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상코드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ode Selection Chain Code for Coding of Line Drawing Images (선도형의 부호화를 위한 모드설정 체인코드)

  • 장기철;최연성;최종수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3 no.1
    • /
    • pp.41-53
    • /
    • 1988
  • Line drawing images are the most proper information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and shapes of digital images and used for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For the coding of line drawing images, common eight-direction chain code is used mostly. In the paper, the new mode selection chain code method is proposed which can compress the eight-direction chain code about twenty percents and be used for the reversible coding method of line drawing images. In this coding techniques, we set a reference mode for each quadrant around an abject pixel, and assign 3-directional code for these reference modes. Therefore a line pixel is coded with 3 bits. Also, a new corner finding method of line drawing images using this mode selection chain code is proposed in this paper.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Message Definition and Management System (메시지 정의 및 관리시스템(MDMS) 적용 사례 연구)

  • Ryu, J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639-641
    • /
    • 2014
  •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정의 및 관리를 위하여 개발된 MDMS (Message Definition and Management System) 는 인터페이스 요구사항명세서(IRS: Interface Requirement Specification)과 인터페이스 설계기술서 (IDD: Interface Design Description), 인터페이스 구현 및 통합의 단계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개발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통합관리는 인터페이스 개발에 따른 IRS, IDD, 구현코드에 걸친 일관성 유지를 쉽게 해주며,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통합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불일치로 인한 문제의 대부분을 제거해 준다. MDMS 기반의 인터페이스 관리는 한번의 인터페이스 정의로 IRS, IDD, 송수신 코드까지 생성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정의 및 개발의 단계를 한단계로 축소하여 각 단계 사이의 불일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며, 일관성 유지 노력이 필요없다. 삼성탈레스에서는 2008 년 이후 10 여개의 함정전투체계 프로젝트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MDMS 를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의 향상을 이루었다. 특히 인터페이스 정의, 설계, 문서 작성, 코드 구현, 형상관리가 통합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개발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중복 작업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문서와 코드간의 불일치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측면에서도 인터페이스의 복잡도를 평가하여, 향후 유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구성에 활용할 수 있다.

Design of Update Engine for Component Repository (컴포넌트 저장소를 위한 업데이트 엔진 설계)

  • Kim, Ji-Hyun;Knag, Byung-U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035-2038
    • /
    • 2002
  • 코드기반 재사용이 가능한 객체기반 프로그래밍(OOP : Object-Oriented Programming)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높은 재사용성(Reuse)을 가진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CBD : Component Based Development)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미 개발된 컴포넌트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저장소 (Repository)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설계된 저장소는 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중인 컴포넌트에 대한 관리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상관리중이 컴포넌트의 버전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업데이트 엔진을 설계하고, 형상관리 컴포넌트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Study on Properties of Interior Ballistics According to Solid Propellant Grain Configuration (고체추진제 형상에 따른 강내탄도의 특성 연구)

  • Jang, Jin-Sung;Sung, Hyung-Gun;Kim, In-Joo;Roh, Tae-Seong;Choi, D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59-162
    • /
    • 2009
  • Using the numerical code for the interior ballistics, the performance of the interior ballistics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olid propellant has been investigated. In existing research, only ball type solid propellant is considered but at this research, cylinder and single slot type solid propellants are considered. Definite the change of performance of the interior ballistics according to specific surface area.

  • PDF

A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Tube Flow with the Variations of the Axially-Positioned Super-Circled Orifice Shape (유동방향의 초원형 오리피스 형상 변화가 관유동에 미치는 동특성 연구)

  • Kim, Youn J.;Lee, Sang-Sub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6 no.1
    • /
    • pp.52-57
    • /
    • 1997
  •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mpressible flow fields in super-circled constricted tube have been studied numerically. By applying MacCormack's explicit scheme, time marching method with predictor/corrector step, Euler equation is solved to find characteristics of fluid flow in a constricted tube where a two-dimensional inviscid compressible flow is assumed. The effects of tube diameter and aspect ratios on the pressure variations are discussed extensively. The results of the developed numerical schem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cial FLUENT code, and show a good agreement.

  • PDF

Airfoil design for active load control wind turbine blade (능동하중제어 블레이드 적용을 위한 에어포일 설계)

  • Shin, Hyung-K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449-45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형 플랩을 채용하여 능동하중제어를 이루고자하는 풍력 블레이드의 적용을 염두해 둔 에어포일 설계를 수행하였다. 블레이드 팁 부분에 플랩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플랩의 구동장치, 연결 부위 등의 장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블레이드 내부에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에어포일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뒷전의 두께비가 증가된 에어포일 형상의 설계가 필요하다. 최적설계를 위하여는 MIGA(Multi- Island Genetic Algorithm)을 채용하였으며 에어포일의 성능 계산을 위하여는 Xfoil을 결합하였다. 또한 형상 생성을 위하여 Hick-Henne 형상 함수를 이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계된 에어포일은 코드길이 85% 위치에서 두께비 6.3%,양항비 133을 가지게 되어 기본으로 설정한 DU180 에어포일에 비해 성능과 필요 두께비를 모두 능가하는 에어포일이 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Optimized Wing Design of Subsonic Aircraft (아음속 항공기 날개 최적 설계 기술 개발)

  • Kim, Cheol-Wan;Choi, Dong-Ho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1
    • /
    • pp.175-182
    • /
    • 2011
  • Optimized design was performed for a subsonic aircraft wing. The subsonic aircraft is dual turbo-prop and carrying less than 100 passengers. The cruise speed is Mach 0.6. The design was performed by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decide the height of horizontal tail by analyzing the directional stability with Vorstab and then, the optimized wing configuration was selected with Piano, a optimizer commercially available. Fluent, a commercial CFD software was utilized to predict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aircraft. Drag of the aircraft was minimized with maintaining constant lift for cruise. The optimization reduced 10 counts from the initial wing configuration.

지지격자 형상에 따른 봉다발 부수로 난류유동 CFD 분석

  • 인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514-519
    • /
    • 1998
  • 범용 전산유체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코드인 CFX를 이용하여 지지격자 형상에 따른 봉다발 부수로에서의 난류유동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ABB와 SIMENS가 각각 개발한 split vane이 부착된 지지격자와 원자력연구소가 개발중인 회전유동 발생장치가 부착된 지지격자를 포함하는 부수로 난류유동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지지격자 형상에 대해 부수로에서의 축방향 속도, 횡방향 속도, 난류 운동에너지, 와류크기와 압력강하 둥을 비교-분석하였다. 세가지 경우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SIMENS split vane의 유동 전향날개가 크기때문에 와류와 압력강하가 다소 크게 예측되었다. 난류 운동에너지와 와류크기는 지지격자 근처에서 현저히 증가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측정결과를 CFX예측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CFX 예측결과는 지지격자 근처에서 실험 결과와 다소 큰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적 부수로 유동특성을 잘 나타낸다.

  • PDF

지면효과를 고려한 비행체에 따른 공력 특성 분석

  • Kim, Tae-Uk;Park, Da-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11a
    • /
    • pp.58-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면효과의 영향을 비행체의 형상에 따라 비교하기 위해 에어포일, 플랩을 장착한 에어포일 그리고 플라잉디스크를 EDISON_CFD를 통해 해석하고자 한다. 받음각 $0^{\circ}$, $5^{\circ}$, $10^{\circ}$에 대하여 마하수 0.18, 단위 길이 당 레이놀즈수 $3.78{\times}10^{-5}/m$의 유동조건에서 2차원 범용 소프트웨어인 KFLOW_EDISION_13의 S-A Turbulent Model을 이용하여 지면과의 높이를 형상 코드길이를 기준으로 0.25c, 0.5c, 1c, 3c로 변경하면서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 형상 모두 일반적인 지면효과인 지면과 가까울수록 양력계수는 증가, 항력계수는 감소하여 양항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일부 예외적인 부분을 확인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irfoil design for active load control wind turbine blade (능동하중제어 블레이드 적용을 위한 에어포일 설계)

  • Shin, Hyung-Ki
    • New & Renewable Energy
    • /
    • v.5 no.4
    • /
    • pp.29-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형 플랩을 채용하여 능동하중제어를 이루고자하는 풍력블레이드의 적용을 염두해 둔 에어포일 설계를 수행하였다. 블레이드 팁 부분에 플랩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플랩의 구동 장치, 연결 부위 등의 장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블레이드 내부에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에어포일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뒷전의 두께비가 증가된 에어포일 형상의 설계가 필요하다. 최적설계를 위하여는 MIGA(Multi-Island Genetic Algorithm)을 채용하였으며 에어포일의 성능 계산을 위하여는 Xfoil을 결합하였다. 또한 형상 생성을 위하여 Hick-Henne 형상 함수를 이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계된 에어포일은 코드길이 85% 위치에서 두께비 6.3%,양항비 133을 가지게 되어 기본으로 설정한 DU180에어포일에 비해 성능과 필요 두께비를 모두 능가하는 에어포일이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