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모그래피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Lane Model Extraction Based on Combination of Color and Edge Information from Car Black-box Images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으로부터 색상과 에지정보의 조합에 기반한 차선모델 추출)

  • Liang, Han;Seo, Su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1
    • /
    • pp.1-11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e to extract lane line models using a set of proposed methods. Firstly, an image warping method based on homography is proposed to transform a target image into an image which is efficient to find lane pixels within a certain region in the image. Secondly, a method to use the combination of the results of edge detection and HSL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transform is proposed to detect lane candidate pixels with reliability. Thirdly, erroneous candidate lane pixels are eliminated using a selection area method. Fourthly, a method to fit lane pixels to quadratic polynomials is proposed. In order to tes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procedure, a set of black-box images captured under varying illumination and noise conditions were us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cedure c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color-only and edge-only based methods and extract lane pixels and model the lane line geometry effectively within less than 0.6 seconds per frame under a low-cost computing environment.

Estimation of Image-based Damage Location and Generation of Exterior Damage Map for Port Structures (영상 기반 항만시설물 손상 위치 추정 및 외관조사망도 작성)

  • Banghyeon Kim;Sangyoon So;Soojin C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7 no.5
    • /
    • pp.49-56
    • /
    • 2023
  • This study proposed a damage location estimation method for automated image-based port infrastructure inspection. Memory efficiency was improved by calculating the homography matrix using feature detection technology and outlier removal technology, without going through the 3D modeling process and storing only damage information. To develop an algorithm specialized for port infrastructure, the algorithm was optimized through ground-truth coordinate pairs created using images of port infrastructure. The location errors obtained by applying this to the sample and concrete wall were (X: 6.5cm, Y: 1.3cm) and (X: 12.7cm, Y: 6.4cm), respectivel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algorithm to the concrete wall and displaying it in the form of an exterior damage map,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was demonstrated.

Detection of the co-planar feature points i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3차원 공간에서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특징점 검출 기법)

  • Seok-Han Le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6 no.6
    • /
    • pp.499-508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to estimate the coordinates of feature points existing on a 2D planar object i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The proposed method detects multiple 3D features from the image, and excludes those which are not located on the plane. The proposed technique estimates the planar homography between the planar object in the 3D space and the camera image plane, and computes back-projection error of each feature point on the planar object. Then any feature points which have large error is considered as off-plane points and are excluded from the feature estimation phase. The proposed method is archived on the basis of the planar homography without any additional sensors or optimization algorithms. In the expret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ed of the proposed method is more than 40 frames per second. In addition, compared to the RGB-D camer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cessing speed,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frame rate was unaffected even in the situation that the number of detected feature points continuously increased.

360 VR Image Stitching Algorithm using Image Clustering based on Camera Sensor Data (카메라 센서 정보 기반 이미지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360 VR 이미지 제작)

  • Jung, Woo-Kyung;Han, J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73-75
    • /
    • 2019
  • 360°VR 영상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여러 영상들을 이어 붙이는 작업인 스티칭(Stitching)을 통하여 만들 수 있다. 스티칭은 영상들을 이어 붙이기 위해 각 영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 특징점간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한 특징점끼리 매칭시키는 특징점 매칭, 특징점 매칭 과정에서 획득한 호모그래피 매트릭스를 이용한 이미지 와핑, 각 영상 간의 부자연스러운 경계선을 제거하는 블렌딩 과정을 거친다. 고품질의 360°VR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이로 인해 스티칭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센서 정보를 이용해 유사한 영상끼리 클러스터링하여, 한번에 스티칭이 진행되는 영상의 수를 감소시키고, 멀티 스레드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스티칭을 병렬적으로 진행한 뒤, 최종적으로 스티칭하여 최종 360°VR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 PDF

The extraction of high-quality frame from video for 3D reconstruction (3 차원 복원을 위한 비디오에서 고품질 프레임 추출)

  • Choi, Jongho;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9-11
    • /
    • 2017
  • 비디오 시퀀스에서 3D 모델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하 모델 추정이 용이한 프레임을 선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정 장치 도움을 받는 전문 비디오가 아닌 일반 비디오에서 고품질의 프레임을 손쉽게 자동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optical flow 기반 매칭 분석, 프레임 간 적당한 기준선 거리 판단, 비디오 내에서 빠른 탐색을 위한 고속 도약, 두 프레임 간의 호모그래피와 기본 행렬에 대한 GRIC 점수, 모션 블러 프레임 제거 방법 모두를 결합한다. 실내 공간에 촬영된 비디오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우리의 방법이 모션 블러와 저하 움직임이 있는 상황에서 더 강건하게 3D point cloud 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 PDF

Map Operation Interface Using Thermal Images (열 영상을 이용한 지도 조작 인터페이스)

  • Lee, Kanghoon;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250-25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과거와 현재지도를 자연스럽게 융합하여 살펴볼 수 있는 열 적외선 영상 기반 지도 조작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두 지도의 융합과 손가락 터치 검출로 구성되어 있다. 두 지도의 융합은 호모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과거지도를 워핑하고 이를 현재지도 위에 중첩하였다. 손가락 터치 검출은 열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손가락 접촉 후 생기는 잔류 열을 검출하였다. 손가락 접촉 위치는 검출된 잔류열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현재 위성지도에서 특정 위치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접촉한 위치를 계산하고 과거지도를 프로젝터로 투사하여 지도 조작이 가능하게 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구현된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손가락 터치로 과거지도와 현재지도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View invariant image matching using SURF (SURF(speed up robust feature)를 이용한 시점변화에 강인한 영상 매칭)

  • Son, Jong-In;Kang, Minsung;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222-225
    • /
    • 2011
  • 영상 매칭은 컴퓨터 비전에서 중요한 기초 기술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스케일, 회전, 조명, 시점변화에 강인한 대응점을 찾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스케일 불변 특징 변환(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고속의 강인한 특징 추출(Speeded 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등에 제안되었지만, 시점 변화에 있어서 취약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점 변화에 강인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시점 변화에 강인한 영상매칭을 위해서 원본 영상과 질의 영상간 유사도 높은 특징점들의 호모그래피 변환을 이용해서 질의 영상을 원본 영상과 유사하게 보정한 뒤에 매칭을 통해서 시점 변화에 강인한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시점이 변화된 여러 영상을 통해서 기존 SIFT,SURF와 성능과 수행 시간을 비교 함으로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입증 하였다.

  • PDF

A Study on Video Shooting Method and Video Stitching Method for Effective UWV Video Production (UWV 영상제작을 위한 효과적인 동영상 촬영 방법 및 동영상 스티칭 방법 연구)

  • Lim, Yong-Chul;Lee, Kyoung-Sik;Kim, Sa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207-209
    • /
    • 2017
  • 본 논문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하여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동영상 스티칭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스티칭 방법으로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인 SURF와 블렌딩 알고리즘인 멀티밴드 블랜딩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동영상 스티칭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 시키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고, 동영상 스티칭 시 흔들림이 생기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형 호모그래피 행렬 생성 방법을 적용하였다. 추가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파노라마 콘텐츠 제작 시 요구되어지는 거리와 각도를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

The Background Modeling Method under Camera Shaking (카메라 흔들림을 고려한 배경 모델 생성 방법)

  • Lee, Jaehoon;Kim, Hyungmin;Park, Jong-Il;Kim, Yookyung;Kim, Kw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72-7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카메라 환경에서 카메라의 흔들림에 강인한 배경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배경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흔들리지 않은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설정하고 기준 영상에서 해리스 코너 검출기를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검출한다. 이후 입력 영상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특징점을 추출한 뒤 탬플릿 매칭과 거리 비교를 이용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배경 영역들에 대한 특징점만을 선별한다. 기준 영상에서의 특징점과 목표 영상에서의 대응되는 특징점 쌍을 이용하여 보정을 위한 호모그래피 행렬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보정 행렬을 이용하여 흔들린 목표 영상을 보정하게 된다. 흔들린 영상들을 보정한 후 보정된 영상들로 배경 모델을 생성하게 되면 정확한 배경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 PDF

Fast stitching algorithm by using feature tracking (특징점 추적을 통한 다수 영상의 고속 스티칭 기법)

  • Park, Siyoung;Kim, Jongho;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77-18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을 입력 했을 때 특징점 추적을 통한 다수 영상의 고속 스트칭 기법을 제안한다. 빠른 속도로 특징점 추출을 위해서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기법을 사용한다. 특징점 정합과정은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Mean shift 를 통해 특징점이 포함된 영역을 추적하여 벡터(vector)를 구한다. 이 벡터를 사용하여 추출한 특징점들을 정합하는데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점(outlier)을 제거하기 위해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기법을 사용한다. 입력된 두 영상의 호모그래피(homography) 변환 행렬을 구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