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스피스간호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9초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죽음 불안 및 돌봄 요구: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Death anxiety and Needs of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f Nurses in Hospice Wards: Focused on Types of Personality)

  • 심지연;이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37-745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죽음 불안과 돌봄 요구를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11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SPSS Statistics 26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 불안은 2.41±0.27이었고, 하위 항목 중 '자신의 죽어감에 대한 두려움(2.60±0.38)'이 가장 높았다. 돌봄 요구는 3.58±0.60이었고, 하위 항목 중 '용서하기(3.74±0.64)'가 가장 높았다. 죽음 불안과 돌봄 요구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265, p=.004)를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성격유형별 죽음 불안이 돌봄 요구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 중심 유형에서 타인의 죽어감에 대한 두려움(𝛽=-1.021, t=-2.388, p=.027)이 돌봄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3.724, p=.020)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죽음 불안과 돌봄 요구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감정 중심 유형에서 죽음 불안이 돌봄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 (Need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Hospice Care Unit)

  • 김형철;김은숙;박광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3호
    • /
    • pp.137-144
    • /
    • 2007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입원 환자와 가족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4년 5월부터 10월 말까지 일 호스피스 병동에서 퇴원한 환자 76명과 가족 7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연령은 7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 진단명은 폐암이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입원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은 통증, 기운 없음, 식욕부진, 오심구토, 호흡곤란의 순이었고, 정서적 증상은 불안, 우울, 분노 순이었으며, 영적 증상은 신에게 의지하고 싶어함, 원목실, 성직자가 방문하여 종교의식을 원함 순이었다. 입원 환자의 요구도는 통증 조절, 통증 이외의 증상(구토, 호흡곤란, 복수 등)조절, 정서적 문제의 해결, 영적 문제의 해결 순으로 높았으며, 환자의 관심사는 본인의 건강관련문제, 혼자 남을 배우자에 대한 관심, 자녀의 장래문제 순이었다. 가족의 간호 요구도는 "환자의 상태 및 처치/간호에 대한 정보"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의 역할 알려주기", "영적 지지", "정서적 지지" 순이었다. 문항별로는 "환자의 예후에 대해 알려주는 것", "환자에게 행해지고 있는 각각의 간호가 왜 필요한지 알려 주는 것" 순으로 높았다. 가족들은 환자의 편안한 임종을 가장 높게 기대하였고, 서비스의 만족도는 자원봉사자 서비스가 가장 높았으며, 통증 조절, 간호사 서비스 순이었다. 결론: 의료인들은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개별적인 대상자들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환자와 가족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related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 박미라;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37-1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학과 112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두 그룹간에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영역 중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생명의료윤리 교육에 참여한 후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 대한 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생명의료윤리 교육과정에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 관련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여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보아 추후 반복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간호대학생의 가치관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Values on Attitudes Toward Death)

  • 박명희;김영재;김정효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6권2호
    • /
    • pp.19-3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values on attitudes toward death of the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as based 356 students of high school in Gwang Ju.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values was 24.31 The mean score for attitudes of death was 34.02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attitudes of death according to religion, socioeconomic state, existence of parent, grades, smoking, alcohol intaking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hat is values and attitudes toward death of nursing student. 4. There was a significant predi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death of nursing students were values and alcohol intaking and these predictors accounted for 18.2% of attitudes toward death of them.

  • PDF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 관리 실태 (Bereavement Care of Hospice Services in Korea)

  • 노유자;안영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2호
    • /
    • pp.126-135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전국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1차로 1999년 9월부터 10월사이, 2차로 2000년 11월부터 12월사이에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협회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를 통해 확인된 전국 55개 호스피스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인과 연구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조사목적을 설명한 후 기관의 책임자와 통화하여 면접조사를 하였다. 결과 : 1)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69.1%에서 사별관리를 시행하고 있었다. 2) 사별관리의 내용으로는 전화방문 28개 기관(74.5%), 사별가족 모임 26개 기관(68.4%), 가정방문 22개 기관(57.9%), 우편물 보내기 16개 기관(42.1%), 개별상담은 7개 기관(18.4%)이었다. 3) 사별가족 모임은 26개 기관(68.4%)에서 시행하고 있었고 그 빈도는 연 1회가 42.3%로 가장 많았으며 연2회가 6개 기관(23.1%), 월 1회가 6개 기관(23.1%), 월 2회가 3개 기관(11.5%)을 차지하였다. 4)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기관은 4개 기관(10.5%)에 불과하였다. 5) 사별관리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사별가족을 모으기가 어렵다는 점이 가장 많았고 사별관리자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사별관리 인력의 부족, 호스피스 기관과의 지역적 거리가 먼 경우, 사별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부족, 재정적인 어려움 등이 있었다. 6)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으로는 사별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사별관리 교육의 필요성, 전문가 양성, 인력충원, 재정 지원 등의 요구사항이 있었다. 결론 : 국내 호스피스 기관중에서 69%가 사별관리를 시행하고는 있으나, 사별관리 전문가와 인력이 부족하고 사별관리 프로그램도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사별자의 개별적인 욕구 측면에서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관리운영자의 전문적인 교육과 봉사자 교육 및 훈련이 있어야 하고 사별자의 개별성과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실정에 맞는 토착화된 사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야 한다.

  • PDF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삶의 의미 (Satisfaction for Voluntary Activity and the Meaning of Life in Hospice Volunteers)

  • 박금자
    • 종양간호연구
    • /
    • 제6권2호
    • /
    • pp.104-11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for voluntary activity and the meaning of life in hospice volunteers. Method: Data were obtain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02 volunteers and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satisfaction for hospice volunteer activity was $2.48{\pm}0.38$. Of the domains of the satisfaction, the experience domain had the highest mean score $(2.93{\pm}0.53)$, and the social exchange domain had the lowest mean score $(1.65{\pm}0.63)$. The mean score of the meaning of life was $3.20{\pm}0.33$. The score of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conomic status, and volunteering time per week. The score of meaning of life was statically different by financial statu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for voluntary activity and the meaning of life. Conclusion: Satisfaction for hospice volunteer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meaning of lif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ir financial aspect and the volunteering time.

  • PDF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 수용 경험: 현상학적 연구 (Experience in Acceptance of Hospice b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A Phenomenological Research)

  • 곽수영;이병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81-79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in acceptance of hospice b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nd to explore the structure of this experience. Methods: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us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in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for data collec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Results: Four categories, eight theme clusters and 18 themes were identified for the experience in acceptance of hospice b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The three categories were 'Hope for a comfortable death', 'Overcoming barrier of prejudice about hospice', 'Incessant craving for life', 'The last consideration for self and family' Conclusion: While accepting the hospice care, participants experienced inner conflict between giving up medical treatments that prolong life and choosing a comfortable death, and also experienced an incessant craving for life. By accepting hospice care, they showed a human dignity that entails careful concerns for both self and family members.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제공 전과 후 간호사의 죽음의식비교 (Comparison of Death Orientation of Nurses before and after Hospice Training Program)

  • 최순희;박민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3-219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death orientation scores of nurses before and after a hospice training program.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6 nurses who completed the hospice training program at C university in Kwang Ju city. The data were gathered from October 2001 to December 2002 by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aired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s for death orientation before and after hospice training were mid range scores of 57.2 and 57.0 respectively and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death orientation score before hospice trai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rk place (F=3.16, p=.033)' of nurses but after the hospice 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n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eath orientation scores before and after hospice training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religiosity score either. Conclusion: Considering the mid range scores and the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erven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content of hospice education programs and the need to change death orientation.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participants are professional hospice nurses who are being prepared to give care to people who are dying. In order to develop more appropriate program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nurses come to view death more positively.

  • PDF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성과평가 도구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Performance Scale)

  • 권소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4-381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hospice palliative care performance measure which would cover more than just physical symptoms or quality of life. Methods: Through an intensive literature review, the author chose questions that measured aspects of physical, emotional, spiritual, social, or practical domains pertinent to hospice palliative care for inclusion in the scale. Content validation of the questions was established by 15 hospice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A preliminary Hospice Palliative Care Performance Scale (HPCPS) of 20 questions was administered to 134 pai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from 5 hospice palliative care units and their main family caregiver. A validation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Factor analysis showed 14 significant questions in five subscales; Physical, Emotional, Spiritual, Social, and Patient' righ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atings by patients and family members except for three out of the 14 questions. The measure demonstrated construct validity, and Cronbach's ${\alpha}$ of the subscales ranged from .73 to .79. Conclusion: The HPCOS demonstrated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It can be used to assess effectiveness of hospice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practice and research.

호스피스 대상자의 돌봄 요구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Care Needs for Hospice Patients)

  • 용진선;한성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77-689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ypes of care needs for hospice patients through Q- methodology. Method: Twenty three Q-statements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hospic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 hospice patients by sorting 23 Q-statements into 9 points standard and then analyzed using PC QUANL program. Result: Type 1 was named 'the need for pain control type' and patients of this type had the greatest need of physical care to be free of pain and be comfortable. Type 2 was named 'the need for love and intimacy type' and patients of this type would like to share love and intimacy with their family members. Type 3 was named 'the needs for reliance on an Absolute Being type' and patients of this type would like to receive forgiveness from their God and prayers. Type 4 was named 'the need for accomplishment and service type' and patients of this type would like to complete their on going work and to give service to others. Conclusion: The study result could be basic data to perform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satisfying the care needs of hospice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