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상 형성 제어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fficient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Modeling in Version Control using Object Oriented System (객체지향 시스템을 이용한 버전제어에서 효율적인 형상 형성 제어 모델링에 관한 연구)

  • Oh, Sang-Yeob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4 s.36
    • /
    • pp.123-132
    • /
    • 2005
  • A version control system is used in a rapidly changed environment or a program which developed in a complicated environment. And configuration thread information supporting and it's processing method has an important part in 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thread tool such as a system model of DSEE, a view of ClearCase, a label of SourceSafe, and the package of CCC/Harvest have applied to formalized configuration rule by user and obtained a desired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version. But it is a problem of configuration thread in supporting information that we. in this method. can't know a exactly well-defined configuration rule information and a predefined information. And these information have a demerit that can't supported the close connection along with undefined version and a meta-information. In this paper. we have modeling a system for these problems to solve and a efficiently configuration thread supported. We also proposed a mixed retrieval model included a boolean retrieval model and a vector retrieval model for support efficiently configuration thread information. We applied and designed the libraries using extended facet method.

  • PDF

Object-Oriented Library System for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of the Component in Version Control (버전제어에서 컴포넌트의 형상형성 제어를 위한 객체지향 라이브러리)

  • Oh, Sang-Yeob;Choi, Woo-Se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6
    • /
    • pp.51-58
    • /
    • 2008
  • A version control system is used in a rapidly changed environment or a program which developed in a complicated environment. it is a problem of configuration thread in supporting information that we, in this method, can't know a exactly well-defined configuration rule information and a predefined information. In this paper. Library system is suggested, modelled, and implemented so as to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the components required by the user in many ways. As for the library used in the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suggested in this paper, the components can be retrieved from the library regardless of the infrastructure, applying the extended facet classification. This retrieval framework is managed using TreeSearch class and the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function. The library system of this paper can be used by the interface with other languages, and this system is to have a advantage to extend a facet by user.

  • PDF

Gaussian Optimization of Vocabulary Recognition Clustering Model using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형상 형성 제어를 이용한 어휘인식 공유 모델의 가우시안 최적화)

  • Ahn, Chan-Shik;Oh, Sang-Yeob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2
    • /
    • pp.127-134
    • /
    • 2010
  • In continuous vocabulary recognition system by probability distribution of clustering method has used model parameters of an advance estimate to generated each contexts for phoneme data surely needed but it has it's bad points of gaussian model the accuracy unsecure of composed model for phoneme data. To improve suggested probability distribution mixed gaussian model to optimized that phoneme data search supported configuration thread system. This paper of configuration thread system has used extension facet classification user phoneme configuration thread information offered gaussian model the accuracy secure. System performance as a result of represent vocabulary 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8.31%, vocabulary in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7.63%.

The surface morphology control of the polymeric material using a plasma treatment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이용한 폴리머 소재의 표면형상제어)

  • Sin, Min-Ho;Park, Yeong-Bae;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304-304
    • /
    • 2015
  •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통해 폴리머의 나노 구조를 형성하는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표면 처리를 통해 나노 기둥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PMMA, PDMS, PET, NOA) 위에 표면형상 변화를 위한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였으며, 이 때 플라즈마 표면처리 공정조건은 파워 및 가스분압별에 대한 조건 변화를 주어 표면처리 후 표면형상 변화를 SEM과 접촉각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표면형상에서 PMMA의 나노 기둥 구조를 이용하여 건식접착패치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원뿔형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성기전

  • Im, Seon-Taek;Kim, G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29-129
    • /
    • 2010
  • 플라즈마 처리를 통하여 수직 합성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원뿔형 다발이 될 수 있으며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은 기존의 구조적, 기계적 성질의 향상과 더불어 향상된 전계방출 능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어 이를 X-선원,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백라이트 등의 전자빔 원으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상 제어를 통하여 전계방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생성되는 메커니즘과 조사되는 플라즈마의 역할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생성부와 조사부를 분리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 원을 사용하여 입사되는 이온의 에너지, 조사량, 입자 종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였고 이를 통하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형성되는 메커니즘과 플라즈마의 역할을 밝혀내었다. 알곤 및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질소 및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형성되었다. 특히 산소 플라즈마 처리가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성 메커니즘은 탄소나노튜브의 분극과 쉬스 전기장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모델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질소 및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끝단에 생성되는 C-N, C-O 결합에 의해 향상된 유도 쌍극자와 쉬스 전기장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끝단이 모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생성됨을 밝혀내었다.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서 입사되는 이온의 에너지 조절에 의한 쉬스 전기장 조절과 조사량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직경 및 높이가 쉬스 전기장 및 조사량에 따라 조절 가능함을 보였다. 이로부터 입사되는 이온의 입자 종, 쉬스 전기장 및 조사량 조절 등의 플라즈마 인자 조절을 통하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상 제어가 가능함을 보였다. 탄소나노튜브의 형상 제어와 더불어 세슘 입자 삽입을 통한 탄소나노튜브의 일함수 감소를 통하여 향상된 전계 방출 특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팁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Zn layered-double hydroxide (LDH) based two-dimensional nanostructure

  • Nam, Gwang-Hui;Baek, Seong-Ho;Im, Ji-Su;Lee, Sang-Seok;Park, Il-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71.1-371.1
    • /
    • 2016
  • 다양한 물질계의 2차원 나노구조는 그래핀과 함께 그 고유특성으로 최근 광전소자, 전자소자, 센서, 에너지 생성 및 저장과 수소에너지 생성 등의 응용으로 매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층상이중수산화물 (layered-double hydroxide; LDH) 2차원 나노구조는 생성의 용이성과 층상 내 금속 이온의 교환을 통한 특성의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은 [Zn(1-x) MIII(x)(OH)2][$An-x/n{\cdot}mH2O$] (MIII = Al, Cr, Ga; An- = CO32-, Cl-, NO3-, CH3COO-) 구조로써, Brucite-type 구조 내에서 3가 양이온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은 촉매나, 에너지 저장, 음이온 교환 및 흡착, 화학적 촉매, 바이오 소자 등에 응용이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금속 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자 precursor로써도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연구들을 통한 결과물들이 분말 및 수용액 상태로 남게 되며, 이러한 화합물의 특성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나노구조물들을 다양한 소자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상용의 실리콘이나 glass 등의 기판형태의 물질상에 성장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기판 위에서의 형상 및 특성 제어가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기판을 적용한 Zn기반의 층상이중 수산화물 화합물을 성장하고, 하부물질의 조성제어를 통한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의 형상제어가 가능한 기술에 관한 연구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하부물질의 조성은 Zn와 Al을 통해 이루어지며, 기형성된 Al2O3박막을 핵형성층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에 대해 이차전자주사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및 X-ray회절기법을 통해 구조분석을 하고, Raman 및 광발광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광학적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층상이중수산화물이 기판상에서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관한 규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연구를 통해 핵형성층의 에칭 따라 실리콘 기판상에서 성장하는 층상이 중수산화물 화합물의 형상 및 조성이 제어되는 메커니즘을 구명하였다.

  • PDF

Pd nanostructures with dominant {111} facets for enhanc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나노 형상 조절에 의한 Pd의 전기화학적 특성)

  • Lee, Young-Woo;Park, Kyu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2.2-92.2
    • /
    • 2011
  • 차세대 에너지로 연료전지가 각광을 받고 있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촉매분야에서 백금계 촉매의 사용량의 문제에 따른 매장량 한계점과 귀금속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대책강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백금 촉매의 활성을 증대하고자 나노 크기의 제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촉매의 구조적인 면에 따라 촉매의 활성이 달라지는 점을 착안하여 백금계의 나노 형상 조절 연구와 백금계 촉매를 대체할 비백금계의 촉매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백금계 촉매 중 Pd을 polyol process에 의한 나노 형상 조절을 통하여 단위 질량당(or 단위 부피당)촉매의 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여기서 새로이 도입된 환원제는 Glycerol을 이용하였으며, {111}면이 많이 드러난 Pd 나노입자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나노 형상 조절이 된 Pd촉매를 이용하여 상용화된 촉매(Pd/C(XC-72R))에 비하여 전기화학적인 특성의 차이와 Pd 촉매의 촉매적 특성의 효과를 보고자 한다.

  • PDF

A New Loop Shaping Method for Design of Robust Optimal PID Controller (강인한 최적 PID 제어기 설계를 위한 새로운 루프 형성 기법)

  • 윤성오;서병설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11C
    • /
    • pp.1062-1069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new loop shaping technique for design of robust optimal PID controllers in order to satisfy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PID controller can be designed by selecting the suitable weighting factors Q and R. This technique is developed by pushing all two zeros formed by PID controller closely to a larger pole of the second order plant. As a result, a good loop shaping is achieved in the high frequencies region on the Bode plot. For the robust optimal tuning of PID controller for second order system, a new loop shaping procedure is developed via LQR approach.

탄소섬유 상 Seed 입자의 결정구조에 따른 은나노구조체 형상 제어

  • Lee, Su-Min;Lee, Jae-Hyeok;Kim, Gwang-Beom;Kim, Se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383-383
    • /
    • 2012
  • 최근 나노 소재의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나노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중 은(Silver)은 열전도율과 전기전도율이 가장 우수한 금속으로 다양한 형태의 은 나노 입자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탄소, 비석, 고분자 등의 기판에 다양한 방법으로 성장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판으로 사용되는 재료 중 탄소 복합소재는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 열전도성, 저열팽창성에 따른 치수 안정성, 유연성 등의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까지 방열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의 표면에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지는 Ag seed 입자를 형성하고 폴리올 공정을 통하여 와이어 형태의 나노구조체를 성장시켜 그 형상제어 특성을 FE-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Displacement Control Technique of Pre-stressable Cable Structures by Force Method (하중법을 이용한 케이블 구조물의 변위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 Shon, Su-Deok;Kwan, Alan S.K.;Lee, Seung-Ja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1 no.2
    • /
    • pp.139-149
    • /
    • 2011
  • A cable structures have the advantage that cover a large space without column but it is very sensitive to deal with shape control because of its flexibility. Especially, location of control member and needed elongation of member are important th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ied on displacement control technique for pre-stressed cable structures by force method considering order of control. The layou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in section 2, the control technique by force method for cable structures is given. Secondly, section 3 briefly introduces simple cable net in order to apply control technique considering ordering of actuator. Finally, more complex example for effective member and the conclusion are in section 4 and 5,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