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안 공법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호안구조용 강판셀공법

  • 박용명;김태진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4
    • /
    • pp.4-11
    • /
    • 1997
  • 본 기사에서는 호안의 안벽 및 방파제의 조성에 있어 기존 공법에 비해 경제성, 공사기간 및 시공장비 측면에서 유리하며, 특히 대수심 조건에 적합한 강판셀 공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강판셀공법은 거치식과 근입식 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자는 지반이 양호한 곳에, 후자는 지반이 비교적 연약한 부지에 적합하다. 본 기사에서는 강판셀공법의 설계절차와 실제 시공사례에 대해 소개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Stability of Non-toxic Revetment Block (무독성 호안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Sang Woo;Koo, Young Min;Kim, Young Do;Park, Jae Hy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987-99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ydraulic stability of non-toxic revetment technique for eco-friendly design of the domestic river restoration. Recently, instead of the flood control function-oriented river management policy for the engineering efficiency,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for the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is implemented. However, the inappropriate hydraulic design criteria of the new revetment technique happen to the economic losses at flood season frequently. The hydraulic stability of the riprap and the block include the banks of rivers, riverbed protection, scour protection and so on. In this study, the high speed experimental channel was developed, which has the maximum velocity of 3.5 m/s, to perform the hydraulic experiments of the block method with non-toxic glue with various conditions to find the critical velocity of the revetment block for the hydraulic stability.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ew Vegetation Revetment Techniques Considering Safety against Flood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치수 안전성과 환경성을 고려한 새로운 식생호안 공법의 적용 및 평가)

  • Rhee, Dong-Sop;Ahn, Hong-Kyu;Woo, Hyo-Seop;Kwon, Bo-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2 s.175
    • /
    • pp.125-13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new vegetation revetment techniques. The applicability of revetments was confirmed with respect to flood safety as well as environmental consideration. The safety against flood was examined through an in situ experiment at Dong-moon Stream located in Paju and a laboratory experiment. The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of revetmen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results of a 2-year in situ monitoring. It was found that the revetmen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had a safety capability against floods and high vegetating capability. Application ranges of design factors were suggested for each revetment developed in this study.

Practical Use of Environmental(Green) Fabric Form (환경친화형 Fabric Form의 시공사레)

  • 송재헌;최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67-78
    • /
    • 2001
  • 지금까지의 하천 사면보호공법은 돌망태, 사석, 호안블럭(Con'c Block), 재래형 섬유대공(Ordinary Fabric Form) 등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 공법은 자연재료인 돌이나 사석 등이 이미 고갈되어 취득이 매우 어렵고, 콘크리트 제품은 인공구조물 일색의 보호공으로서 자연환경에 어울리지 않거나 인력을 이용한 고가의 공사비가 요구되므로 이를 개량하여 본 환경친화형 섬유대공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공법은 홍수나 수해로부터 토사제방의 침식 및 세굴방지는 물론 중간에 자연환경 적인 잔디나 조경식재를 하여 환경친화적 호안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침식방지와 환경친화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공법이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High Water Revetment Using Hydraulic Model (수리모형을 이용한 고수호안의 안정성 분석)

  • Lee, Sung-Jun;Jun, Sang-Mi;Kim, Young-Do;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84-1688
    • /
    • 2008
  • 국내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하천 환경이 지속적으로 오염 및 훼손되어 왔다. 하천을 관리함에 있어서 치수목적을 중심으로 한 직강화와 콘크리트 제방과 더불어 하천변의 공간이 주차장이나 도로로 사용되었다. 또한, 하천의 홍수피해 방지, 도심의 택지 및 농경지 등의 토지 확보를 위한 대규모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과거 자연상태의 하천은 홍수터 내 저류능력 상실, 생태환경공간 훼손 등으로 하천의 자연적 환경 기능이 매우 악화된 상황이다. 최근 들어 치수 기능만을 위한 공학적 효율 위주의 하천관리 정책에서 벗어나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개선, 자연하천으로의 생태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복원공법의 적용결과 호안의 안정성이 고려되지 않은 복원사업들이 진행되기도 한다. 진정한 자연하천으로의 복원은 하천기능의 회복과 함께 호안의 안정성까지 고려된 복원이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생태복원 하천을 대상으로 하여 HEC-HMS, HEC-RAS 등과 같은 수리 수문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의 유량과 수위에 대하여 소류력 평가 공식을 활용하여 기설 고수호안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신어천을 대상으로 각 하천마다 적용된 공법을 조사하고 지점별 적용 공법과 평균 소류력의 관계를 파악하여 고수호안의 안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각 호안공법의 수리학적 설계기준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Revetment Techniques of Riverbank in Han River, Korea (한강 하천제방 호안공법에 따른 식생분포 특성 연구)

  • Kim, Won-Sik;Kwak, Jeong-In;Lee, Kyong-Jae;Han, Bo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1
    • /
    • pp.17-30
    • /
    • 2011
  • This study has analyzed the vegetation composition in the areas using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s of riverbanks, in a way to improve the vegetation induction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ecological aspects of the induction in Garaeyoul Village, Gangdong-gu, Seoul. The result of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n each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 was analyzed, that the naturalized herb was dominant in the pole block accounting for 70.7%, while native herb was dominant in the lawn block occupying 48.5% and in the crib block occupying 55.7%. The vegetation coverage measured by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s was highest in the crib block(average 97.5%), followed by the lawn block(average 95.3%) and pole block(average 27.9%). The vegetation base area was the most wide in the crib block and the most narrowest in the pole block. The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in areas using different slope revetment techniques, dry herbs and vine herbs were dominated and the coverage was very poor in the pole block. In the lawn block, the barb was fragmented into narrow areas due to the blocks, which prevented the creation of large-scale plant communities. In the crib block, Miscanthus sacchariflorus, Fescue arundinacea and Aster pilosus, which also consisted of large-scale communities. Average dry weight was also measured by each slope revetment technique. The weight was heaviest in the crib block with $187.63g/m^2$, followed by the lawn block($137.65g/m^2$) and pole block($6.75g/m^2$). The soil moisture contents in the crib block and lawn block was 16.3% and 15.2%, respectively, while that of the pole block was 4.7%, which revealed the highly dry condition of the pole block soil. The analysis result of soil chemical property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il texture, soile acidity(pH), and exchangeable ion content, however, the soil organic matter(OM) content and available $P_2O_5$ were highest in the pole block. In the future, in order to induce more vegetation into river banks and walls, a proper construction method should be applied so that the vegetation area can be expanded as much as possible, considering the safety of the banks.

Hydraulic Stability and Vegetation Rooting of Revetment Works (하천 호안공의 수리적 안정성 및 식생 활착성 평가)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02-11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방 사면에 적용된 자연친화적인 호안공 중 블록공을 대상으로 수리적인 안정성 및 식생 활착성 등을 검토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블록 호안공은 수리적인 안정성을 갖지만, 호안공 배면에 토사유출 방지를 목적으로 부직포를 설치하는데, 이 경우 호안공 두께가 그리 크지 않아 홍수시 또는 인위적인 행위에 의해 호안공이 쉽게 어긋날 우려가 있다. 또한 부직포 위에 호안공을 설치하는 까닭에 마찰이 적어 홍수시 흐름의 소류력에 의해 쉽게 미끄러질 우려가 있으며, 경사면과 부직포 사이로 물이 들어갈 경우 부직포가 배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 배면의 토사는 부분 흘러내림 현상으로 토사 유출에 따른 부등침하와 블록의 내려앉음 현상이 발생되는 우려가 발생된다. 현지조사 결과 블록공 배면에 설치되는 부직포는 식물 뿌리가 뚫고 들어가지 못하므로 식생활착이 불충분함이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수리적인 안정성과 식생 활착을 동시 만족시키는 호안공은 부직포가 설치된 호안공으로서 부직포는 식물 뿌리가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하며, 호안공 공극에 충분한 식생이 활착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형태이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