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상정의

Search Result 53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orm Definition of Free Form Structure (자유형상 구조물의 형상정의)

  • 박재섭;우일국;김수영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91.04a
    • /
    • pp.43-47
    • /
    • 1991
  •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optimum form decision of 3-D free fort structure such as ship, plane, automobile, definition of versatile forms and comparision between them satisfying the design criterion, is essential. In this paper, three dimensional free-form structure and it's variation are defined and attempts were made to obtain geometric form information for structural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method ks been tested for a particular free-form model selected.

  • PDF

Particle based fluid animation for controllable multiphase smoke (다상 기체의 형상 제어를 위한 파티클 기반 유체 애니메이션)

  • Roh, Byung-Seok;Kim, Chang-Hye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3
    • /
    • pp.34-40
    • /
    • 2005
  • 본 논문은 파티클을 이용하여 다상의 기체에 대한 형상 제어를 수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유체를 하나의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힘만 샐에 적용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논문에서는 단일 밀도장내에서 파티클마다 다른 목표 형상으로 가고자 하는 힘을 정의하여 서로 다른 성질의 유체를 구성하는 파티클이 각자의 목표 형상으로 진행하는 동시에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목표 형상 내부에서의 분산력을 정의하여 파티클들이 목표 형상에 도달한 후에도 목표 형상의 세밀한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멈추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게 하였다.

  • PDF

3D Image Scan Data-based Sweeping Shape Reconstruction Algorithm (3D 이미지 스캔 데이터 기반 SWEEPING 형상 역설계 알고리즘)

  • Kang, Ta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896-897
    • /
    • 2015
  • 본 연구는 3D 이미지 스캔 데이터 기반으로, SWEEPING 형상을 효과적으로 역설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형상 단면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3차원 SWEEPING 형상을 자동으로 역설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3D 이미지 스캔 데이터인 포인트 클라우드에서 자동으로 추출한 단면 포인트들을 처리해, 파라메터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정의된 형상 단면들과 상호간 유사도를 비교한 후, 가장 유사한 형상 단면을 획득한다. 이러한 기술은 SWEEPING 형상 모델의 역설계 과정을 자동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Continuum constitutive equation of Shape Memory Alloy based on plasticity model (소성모델에 기초한 형상기억합금의 연속체 구성방정식)

  • Ryu, Jung-Hyun;Kim, Sang-Huan;Cho, Mang-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0-3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징적인 거동을 모사하기위한 구성방정식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구성방정식은 기존의 소성모델을 기초로 하는 현상학적인 모델로, 소성 경화이론에서 사용되는 항복곡면에 대응되는 상변이 곡면을 정의하여 형상기억합금의 비선형 거동을 모사한다. 단, 상변이 곡면이 1개만 존재하는 소성모델과는 다르게,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의 정방향 상변이와 마르텐사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로의 역방향 상변이를 각각 해석하기위해 독립적인 2개의 상변이 곡면을 정의해주게 된다. 기계적 하중만이 아닌 열적 하중의 변화에도 비선형 거동을 보이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반영하기위해 상변이 곡면은 응력과 온도의 함수로 정의되며, 이렇게 정의된 상변이 곡면을 바탕으로 리턴 매핑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열적하중과 기계적하중의 변화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의 거동을 모사하는 구성방정식을 제안하였다.

  • PDF

초고집적 소자제조용 감광재료의 특성 및 레지스트 공정

  • Lee, Jae-Sin
    • ETRI Journal
    • /
    • v.11 no.1
    • /
    • pp.123-135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0.5\mum$의 최소선폭을 가지는 초고집적 소자제조에 필요한 레지스트 재료의 특성 및 레지스트 공정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인 레지스트 특성변수들 중에서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중요한 미세형상 정의 및 건식식각에 의한 패턴전사에 관련된 변수들을 깊이 살펴보았다. 미세형상 정의에 필요한 레지스트 특성의 한계는 회절에 의한 분해능 한계 이론을 적용하였고, 패턴전사에 필요한 한계는 반응성 이온식각 과정을 고려하여 유추하였다. 마지막으로 굴곡이 있는 기판 상에서의 초미세 형상 정의를 위한 여러가지 레지스트 공정을 간단하게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사출금형부품의 특징형상의 분류기법 개발

  • 경영민;조규갑;류광렬;정영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456-460
    • /
    • 1993
  • 최근 제품의 설계와 제조의 동기화를 위해 제품설계 및 공정설계 분양에서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의 개념을 도입한 부품의 특징형상(feature)에 의한 접근방법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징형상은 CAD/CAM 통합을 위한 정보전달의 매개체로서 CAPP 시스템 개발시의 CAD/CAPP 인터페이스에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제조분야에서의 특징형상 적용은 특징형상인식(feature recognition)과 특징형상에 의한 설계 (feature based design)의 두 가지 분야가 있으며, 이 두 분야 모두 특징형상의 상세한 정의와 분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징형상의 기하학적인 정의 및 분류를 위한 체계를 제시하고, 사출금형의 구성부품을 대상으로 특징형상의 기하학적 속성으로부터 특징형상의 분류기법을 개발한다.

  • PDF

Form Design of Free Form Structure (자유형상 구조물의 형상 설계)

  • 김수영;박재섭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5 no.2
    • /
    • pp.79-85
    • /
    • 1992
  •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optimum form decision of 3-D free form structure such as ship, plane, automobile, definition of versatile forms and comparision between them satisfying the design criterion, is essential. In this paper, 3-D free form structure and it's variation are defined and attempts were made to obtain geometric form information for structural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method has been tested for a particular free model selected.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Vertex Creation to Define Ship Hull Forms (선체형상 정의를 위한 버텍스 산출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 Hyun-Kyoung Shin;Sang-Sung Shin;Kyu-Won Park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3
    • /
    • pp.31-37
    • /
    • 1994
  • When a lot of input data are not distributed uniformly n a chord-span direction or when the given shape is complicated,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an inverse matrix which represents the smooth Bi-cubic B-spline surface of the initial shape.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uggest image Surface Expansion Method(ISE Method) which is suggested for vertex creation of B-spline curves and surfaces. Its basic concept, convergency and verification are shown. Also B-spline curves and Surfaces represented by ISE Method were compared with those represented by the existing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inverse matrix method, the pseudoinverse matrix method and the chord length approximation method for vertex yielding. Ship Hull Forms which have Knuckle, Bulbous Bow, Transom and Stern frame were represented by the ISE Method.

  • PDF

Smoothing freeform surfaces using discrete irradiance-curvature metric (이산 복사조도-곡률을 이용한 자유곡면의 스무딩)

  • 김승만;이관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76-678
    • /
    • 2003
  • 본 논문은 이산 복사조도-곡률 척도를 이용하여 간략화된 자유곡면을 스무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산 복사조도-곡률이란 형상의 기하학 조건인 이산 곡률뿐만 아니라 렌더링을 위해 설정된 라이팅 조건인 복사조도를 고려한 이산 척도이다. 즉 광원과 정점 사이에서 계산된 복사조도값과 메쉬 곡면의 이산 표면에서 정의되는 이산곡률값을 이용하여 각 점정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간략화된 분할곡면의 형상을 스무딩한다. 결국 제안된 이산 복사조도-곡률 척도를 고려한 스무딩 알고리즘으로 간략화된 메쉬 곡면의 형상과 렌더링 결과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Modeling in Version Control using Object Oriented System (객체지향 시스템을 이용한 버전제어에서 효율적인 형상 형성 제어 모델링에 관한 연구)

  • Oh, Sang-Yeob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4 s.36
    • /
    • pp.123-132
    • /
    • 2005
  • A version control system is used in a rapidly changed environment or a program which developed in a complicated environment. And configuration thread information supporting and it's processing method has an important part in 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thread tool such as a system model of DSEE, a view of ClearCase, a label of SourceSafe, and the package of CCC/Harvest have applied to formalized configuration rule by user and obtained a desired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version. But it is a problem of configuration thread in supporting information that we. in this method. can't know a exactly well-defined configuration rule information and a predefined information. And these information have a demerit that can't supported the close connection along with undefined version and a meta-information. In this paper. we have modeling a system for these problems to solve and a efficiently configuration thread supported. We also proposed a mixed retrieval model included a boolean retrieval model and a vector retrieval model for support efficiently configuration thread information. We applied and designed the libraries using extended facet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