스요인, 체험요인 및 점포태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partment Store's Marketing Mix, Experience Factors and Store Attitude)

  • 범경기;김원겸;최광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6
    • /
    • 2010
  • 본 연구에서 백화점의 마케팅믹스 요인인 제품, 가격, 유통, 그리고 촉진이 고객의 체험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체험요인이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마케팅 믹스 요인을 구성하는 차원 중에 촉진이 고객의 감각체험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통이 고객의 감각체험, 감성체험 및 인지체험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화점에서 고객의 긍정적인 감각체험, 감성체험 및 인지체험은 호의적인 점포태도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감성적 스토리텔링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머광고와의 비교- (The impact of emotional storytelling on brand attitude- compare to humor advertising)

  • 이진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1-68
    • /
    • 2014
  • 과거의 마케팅 방법이 객관적으로 고객의 이성에 호소했던 것이라면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제품이나 브랜드의 가치를 주관적인 방법으로 고객의 감성에 호소한다. 스토리텔링은 제품이나 업체의 거부감을 사라지게하고 고객의 호감과 호의적 태도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적 스토리텔링 광고와 유머광고의 유형에 있어 브랜드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각 광고유형에 따른 제품의 품질, 브랜드이미지, 신뢰, 관심, 메시지, 광고모델, 구매의향, 흥미, 추천의 요소가 브랜드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태도, 브랜드 이미지, 광고태도 형성에 있어 감성적 스토리텔링 광고가 유머광고 보다 더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에 따라 광고의 유형에는 스토리텔링 광고다 더 영향을 미쳤으며 각 항목에 있어 남녀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감성적 설득광고가 많아지고 있고 경쟁이 됨에 따라 차별적 광고가 필요하게 됨으로 광고유형에 따라 소비자에게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는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한류브랜드의 세계성과 지역성이 베트남 소비자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화장품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Korean Wave Brand's Globalness and Localness on Vietnamese Consumers'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Focussing on Cosmetics)

  • 이혜리;채명수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1호
    • /
    • pp.161-187
    • /
    • 2018
  •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한류브랜드를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한국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한류의 관점에서 지각된 한류브랜드의 세계성과 지역성의 두 가지 하위개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베트남 현지 조사기관과 기존연구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한국화장품이 한국과 한류를 가장 잘 반영한다는 점에서 한국화장품을 대표적인 한국제품으로 선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총 212부가 유효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베트남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한류브랜드의 세계성과 지역성 모두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제품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는 한국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에서 접점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고객지각이 고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stomers' Perceive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s of Frontline Employees on their Attitudes)

  • 박종희;김선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4호
    • /
    • pp.79-1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진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을 고객관점에서 측정하고, 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관련 변수들인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신뢰, 호의적 구전과의 경로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았다. 그동안 조직시민행동(OCB)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조직 관점에서 종업원의 OCB를 측정하였다. 반면, 본 연구는 고객의 시각으로 이를 평가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자료 수집에 있어서는 보다 다양한 고객접점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미용실과 주점 두 업종의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이 지각하는 종업원의 OCB는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신뢰에는 직접효과, 고객만족에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이 관찰하기에 종업원이 규정된 역할을 초월하여 동료들을 도와주고 고객의 편의를 지향하며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를 보이면, 고객들은 종업원을 신뢰하고 그들에게서 제공받는 서비스품질을 높게 지각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조직시민행동은 서비스품질과 만족, 신뢰를 통해 호의적 구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OCB의 세 가지 구성차원인 고객편의 지향성, 조직관여도, 스포츠맨십이 고객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고객편의지향성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고객이 지각하는 접점종업원의 OCB와 고객태도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고객관점의 OCB를 측정함에 있어 다차원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의류상품 소비자의 판매촉진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 김세희;이은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3호
    • /
    • pp.33-46
    • /
    • 2000
  • 본 연구는,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의류 상품의 판촉에 초점을 맞추어, 판촉의 여러 방법 별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그 반응 경향이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에 대한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과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거주 여성 44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판촉의 각 방법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는 가격 할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디스플레이, 쿠폰, 사은품, 백화점 패션쇼, 경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격 할인, 디스플레이, 사은품, 쿠폰, 백화점 패션쇼 등 5가지 판촉 방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정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판촉에 대한 반응 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5개 집단을 규명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들 중에서는 소비자 자신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만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집단의 판촉 태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집단은 의복 쇼핑 성향 및 의복 구매 관련 정보원 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실증적 연구의 결과 판촉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유형별로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의류 상품의 판촉 전략 수립시 표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판촉 방법 선택이나 판촉 정보 전달 경로 등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를 들어, 신중/경제적 쇼핑 성향을 가지며 판촉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보 전달 경로를 통해 가격 할인이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 판촉 방법이 될 것이며, 쾌락/유행 지향적이고 상표/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잡지, 인적 정보, 카탈로그 등을 정보 전달 경로로 하여 디스플레이나 패션쇼를 통해 판매 촉진을 할 수 있을 것이다.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