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감성지능 간의 관계 (Occupational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Hospice Volunteers)

  • 김연하;김민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2호
    • /
    • pp.112-119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B 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의 상급종합병원과 4개의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 근무하고 있는 봉사자 중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서면으로 동의한 봉사자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원봉사활동 특성, 직무 스트레스, 감성지능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IBM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2.16점이고 감성지능은 4.65점으로 측정되었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은 교육수준과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r=-0.196, P=0.013). 결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교육수준, 월수입과 감성지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환자와 가족에게 돌봄을 제공하고 팀의 일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지지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호스피스자원봉사자가 지각한 호스피스자원봉사자 활동의 중요도 및 수행도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Hospice Volunteer's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ce Volunteers)

  • 전명화;이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3호
    • /
    • pp.122-131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자원봉사자 활동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지역 소재 6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 병동 및 호스피스 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259명이다. 대상자가 지각한 자원봉사자 활동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조사를 위해 문헌고찰 및 호스피스자원봉사자 면담을 기초로 작성된 호스피스자원봉사자 활동 목록이 사용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9월부터 10월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와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등으로 분석 하였다. 결과: 호스피스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자원봉사활동 중요도의 평균은 3.09점, 수행도는 2.31점으로서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상자가 지각한 자원봉사자 활동의 중요도와 수행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487, P=.000). 대상자의 종교, 교육수준 및 자원봉사활동 기간에 따라 자원봉사자 활동에 대한 중요도 지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연령, 종교 및 자원봉사활동 기간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수행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호스피스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자원봉사자 활동의 중요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수행도는 여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일부 자원봉사자의 특성이 호스피스자원봉사자 활동에 대한 중요도 지각과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호스피스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원봉사자에 대한 효율적 관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spice Volunteers)

  • 심세화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1호
    • /
    • pp.45-6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의 실천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의 세밀한 봉사활동 경험과 호스피스 팀 활동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시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피스 정책 입안자들과 행정가들 그리고 관리자들에게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의미와 자원봉사자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기여를 행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 호스피스의 제도화된 4가지 유형(분산형 가정형 병동형 독립형)에 대해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시행하였다. 질적 접근의 엄격한 연구방법 중 하나인 "사례 분석"과 관련해서,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한 후 심층 인터뷰를 행하였고, 인터뷰 결과는 '사례 내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종교적 신앙심'에 의해 이 일을 시작하였고, 그토록 힘든 봉사활동을 지속시키는 힘 또한 '신앙심'이라고 했다. 따라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 경험의 본질은 "종교적 신앙심에 의한 일 나를 위한 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들의 봉사활동 경험의 특성은 "아무런 대가 없이 행하는 진정한 봉사 아무나 할 수 없는 전문적인 봉사"로 나타났다. 덧붙여서, 호스피스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스스로가 달라진 점으로는 "내적 성장 - '좋은 죽음'의 의미에 대한 자기 성찰 -과 영적 다양성 존중의 중요성인식"이라고 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의 실천가들과 정책 전문가들에게 호스피스 팀의 일원으로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의미와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호스피스의 성공과 한국인들의 좋은 죽음 성취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일 지역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활동분석 (The Analysis of Activities of Volunteers for Hospice Care)

  • 최상순;허헤경;박소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2호
    • /
    • pp.136-143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를 받은 환자의 특성을 조사하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활동내용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1차적으로 자원봉사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3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원주의 C.C.C에서 교육수료 후 자원봉사 유경험자의 기록지 총 64개 전수를 분석하였으며, 2차적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활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0년 6월 현재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는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원봉사자의 활동에 관한 자료수집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를 직접배부한 후 즉시 회수하였다. 결과 : 1)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특성은 93.1%가 여성이었으며, 이들의 평균연령은 45세였다. 또한 자원봉사자 교육이수후 현재까지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대상자는 35명으로 32.4%를 차지하였다. 2) 자원봉사를 받은 환자들의 특성은 평균연령이 50.1세였으며, 질병명은 대부분 암으로 그중 폐암환자가 13.6%로 가장 많았다. 3) 자원봉사자들의 환자 1인당 방문한 회수는 평균 10회정도 였으며, 방문기간은 평균 49.4일 이였다. 4)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활동내용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영적활동(4점 만점 중 1.97점)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정서적 돌봄(4점 만점 중 1.49점)이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W시의 호스피스 사업의 발전을 위한 활동가능한 자원봉사자 교육과 제도를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 PDF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on Korean Hospice Volunteers: Motivation, Death Anxiety, and Communication with the Dying

  • Woo, Hee Young;Yeun, Young 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2호
    • /
    • pp.58-64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완화 돌봄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돌봄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서울 소재 S 종합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71명을 A 군(실험군, 34명) 또는 B 군(대조군, 37명)에 배정하였다. A 군에게는 2주 동안 주 3회, 총 6회기, 1회 3시간의 16개 내용으로 구성된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A군과 B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나타내었으며, 두 군 간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은 Chi-squire test와 t-test로 검정하였다.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t-test로 검정하였다.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t=2.341, P=0.022), 죽음 불안(t=-2.166, P=0.034)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t=2.808, P=0.006)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교육의 비교 (Comparison of Education Programs for Hospice Volunteer Workers)

  • 허정식;김현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2호
    • /
    • pp.78-81
    • /
    • 2008
  • 목적: 인생의 말기는 삶을 영위하는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한가지이다. 그런데 의사,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과 자원봉사자가 말기 환자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꽃으로 알려진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내용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다양한 기관에서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이 실시하고 있으나 강의 내용과 강의 시수를 알 수 있는 전국 9개 기관의 교육내용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강의 시간은 21.56 ($14{\sim}30$)시간이었으며, 모든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된 교육 내용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이해,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심리 이해 등이며, 온라인을 통한 교육이 1개 기관, 나머지 8개 기관에서는 집체교육을 통한 강의를 위주로 시행되고 있다. 결론: 자원봉사자들의 지역사회 참여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질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하여 자원봉사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육내용, 교육시간, 교육기관으로서의 인정평가 등에 대한 전반적인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EWS

  • 한국호스피스협회
    • 한국호스피스협회지
    • /
    • 통권79호
    • /
    • pp.3-4
    • /
    • 200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