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 성과

Search Result 1,237,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 of Organizations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or Collaboration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협업성과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협업도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Sungyoun;Lee,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498-51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IC) on collaborative performance(C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O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irst, IE and RS, ISI, RS, and COM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SI, Perf, respectively. The all factors of CP affected JS and OC. Second, IE, COMN, and RS influenced OC through CC and Perf. Third, online cooperative tools for collaboration have been moderated between RS and ISI, CoW and CC, IE and Perf, Perf and JS, repectively- IE(Infromation Exchange), CoW(Collaboration Work), Communication(COMN), Relationship(R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ISI), CC(Collaboration Culture), Perf(Performance), JS(job satisfactino), and OC(Organization Commim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one implic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online communication collaboration tools that take into account internal communication component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Impact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in Logistics Firm on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물류기업의 관계특성이 협업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i, Sung-Kwang;Ha, Myung-Shi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7 no.3
    • /
    • pp.13-39
    • /
    • 2011
  • Many previous studies on the subject of supply chain have consistently claimed that they need collaboration among the partners of supply chains in order to enhance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usal linkages among relational characteristics, collaboration, performance in the logistics firm and this research focuses on two types collaboration(operational collaboration and strategic collaboration) as the mediation variable between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To test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we collected data from logistics firm(N=164).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was tested using the PLS(Partial Least Square) statistical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rust, and information sharing have positive influences on operational collaboration, and operational collaboration have also positive influences on supply chain performance. Du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trategic collaboration. However, strategic collaboration has non-positive influences on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effect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on supply chain performance is mediated by operational collaboration.

Design of Mobile Agent Based Cooperation Group Management Scheme for Dynamic Scalability (동적 확장성을 지원하는 이동에이전트 기반 협업 그룹관리 기법 설계)

  • Cho, Hyun Jin;Kim, Gu Su;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921-924
    • /
    • 2004
  • 에이전트 협업은 다수의 에이전트가 하나의 업무에 참가하는 것을 말한다. 물리적인 위치 제약에서 자유로운 이동 에이전트는 네트워크상의 여러 호스트 들을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에이전트로 협업을 할 때 멤버 에이전트의 위치와 할당된 업무를 제어하는 중앙 관리 에이전트가 필요하다. 중앙 관리 에이전트는 요청 받은 업무를 분할하여 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에이전트들과 협업을 한다. 중앙 관리 에이전트 역시 이동에이전트 라는 점을 이용하여 한 장소에서만 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협업 수행 중 또 다른 협업이 필요하게 되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협업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에이전트를 이용해서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협업과 로컬/리모트 상의 중앙 관리 에이전트간 통신을 통해 협업 그룹을 동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그룹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New Collaborative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 Manufacturing Collaboration Based on the SCOR Model (SCOR 모형에 기반한 새로운 제조협업의 협력적 성과지표 개발 및 측정)

  • Jung, Ji-Whan;Jung, Jae-Yoon;Shin, Dong-Min;Kim, Sang-Kuk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5 no.1
    • /
    • pp.157-171
    • /
    • 2010
  • To effectively maintain manufacturing collaborati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erformance measurements for the collaboration is required. Most exist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however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performances of internal activities or outsourcing of a company. For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devise new key performance indicators that the partners participating in the collaboration can arrange and compromise with each other to reflect their common goals. In this paper, we propose collaborative Key Performance Indicators(cKPIs),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collaboration work of multiple manufacturing partners on the basis of the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SCOR) model. Also, a modified Sigmoid function is devised as a desirability func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Level Agreement(SLA) between two partners. The proposed indicators and the desirability functions can be utilized to perform and maintain the successful collaboration by providing a way to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The Study on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Project Success via Online Collaboration Tool : Focusing on Individual, Relational, and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Project (온라인 협업 툴을 통한 프로젝트 성과 창출 메커니즘 연구 : 개인 특성, 관계적 특성, 시스템 특성을 중심으로)

  • Park, Jun-Young;Seo, Bong-Goon;Park, D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81-481
    • /
    • 2017
  • IT 발전은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직접 대면하여 공동으로 작업을 진행하던 협업 방식을 웹 기반 툴을 활용한 온라인 협업 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온라인 협업 툴이 개발 및 상용화되고 있으며, 그 중 온라인 오피스로 불리는 Google Docs도 이에 해당한다. 사용자들은 Google Docs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무료로 문서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과 문서를 공유할 수 있으며, 해당 문서작업을 동시에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업뿐만 아니라 교육 기관에서도 협업이 필요한 과제 및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Google Docs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면대면 공동프로젝트 방식에 있어서도 성공적인 성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여러 중요한 요인들이 제시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온라인 협업 툴을 활용하여 창출할 프로젝트 성과물의 품질에도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높은 품질의 프로젝트 성과물을 창출하기 위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온라인 협업 툴을 통한 성과 품질 혹은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족에 대해 검증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수행 주체의 개인적 특성, 프로젝트 멤버들간의 관계적인 특성, 협업 툴이 지니고 있는 시스템적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성과물의 품질과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매커니즘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점차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협업 툴의 발전 방향과 사용자들의 활용도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ollaboration-based, Performance-Management Model for Networked Enterprises (네트워크 기업의 협업 성과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 Kim, Duk-Hy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7 no.1
    • /
    • pp.120-135
    • /
    • 2010
  • Competition is now moving from between companies to between networked enterprises(NE). It's difficult to evaluate the outcome of NE because formalization of collaboration among partners is difficult. This paper introduces a performance-management model focusing on collaboration in NE. The model is an integration of BSC and EFQM model, but it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researches as it links performance management with strategic management based on a comprehensive framework of collabora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are further required to validate the model. Studying cases of several Korean NEs, we have obtained some findings for further research and application.

  • PDF

Design of Supporting Awareness on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using Java Message Service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CoSlide 협업시스템의 Awareness 지원 설계)

  • Kim, Seong-Hune;Lee, Hong-Chang;Park, Jong-Mun;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213-217
    • /
    • 2008
  • 협업시스템은 분산된 작업그룹의 구성원들이 정보를 쉽게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작업환경이다. HTTP/1.1 을 확장한 WebDAV는 사용자가 원거리 서버의 자원을 수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 통신 프로토콜이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효과적으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WebDAV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개발된 협업시스템으로서 협업을 위한 가상공 간을 제공하며 가상공간에 다양한 자원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CoSlide 협업시스템이 제공하는 기존의 작업장들은 그룹 구성원들간의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구성원들의 행위 인식 (Behavior Awareness) 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할 때, 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성원이 수행하는 행동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CoSlide 서버의 Awareness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CoSlide 서버의 Awareness 지원을 위하여 CoSlide 클라이언트인 CoSpace의 확장을 설계하였다. 사용자는 CoSpace 협업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하면 CoSlide 서버는 구성원이 수행하는 작업을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의 공개수준 여부와 수신여부를 참조하여 관련된 구성원에게 알려줌으로써 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ollaborative Efficiency of GUI Design Prototyping Software (GUI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 협업 효율성 비교 연구)

  • Kim, you-ri;Choe,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5-306
    • /
    • 2019
  • GUI 디자인 업무 환경에서 협업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프로토타이핑 소프트웨어를 GUI 디자이너의 협업 효율성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디자이너들을 인터뷰하여 협업 형태에 따른 한계점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Design of Co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Reliability in Resource Sharing on Base Internet (인터넷 기반 자원 공유 시스템에서 신뢰성 향상을 위한 협업 관리 시스템 설계)

  • Park, Ji-Su;Chung, Kwang-Sik;Shon, Jin-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937-940
    • /
    • 2005
  • 인터넷 기반 자원 공유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피어의 자원을 이용하여 고성능의 컴퓨팅 구현을 위한 시스템이다. 인터넷 기반 자원 공유 시스템의 가변적인 환경은 피어의 등록 및 삭제가 자유로워 연산 처리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기반 자원 공유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서 이기종 시스템간의 협업 그룹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협업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효율적인 협업 관리를 위해 이기종 피어를 관리하는 협업 그룹을 정의하고 계층 구조의 중간DB서버를 제안한다. 그리고 협업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협업 그룹 서비스, 디스커버리 서비스, 작업 관리 서비스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NPD(New Product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on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협업을 통한 신제품 개발과 커뮤니케이션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Sang Eun;Seo, Young 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0
    • /
    • pp.558-566
    • /
    • 2020
  • New Product Development (NPD) is essential for companies' survival, and continuous growth in the rapidly changing, convergence and business environment, and companies need to collaborate with their internal and external partners to improve performance in NPD. This research examined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NPD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and supplier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formality and reciprocal feedback)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employees who worked in manufacturing for more than one year with experience in NPD were tested.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were assessed using the sample 272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and supplier collaboration, which are the factors of NPD collabor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ormality. Second, formality and reciprocal feedbac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iprocal feedback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refore, for successful NPD, manufacturing companies need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and communicate officially and reciprocally to maximiz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ciprocal partnership between suppliers. To accomplish this, companies need to plan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spond quickly to internal and external partners'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