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형질 세포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3초

약제에 의한 가잠교미아의 할애효과에 대하여 (Selection of Chemicals for Separation of Copulated Moth of Silkworm, Bombyx mori L.)

  • 박광의;마영일;황석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5
    • /
    • 1984
  • 잠종제조시 많은 잠종제조 노력을 성력화하기 위하여 누에 교미나방이의 할애제를 선발하고져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몇 가지 약제를 서로 잘 배합하여 이의 할애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 처리별 경시적 할애비율에 있어서 TCTFE 처리구는 10분만에 완전히 할애되었고 그 다음은 TCT FE+acetone (87.5 : 12.5 v/v) 배합구와 TCTFE+acetic acid (50 : 50v/v) 배합구가 약제 처리후 25분에 완전히 할애되었다. 그 외 acetic acid 원액처리는 1시간 40분 후에 완전히 할애되었다. 2. 약제 처리별 산란 조사에 있어서는 TCTPE+acetone (87.5 : 12.5 v/v) 구가 아구별 평균 산란수 및 아구별 평균 수정란수를 보아도 약제 처리중에서 가장 성적이 좋았고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TCTFE와 acetic acid 단일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산란수 및 수정란수 모두 대조구보다 적었으며 불산란아도 acetic acid구는 39아로서 가장 많아 acetic acid 단일처리시는 약해로 인하여 산란태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약제 처리에 의한 다음 세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고자 약제 처리를 한 후 산란한 다음 세대잠란을 사육한 결과 전처리구가 경과일수 21일 23시간으로 대조구와 같았으며 화용비율, 수견양, 단견중, 견층중 및 견층비율 등의 실용형질은 대조구와 같은 수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처리구중 TCTFE구는 누에 교미나방이의 할애제로서 효과는 인정되나 누에의 생이와 관련하여 볼 때 단용처리보다는 TCTFE와 acetone 등 적당한 다른 유기용제를 선발하여 이들을 적당량배합하므로서 할애효과를 더 높힐 수 있다고 생각된다25%, 45.5%, 8%, 2.7%, 5% 및 29.3%를 배출하고 있었다. 4. 배출된 충체는 모두 암놈이 었다. 충체의 길이는 일자별로 20일에서 40일째까지 일정한 양상으로 발육하고 있었고, 각 일자별, 증례별로 충체 길이는 정규분포 형식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이상의 소견에서 요충 암놈의 인체내 발육기간은 40일 이상이고 감염후 16일째까지의 어린 충체는"메벤다졸"이 나 "피란텔"에 대해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치료에 저항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 PDF

단세포군항체에 의한 유구낭미충 낭액 특이항원의 순수분리 및 항원특성 관찰 (Purification of cystic fluid antigen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by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monoclonal antibody and its antigenic characterization)

  • 김석일;강신영;조승열;황응수;차창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2호
    • /
    • pp.145-158
    • /
    • 1986
  • 이 연구는 특이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하여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유구낭미충의 낭액에 특이한 항원을 순수분리하고 분리한 항원의 진단용 항원으로서의 특성을 관찰하고자 실시하였다. 유구낭미충 낭액을 BALB/c 마우스에 면역시켜 얻은 비장세포와 마우스 형질세포종을 융합하여 얻은 하이브리도마세포가 분비하는 항체의 항원 결합특이성을 면역효소측정 법으로 먼저 관찰하였다.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대부분(54.9%) 유구낭미충 낭액에만 반응하는 항체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낭액항원과 기타 기생충항원에 같이 반응하는 항체 또는 기타 기생충항원 한가지에만 반응하는 항체등을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세포 집락도 있었다. 무한대 희석법으로 하이브리도마세포를 희석 분주하여 단세포배양을 하였다. 이 경우에도 배양액에 분비한 단세포군 항체는 낭액항원에만 반응하는 경우에 대부분이었으나 기타 기생충 항원에 반응하는 단세포군 항체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유구낭미충 낭액에는 낭액에 특이한 항원결정기 이외에 유구낭미충의 두절 및 낭벽항원, 무구조충 및 간흡충등과 같은 항원결정기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세포군 항체중 낭액항원과 가장 높은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키며 두절 및 낭벽항원에도 약한 반응을 보였던 단세포군 항체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시행하였다. 낭액항원은 순수분리항원(A-Ag) 및 단세포군 항체와 결합하지 않았던 단백질의 총합(U-Ag)으로 분리하였다.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영동법으로 낭액항원, A-Ag 및 U-Ag의 단백질 조성을 관찰한 바 낭액항원과 U-Ag는 6개의 band로 되어 있었으나 A-Ag은 band A 및 band C 두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대부분은 band C이었다. 순수분리한 A-Ag의 진단용 항원으로서의 가치를 면역효소측정법으로 관찰하였다. 낭액항원을 이용하여 혈청 및 뇌척수액내 IgG 항체가가 양성이었던 뇌유구낭미충증 환자에 대하여 A-Ag(같은 단백질함량)를 항원으로 면역효소측정법을 실시한 바 민감도는 낭액 항원이나 U-Ag에 비하여 70%로 낮아졌다. 그러나 낭액항원 및 U-Ag이 무구조충 감염자, 스파르가눔증 환자 및 체흡충증 환자에 대해 나타내는 교차반응이 A-Ag를 항원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모두 사라졌다. 이와같은 결과에서 단세포군 항체를 친화 크로마토그래피의 반응고리로 사용하여 순수분리한 항원은 유구낭미충 낭액항원중 특이한 항원결정기를 갖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순수분리항원은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혈청 및 뇌척수액에 존재하는 다세포기원 항체증 A-Ag의 특이항원결정기에만 반응하는 단세포군 항체 하나 또는 몇가지와만 반응하게 함으로써 특이성은 높아지나 혈청학적 민감도는 저하하였다고 판단하였다.

  • PDF

한국산 사초과 대사초절의 염색체 수 (Chromosome numbers of Carex section Siderostictae from Korea populations (Cyperaceae))

  • 정경숙;양종철;이유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2-26
    • /
    • 2013
  • 한국산 사초과 Carex sect. Siderostictae Franch. ex Ohwi(대사초절, 3종), Carex ciliatomarginata Nakai(털대사초), C. okamotoi Ohwi(지리대사초), and C. siderosticta Hance(대사초)의 염색체 수를 2n = 12으로 밝힌다. 본 연구에서 한반도 자생 C. ciliatomarginata의 염색체 수를 최초로 보고한다. 해외의 다른 사초속 식물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관찰된 모든 염색체에서 응축된 동원체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크기는 다른 종들에서 관찰된 것보다는 길었다($1{\mu}m$이상). 대사초절의 종들도 모두 전부염색체(全部染色體, holocentric chromosome)를 가지며, 본 절이 tribe Cariceae Pax(사초족)에서 가장 먼저 분화된 분류군임을 감안할 때, 염색체 수가 적고(보고된 사초속 염색체 수의 변이 2n = 12 - 132) 크기가 큰 염색체가 Cariceae에서 원시적인 형질로 여겨진다. 사초속의 종 다양성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알려진 염색체 종 분화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한반도에 자생하는 사초속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인 세포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누에를 이용한 시기 특이적 발현 조절 유전자 promoter 개발 (Characterization of the Promoter Controling the Stage-Specific Gene Expression of Bombyx mori)

  • 박승원;최광호;구태원;김성렬;강석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66-147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누에의 초기 배아시기에 유전자 발현 조절이 가능한 EEG-704 promoter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Promoter의 핵심 영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10개의 서로 다른 partial mutant clone들을 만들고 이를 Sf9 곤충세포주에 도입하여 luciferase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clone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Constitutive promoter인 BmA3 promoter에 의한 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약 1.5 kb의 promoter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clone이 가장 높은 luciferase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EEG-704 유전자의 경우 BLAST를 이용한 유전자 비교 분석의 결과 누에의 열충격 단백질20.8 (BmHsp20.8) 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정상 온도조건과 비교하였을 때 열충격을 가한 조건하에서 발현율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특이적으로 발생단계에서 직 간접적으로 발현 조절이 가능한 이러한 promoter는 여러 유용 재조합 단백질 생산을 위한 형질전환 누에 개발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포도당 산화 효소의 생산 (Production of Glucose Oxidase Using Recombinant Yeast)

  • 전병원;김대혁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270-275
    • /
    • 1996
  •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포도당산화효소의 대량생산 에 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분비신호를 포함한 포도당산화효소 유전자는 Aspergillus niger로부터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클로닝한후 G GALl과 GALlO promoter를 이용하여 s. cerevi siae strain 2805에서 말현시킨 결과 GALl promoter를 사용한 형질전환체(yGOD1-l)에서 높은 효율 의 효소생성을 나타냈다. 플라스크 배양 결과 1% galactose를 포함한 YEP 배 지 에셔 최고 6 IU/mL 의 포도당산화효소를 생산하였으며 재조합 포도당산 화효소의 세포내 위치를 비교한 결과 A. niger와는 달리 발현된 효소가 80% 이상 배지로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재조합 포도당산화효소의 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표준품과 비교하여 $50^{\circ}C$까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높은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형질전환 벼 현탁세포 배양에서 혼합효율과 조정배지가 hCTLA4Ig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Performance and Conditioned Medium on hCTLA4Ig Production in Transgenic Rice Cell Suspension Cultures)

  • 최홍열;박준용;남형진;공미경;유예리;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30권6호
    • /
    • pp.307-312
    • /
    • 2015
  • Transgenic rice cells using RAmy3D promoter can provide high productivity, and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 is induced by sugar starvation. In this system, productivity was reduced during the scale-up processes. To ensure the influences of shear stress and oxygen transfer rate, working volume and mixing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agitation speeds and working volumes. In addition, inoculation methods including suspended cells and filtered cells were compared. Working volumes and shaking speeds were 300, 450 mL and 80, 120 rpm, respectively. Hydrodynamic environment of each condition was measured numerically like mixing time and $k_La$. Good mixing performance and high shear stress were measured at high agitation speed and low volume. The highest level of hCTLA4Ig was 30.7 mg/L at 120 rpm, 300 mL. When conditioned medium was used for inoculation, increased cell growth was noticed during the day 0~4 and decreased slower than filtered cells. Compared with filtered cells, the maximum hCTLA4Ig level reached 37.8 mg/L at 120 rpm, 300 mL and lower protease activity level was observed. In conclusion mixing performance is critical factor for productivity and conditioned mediu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damaged cells caused by hydrodynamic shear stress.

효모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의 내면항원의 발현과 분비에 미치는 전위내면항원의 역할 (Role of pre-C Region in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Hepatitis B Viral Core Antigen in Yeast)

  • 신상훈;김성기;노현모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
    • /
    • 1990
  • B형 간염바이러스($\alpha$dr 형)의 내면항원(HBcAg) 유전자는 두개의 단백질 합성시작 유전자 암호 ATG를 갖는다. 하나는 전위내 면항원을 다른 하나는 내면항원 유전자들 위한 ATG 부호이다. 내연항원의 발현과 전위내면항원의 역할을 연구한기 위하여 전위내면 항왼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과 포함하지 않는 내연항원 유전자를 효모발현 운반체에 클j료녕 하였다. 또한 내면항원의 발현에 5 upstream 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5’ 제거툴연변이체를 클로닝하였다. 앞에서 만들어진 플라스미드로 여러 효모 균주을 형질전환시킨 후 발헨된 내면항원과 그와 관련된 항원 HBeAg을 방사면역측정법 으로 확인하였다. 효모에서 내면항원 발현의 최적조건 허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항원은 PGK promoter 와 terminator에 내연향원 올 포함한 pGKHBc를 가진 SHY4에서 검출되었다. 전위내면부위의 존재와 우관하게 내면항원은 배양액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세포내에서만 검출되었다. 이 결과는 전위내면항원이 효모 내에서 내연항왼의 분비에 영향올 주지않음을 의미한다.

  • PDF

구강내 만성염증병소에서 보이는 형질세포육아종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of Plasma Cell Granuloma in Intraoral Chronic Inflammatory Lesions)

  • 김연숙;이석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26-31
    • /
    • 2011
  • Purpose: Chronic inflammatory gingival lesions occur as pyogenic granulomas or non-specific chronic suppurative lesions. Methods: Of the 59 chronic inflammatory gingival lesions examined, plasma cell granuloma (n=14), which showed an intense antibody-mediated immune reaction with the increased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was observed as a pseudotumor-like gingival overgrowth and myofibroblastic or fibrohistiocytitc proliferation of stromal cells with a heavy collection of plasma cells. The levels of CD3, CD20, CD31, CD68, RANKL, cathepsin G, cathepsin K, lysozyme, TNF${\alpha}$, MMP-2, and MMP-9 in the 14 cases of gingival plasma cell granuloma with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athogenetic progresses of the plasma cell granuloma compared to the common pyogenic granuloma (n=45) in the gingiva. Results: The gingival lesions of the plasma cell granulom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histological types, plasma cell predominant type (PPT, n=8), mixed inflammatory cell type (MICT, n=2), and sclerosed fibrosis type (SFT, n=4). The PPT showed a condensed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into the perivascular spaces of the granulomatous lesion with frequent formation of Russel's body in their cytoplasm. The MICT showed the concomitant infiltration of many macrophages together with plasma cells, resulting in the diffuse destruction of stromal fibrous tissue. The SFT showed granulomatous lesions replaced gradually by thick collagenous fibrous tissue, resembling an inflammatory pseudotumor. The SFT expressed strongly the lymphocytic markers, CD3 and CD20, and the macrophage/monocyte markers, CD31 and CD68, but showed reduced expression of common inflammatory markers, TNF${\alpha}$, cathepsin G, lysozyme, MMP-2, and MMP-9, as well as the reduced expression of osteoclastogenic markers, RANKL and cathepsin K.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ingival plasma cell granuloma shows variable gene expression for cell-mediated immunity and stromal tissue degeneration, undergoing sclerotic fibrosis with a persistent inflammatory reaction.

원형질체 융합 방법을 이용한 전분 발효성 효모의 개발 (Construction of Starch-Fermenting Yeast Using Protoplast Fusion Technique)

  • 전순배;배석;이기영;김수현;이진종;김상문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0-127
    • /
    • 1990
  • 전분 분해능이 있는 담자균성 효모, Filohasidium capsuligenum의 종내 및 Saccharomyces cerevisiae와의 속간 원형질체융합을 시도하였다. F capsuligenum CBS 6122-2의 종내 융합율은 각각 $2.9\times10^{-3}$ (ade+mel trp), $8.5\times10^{-3}$(ade+met)이고, F. capsuligemum CBS 4381 (cys his)과 S.cerevisiae 262-12-1 (hom3 thr1), X2180-1A (ade thr)와의 속간 융합율은 각각 $8.8\times10^{-6}$, $9.5\times10^{-4}$이었다. DNA 정량, 핵 염색, 자외선 조사에 따른 생존력 비교 그리고 형질 분리 분석 결과 등을 통해 종내와 속간에서 핵 융합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내 융합체의 경우 세포당 $\alpha$-amylase와 glucoamylase 생성능이 양천형에 비해 1.6-2.1배의 증진 효과가 있었다.

  • PDF

형질전환된 각질형성세포에서 생약추출물에 의한 $NF-{\kappa}B$ 활성화 억제효과 탐색 (Screening of Crude Drugs for the Inhibitory Effect on $NF-{\kappa}B$ Activation in Transfectant HaCaT Cells)

  • 안광석;김성기;문기영;한범수;강삼식;김영식
    • 생약학회지
    • /
    • 제34권2호통권133호
    • /
    • pp.156-160
    • /
    • 2003
  • $NF-{\kappa}B$ (nuclear factor-kappa B) plays a particularly central role in epidermal biology.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ultraviolet radiation (UVR) is one of the mechanisms to induce the activation of $NF-{\kappa}B$ in human skin. W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melanogenic inhibitors may act through the inhibition of $NF-{\kappa}B$ activation in keratinocytes. In order to find another type of melanogenic inhibitors of $NF-{\kappa}B$ activation, various kinds of the extracts from crude drugs $(30\;{\mu}g/ml)$ were preincubated with transfectant HaCaT cells for 3 hrs and then UVR $(60\;mj/cm^2)$ was irradiated. UVR-exposed cells were incubated for another 6 hrs to measure the $NF-{\kappa}B$ activity. $NF-{\kappa}B$ activation was measured with the secreatory alkaline phosphates (SEAP) reporter gene assay using a 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Among natural products, Lycium chinense, Acanthopanax senticosus, Angelica koreana, Kalopanax pictus and Asparagus cochinchinensis were the most potent inhibitors of $NF-{\kappa}B$ activation by UVR.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some crude drugs might act partially through the modulation of the synthesis of melanotrophic factors to decrease melanogenesis in keratin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