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상 기반 분류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cognition and Reconstruction of 3-D Polyhedral Object using Model-based Perceptual Grouping (모델 기반 지각적 그룹핑을 이용한 3차원 다면체의 인식 및 형상 복원)

  • 박인규;이경무;이상욱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7B
    • /
    • pp.957-96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모델 기반 지각적 그룹핑을 이용한 3차원 다면체의 인식 및 형상 복원에 관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2차원 입력 영상과 여기에서 추출된 특징들의 3차원 특징을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인식 및 복원의 기본 특징으로 이용한다. 이 때, 모델의 3차원 기하학적 정보는 결정 트리 분류기에 의하여 학습되며 지각적 그룹핑은 이와 같은 모델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1차 그룹핑의 결과로 얻어진 3차원 직선 특징간의 관계는 Gestalt 그래프로 표현되며 이것의 부그래프 분할을 통하여 인식을 위한 후보 그룹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후보 그룹은 3차원 모델과 정렬되어 가장 잘 부합되는 그룹을 인식 결과로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정렬의 결과로서 2차원 텍스춰를 추출하여 3차원 모델에 매핑함으로써 실제적인 3차원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불록 영상과 지형 모델 보드 영상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모델 기반의 그룹핑 기법은 결과 그룹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으며 또한 잡음과 가리워짐에 강건한 인식과 복원 결과가 얻어졌다.

  • PDF

A Research on Improving the Shape of Korean Road Signs to Enhance LiDAR Detection Performance (LiDAR 시인성 향상을 위한 국내 교통안전표지 형상개선에 대한 연구)

  • Ji yoon Kim;Jisoo Kim;Bum jin Par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3
    • /
    • pp.160-174
    • /
    • 2023
  • LiDAR plays a key role in autonomous vehicles, and to improve its visibili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performance and the detection object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shape for traffic safety signs that is advantageous for self-driving vehicles to recognize. Improvement plans are also proposed using a shape-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point cloud data collected through LiDAR sensors. For the experiment, a DBSCAN-based road-sign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algorithm, which is commonly used in point cloud research, was developed, and a 32ch LiDAR was used in an actual road environment to conduct recognition performance tests for 5 types of road sig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ct a smaller number of point clouds with a regular triangle or rectangular shape that has vertical asymmetry than a square or circle. The results showe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83% or more.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square mark was enlarged by 1.5 time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t as a square despite an increase in the measurement distanc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to improve dedicated roads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for sensors in the future autonomous driving era and to develop new facilities.

Sweep-based Free-Form Deformation (스윕기반 자유형상변형)

  • Yoon, Seung-Hyun;Kim, Myung-So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2
    • /
    • pp.40-4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윕곡면(sweep surface)을 기반으로 복잡한 3차원 물체의 형상을 변형하는 새로운 자유형상 변형(free-form deformation)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기존의 격자점(control lattices)을 조정하는 체적기반의 방법에 비해 스윕기반의 절차적 (procedural) 모델링 기법의 직관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형상변형 기법을 제공한다. 3차원 물체의 정점들은 스윕곡면의 단면(cross-section)에 바인딩(binding) 되어 곡면의 변화에 따라 형상변형을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스윕기반 형상변형 기법은 3차원 물체를 부분적으로 변형하는 기법과 계층구조를 기반으로 전반적인 형상을 변형하는 기법으로 구분된다. 부분적인 형상변형 기법은 스윕곡면을 구성하는 성분의 다단계(multi-level) 표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중해상도(multi-resolution) 형상변형 기능을 제공한다. 계층구조에 기반한 형상변형 기법은 복잡한 3차원 물체를 위상구조에 따라 여러 계층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의 형상을 근사하는 스윕곡면들을 생성한다. 분할된 각 부분의 정점(vertices)들은 해당 스윕곡면에 바인딩 되어 스윕곡면의 단면의 변화를 따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스윕곡면들은 3차원 물체의 계층구조에 따라서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3차원 물체의 각부분은 상호반응적 형상변형을 한다. 이러한 계층구조에 기반한 상호반응적 형상변형 기법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보다 사실적이고 기능적인 형상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3차원 물체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시된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결과 막성 사구체병증과 같은 신질환이 발견될 수 있으므로 신조직검사의 적응증에 합당한 경우 적극적인 신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원인 질환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남아가 75명으로 남녀비는 3.6:1을 보였다. 임상병리학적 분류상 일차성 신증후군이 89명(92.7%), 이차성 신증후군이 7명(7.3%)이었으며 일차성 신증후군에서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이 71명으로 79.8%,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11.2%, mesangial proliferation 4.5%, membranoprolifrative glomeulonephritis 3.4%, membranous nephropathy 1명 1.1%이었으며 2차성 신증후군은 $Henoch-Sch\"{o}nlein$ nephritis가 3례로 가장 많았다. 미세변화 신증후군 71명 중 비재발군이 16명으로 22.5%, 비빈발 재발군 49.3%, 빈발 재발군 18.3%, 스테로이드 의존군 9.9%를 보였다. 결론 : 대전시에서의 신증후군 환아의 발생빈도는 15세이하 소아 10만명당 약 5명으로 추정되었으며 10여 년전과 비교하여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 PDF

A PLIB-based New Bridge Breakdown System Considering Functional Properties - Focused on Geometric Modeling - (교량 구성요소의 기능적 특징을 고려한 PLIB 기반 제품 분류체계 - 형상 정보모델링을 중심으로 -)

  • Lee, Sang-Ho;Lee, Hyuk Jin;Park, Sang I.;Choi, Kyou-Won;Kwon, Tae 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9 no.4
    • /
    • pp.335-345
    • /
    • 2016
  • It has problems to use the existing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as the bridge breakdown structure due to lack of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 classes.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bridge breakdown system for supplementation of above-mentioned classific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for geometric information modeling, was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of methodology for structuring part families namely PLIB Part 42. In particular, the breakdown system, considering of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for the semantic information of the elements is included. In addition, we proposed a basic framework for actual modeling using bridge breakdown system and showed that it can be used in practice.

Age of Face Classification based on Gabor Feature and Fuzzy Support Vector Machines (Gabor 특징과 FSVM 기반의 연령별 얼굴 분류)

  • Lee, Hyun-Jik;Kim, Yoon-Ho;Lee, Joo-Shi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1
    • /
    • pp.151-157
    • /
    • 2012
  • Recently, owing to the technology advances in computer science and image processing, age of face classification have become prevalent topic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age of facial shape with statistical figures because facial shape of the person should change due to not only biological gene but also personal habit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robust age of face classification method by using Gabor feature and fuzzy support vector machine(SVM). Gabor wavelet function is used for extracting facial feature vector and in order to solve the intrinsic age ambiguity problem, a fuzzy support vector machine(FSVM) is introduced. By utilizing the FSVM age membership functions is defined. Some experiments have conducted to testify the proposed approach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better age of face classification precision.

Fingerprint Classification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Huge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대용량 지문인식 시스템의 효율성 증가를 위한 지문분류)

  • 고영민;조성원;김재민;최경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355-358
    • /
    • 2003
  •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문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적인 처리효율 증가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의 형상을 일정한 패턴을 기준으로 분류를 수행함에 있어서 영상의 Noise제거를 위해 하나의 영상에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블록으로 영상을 분할하여 공통적으로 추출해 내는 특이점의 Position과 개수에 따라 지문을 분류하여 대용량 지문인식 시스템의 처리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

  • PDF

Component Configuration Management on NMS Domain Architecture (NMS 도메인 아키텍처에서의 컴포넌트 형상관리 기법)

  • Kim, Ji-Young;Kim, Haeng-Kon;Kim, Tai-Hu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439-443
    • /
    • 2002
  • 인터넷, 특히 웹의 확산으로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환경은 응용의 표준 아키텍쳐로 인식 되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최상의 서비스 제어, 공유를 위해 복잡한 네트워크 구성 자원들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응용의 표준 하부 지원 시스템으로서 뿐 아니라 독립적인 상업용 응용으로서 수요와 기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측면에서는 패턴과 컴퍼넌트에 의한 조립, 확장을 중심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재사용이 소프트웨어 생산의 기대치를 현실화할 수 있는 최상의 접근 방법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망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컴포넌트 개발을 위해 선행 작업으로 해당 도메인에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식별, 분류하는 컴포넌트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범주화한다. 또한 재사용 컴포넌트의 개발과 유통, 사용을 위한 컴포넌트 관리를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해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한 컴포넌트 형상관리 요소들을 제시한다. 망관리를 위한 컴포넌트의 식별, 설계와 형상관리 기법들은 이들 컴포넌트들을 CBD 프로세스에 의해 망관리 시스템에 실질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응용의 개발과 운용에 있어서 생산성 및 품질 향상으로 기대될 것이다.

  • PDF

Terrain Cover Classification Technique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지형분류 기법)

  • Sung, Gi-Yeul;Park, Joon-Sung;Lyou, J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5 no.6
    • /
    • pp.55-59
    • /
    • 2008
  • For effective mobility control of UGV(unmanned ground vehicle), the terrain cover classifica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as well as terrain geometry recognition and obstacle detection. The vision based terrain cover classification algorithm consists of 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classification and post-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to classify terrain covers based on the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The color space conversion is performed for the pre-processing, the wavelet transform is applied for feature extraction, and the SVM(support vector machine) is applied for the classifi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a promis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Block-based Color Image Segmentation Using CLS Image (색차 휘도합 영상을 이용한 블록 기반 칼라 영상 분할)

  • 곽노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71-276
    • /
    • 2000
  • 본 논문은 칼라 성분들간의 차분 영상과 휘도 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색차 휘도합 영상을 대상으로 블록에 기반한 영상 분할을 수행하여 객체의 형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분할 특성을 개선한 블록 기반 칼라 영상 분할 기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R, G, B 영상들 간의 차분 성분들을 구하여 합산한 후, 이를 정규화하여 색차합 영상을 구한다. 다음으로 화소 단위로 휘도 영상의 상위 2비트와 정하화된 색차합 영상의 하위 6비트를 결합하여 색차 휘도합 영상을 얻는다. 이후, 기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된 색차 휘도합 영상의 각 블록을 질감 블록과 단순 블록 및 에지 블록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블록별로 병합한 후, 기설정된 마커 배정 규칙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커를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마커가 부여되지 않은 블록을 대상으로 화소 단위의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형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고찰할 때, 제안된 방범은 질감 영역에서의 과분할의 문제와 과도한 연산량의 부담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으나, 더불어, 영상 분할용 파라미터들의 민감도가 낮아 서로 다른 화소 분포 특성온 갖는 영상들에 전역적인 파라미터들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색차 휘도합 영상에 반영된 색차 성분에 힘입어 저대조 경계면에서의 분할 특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Automated Classification of Ground-glass Nodules using GGN-Net based on Intensity, Texture, and Shape-Enhanced Images in Chest CT Images (흉부 CT 영상에서 결절의 밝기값, 재질 및 형상 증강 영상 기반의 GGN-Net을 이용한 간유리음영 결절 자동 분류)

  • Byun, So Hyun;Jung, Julip;Hong, Helen;Song, Yong Sub;Kim, Hyungjin;Park, Chang Mi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5
    • /
    • pp.31-39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ed method for the ground-glass nodule(GGN) classification using GGN-Net based on intensity, texture, and shape-enhanced images in chest CT images. First, we propose the utilization of image that enhances the intensity, texture, and shape information so that the input image includes the presenc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solid component in GGN. Second, we propose GGN-Net which integrates and trains feature maps obtained from various input images through multiple convolution modules on the internal network.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we used 90 pure GGNs, 38 part-solid GGNs less than 5mm with solid component, and 23 part-solid GGNs larger than 5mm with solid component. To evaluate the effect of input image, various input image set is composed and classification result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using the composition of intensity, texture and shape-enhanced images showed the best result with 82.75% accu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