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두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미국산 오렌지 생과실에서 검출된 Navel Orangeworm (나비목: 명나방과) (Navel Orangeworm (Lepidoptera: Pyralidae) Intercepted on Fresh Oranges from the USA at the Korean Port of Entry)

  • 홍기정;홍성욱;류창석;이용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5-297
    • /
    • 2012
  • 2012년 1월 31일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영남지역본부 부산신항사무소에서 미국산 오렌지 생과실 화물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Navel orangeworm, Amyelois transitella (Walker)이 검출되었다. 이 해충의 유충이 간혹 호두 과실 속에서 검출된 예가 알려져 있지만, 오렌지 생과실 속에서 검출된 경우는 처음이다. 여기서는 식물검역의 안전성을 보장할 목적으로 이 유충의 진단형질 및 미국산 오렌지 생과실에 대한 병해충수입 위험분석과 관련된 검출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통직물의 천연염료 염색에 관한 연구 (Dyeing of Treditional Fabrics with Natural Dyeing)

  • 정인모;이용우;우순옥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69
    • /
    • 1999
  • 모시, 삼베 및 견직물의 천연염료 염색 중 탄닌색소 함유 염료재료, 한약재 염료재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구명 시험과 염색 후 항균성검증과 염색견뢰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탄닌색소를 함유한 상수리나뭇잎, 호두외피, 밤송이 등의 추출액을 염색할 경우에 모시, 삼베, 견직물은 pH가 낮을수록, 또한,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염섹직물은 짙게 염색되었다. 나. 홍화 염색에 있어서 홍색색소 추출온도가 40$^{\circ}C$에서는 염색 직물의 색상은 자주색(RP), 70$^{\circ}C$이상에서는 주황(YR)색상으로 변화되었다. 다. 염색견뢰도는 탄닌계 염재 및 쪽은 3~4급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한약재 염재는 대부분이 3급이하로 불량하였다. 라. 주요 한약재 염재의 항균성은 직물별로도 차이가 있지만 소목의 균감소율이 낮기 때문에 항균성이 높았다.

  • PDF

TV홈쇼핑 쇼호스트의 구매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 (Persuasive Communication Strategy of Showhost in TV Homeshopping)

  • 이정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11-320
    • /
    • 2011
  • 본 연구는 TV홈쇼핑의 상품판매를 위해 쇼호스트가 전달하는 다양한 메시지 분석을 통해 쇼호스트의 구매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홈쇼핑 판매의 양대산맥인 유형상품과 무형상 품에서의 그것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해 향후 보다 세련된 연구와 전략 수립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두편의 해외여행상품, 등산복, 호두 판매방송 각1편씩을 선정해, 언어수사적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 유, 무형재 상품에서 공히 <상품매력성강조전략>, <가격매력성강조전략>, <희소성소구전략>이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반면 <사회적증거제시전략>, <긍정적소비가치소구전략>, <구매안전성소구전략>은 무형재 상품의 판매만에서 크게 중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상품군을 포괄하지 못하고 네편의 방송만을 분석대상으로 한 한계점을 안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각 전략들이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경험적 연구 및 실험적 연구가 나오는데, 본 연구가 이론적 초석으로 작용하고자 한다.

천연 식품자원으로부터 Prolyl Endopeptidase의 저해 효과 탐색 (Screening of Prolyl Endopeptidase Inhibition from Korean Natural Foods)

  • 이성현;박홍주;조용식;정인경;송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971-975
    • /
    • 2003
  •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도달하는 시간이 각각 22년과 10년으로 추정되며 선진국에 비해 진입속도가 빠를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령화인구에 따라 일상생활은 물론 지역 사회에서의 활동, 더 나아가서는 직업 활동을 할 수 없는 기억 장애현상인 노인성 치매가 더욱 문제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정신건강 관련하여 이미 이용되고 있거나 민간에서 구두로 알려진 식품 총 100종을 선정하고, 메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prolyl endopeptidase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0ppm 농도에서 도토리가 96.0%로 가장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였고, 산딸기가 92.0%, 호두가 73.0%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나머지 식품들은 56.1%인 녹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50% 미만의 수준이었다. 본 연구결과 PEP에 비교적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제로서 도토리와 산딸기를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까지 개발되고 보고된 합성 peptide인 PEP저해제와는 달리 천연식품이란 점에서, 앞으로 이 식품들이 항치매 예방 기작 구명에 유용하게 이용됨과 동시에 치매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에서 땅콩 성분의 신속검출을 위한 PCR 방법 (A PCR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Peanut Ingredients in Food)

  • 이수진;윤장호;홍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0-353
    • /
    • 2009
  • 땅콩(Arachis hypogaea)은 예민한 사람들에게 심한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Agglutinin은 땅콩에서 알레르기 유발 단백질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식품중의 땅콩성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agglutinin 유전자에 특이적인 primer pair를 이용하는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PCR 반응은 땅콩에서 agglutinin DNA의 특정부분을 증폭시켰으나 11종의 다른 견과류, 두류 및 곡류(피스타치오, 아몬드, 해바라기씨, 잣, 호두, 대두, 검은콩, 강낭콩, 팥, 백미, 흑미)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이 PCR 방법으로 땅콩성분이 함유된 6종의 가공식품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으며 땅콩이 구성성분으로 표시되지 않은 13종의 다른 가공식품에 대해서는 모두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본 방법은 정제된 땅콩 DNA를 100 pg까지 검출할 수 있었으며 대두 DNA에 땅콩 DNA가 0.1%까지 혼합된 경우도 검출이 가능하였다.

국내생산식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분석 (Acrylamide Monitoring of Domestic Food Products)

  • 박재영;김청태;김혜영;금은희;이미선;정소영;소유섭;이종옥;오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72-878
    • /
    • 2004
  • 스웨덴에서 발암 가능성이 높은 물질 아크릴아마이드가 굽거나 튀긴 음식에서 검출되었다고 발표한 후 아크릴아마이드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식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다양한 식품을 선택하여 327개 식품을 분석하였다 모티터링 결과 원료식품은 ND-17 ppb, 밥은 ND-14 ppb, 떡은 ND-<10 ppb, 빵은 <10-33 ppb, 유탕면은 ND-27 ppb, 영유아식은 ND-15 ppb, 후렌치 후라이는 141-1,118 ppb, 뻥튀기 누룽지 강냉이 및 건빵은 15-587 ppb,단백질 식품은 ND-<10 ppb, 포테이토 칩, 포테이토 스낵은 278-3,277 ppb, 크래커, 스낵, 비스킷은 13-459 ppb, 시리얼은 <10-236 ppb, 차 및 음료는 ND-24 ppb, 커피는 394-1026 ppb, 초콜릿은 13-30 ppb, 사탕, 캐러멜은 ND-34 ppb, 통조림은 ND-20 ppb, 버터, 마가린 및 유제품은 ND-<10 ppb, 장류은 ND-60 ppb, 소스는 ND-51 ppb, 기타(땅콩, 호두)는 ND-13 ppb 범위의 아크릴아마이드가 검출되었다 국내 제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외국에서 분석된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비슷하였다.

천연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 검색 (Inhibition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 이효정;유미희;이승욱;김현정;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97-1004
    • /
    • 2005
  • 여러 천연물 추출물 140종의 파골세포 분화처제효과 검색은 파골세포의 마커 enzyme인 TRAP활성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파고지$^{3}$, 지각$^{13}$, 금령자$^{6}$, 시호$^{9}$, 황연$^{69}$, 배양인삼$^{98}$, 구맥$^{26}$, 등 대부분의 추출물이 $100{\mu}g/mL$ 농도 이상에서는 높은 세포 독성을 보여서 파골분화 억제 정도를 확인 할 수 없었고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파골세포 분화억제 정도를 재검색한 결과는 천연물 중 파고지$^{3}$, 호두$^{21}$, 용안육씨$^{77}$, 황금$^{78}$, 정공등$^{37}$ 메탄올 추출물과 생대추과육$^{128}$, 콩나물$^{70}$ 열수 추출물은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도 30% 이하의 TRAP 활성을 보여 파골분화 억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 중 전통 한약재인 황금$^{78}$ 메탄올 추출물과 과일류인 생대추과육$^{128}$ 열수 추출물이 $10{\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가장 좋은 파골분화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추출물의 항생제 내성균주(MRSA)에 대한 항균활성 및 내성 유전자 조절 효과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Fractions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Resistant Genes Regulation)

  • 최준혁;유미희;황은영;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41-547
    • /
    • 2009
  • 42가지의 천연물 시료 중 세신, 호두(열수), 골쇄보, 뽕잎, 로즈마리에서 S. aureus ATCC 25923 및 MRSA KCCM 40511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들 시료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로즈마리를 순차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이용한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본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각 분획물 중 hexane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EM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분획물 처리 시 MRSA의 세포벽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즈마리 메탄올추출물 및 hexane 분획물은 MRSA KCCM 40511의 내성 단백질인 MecA와 MecA에 의해 합성되는 세포벽 단백질 penicillinase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고도 내성균의 내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두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의 맛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aste Compounds and Organoleptic Preferences of Soy Sauce with Addition of Walnut)

  • 최희은;유범석;최호민;김준협;정성모;이난희;김나율;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16-922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organoleptic properties and taste components including free sugar, organic acid and free amino acid with addition of walnut. Changes in total nitrogen were in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ddition of walnut. Amino type nitrogen content was decreased in proportion to supplemental level of walnut. Content of organic acids, of which three kinds were detected, such as citric acid, malic acid and lactic acid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with addition of walnut. Contents of free sugar and amino acid were decreased with addition of walnut. The proportion of essential amino acid was 40.6~41.4 percent. Glutamic acid in total amino acid was increased in proportion with addition of walnut.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recorded in soy sauce with addition of 2 percent walnut. Together, it was expected that 2 percent addition of walnut to soy sau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aste of soy sauce.

호두 첨가가 양조간장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Walnut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 Sauce)

  • 최희은;유범석;최호민;김준협;정성모;이난희;김나율;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0-86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ffects of addition of walnuts on soy sauce quality. The p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ng more than 4 percent of walnuts. As the addition of walnuts increased, Hunter's color values and brown color increased. Total solid of soy sauc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walnuts. Crude fat content increased by two times in the 2 percent added walnut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dependent on the addition of walnu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walnuts. The addition of walnuts decrease saturated fatty acids and increased unsaturated fatty acids. Composition ratio of linoleic acid wa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all the addition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soy sauce made with walnuts have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ity and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