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적 제품개발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Co-operation Partners on Innovation Performance :Focused on service industry (협업 파트너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 Jeun, Hyang-Ok;Hyun, B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699-708
    • /
    • 2017
  • The service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global economy and the industrial environment. Developed countries have promoted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and have enhanced economic added value. Developing new services requires extensive resources. Therefore, cooperation and network building capabilities with customers, suppliers, and various knowledge creation agencies are critical sources of competitiveness. This study classified the Korean service industry by industrial type in order to enhance innovation competence.The Korean service industry lags behind that of developed countrie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innovation results according to collaboration partners by the classified industry. By adopting a method that applies industrial classification by Dialogic's innovation pattern, this study showed external cooperation results were different by industrial typ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companies cooperate with customers and competitors in many cases; however, product innovation was higher for companies that collaborated with private service companies. In the 'Innovation in services' industry, industry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showe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hievements. In the 'Innovation through services' industry, cooperation with customers positively affected marketing innovation achievements. Consequently, the need to foster consulting firms and universities that can professionally collaborate with companies is implied in order to enhance the Korean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using Smart Fash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의 스마트패션 주제를 활용한 창의융합 프로그램 개발)

  • Lee, Jun 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23-624
    • /
    • 2020
  •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술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열게하는 중심이 되었으며 세상의 모든 것을 변화시켜가고 있다. 최근에는 혁신적이고 고도화된 IT 기술이 완전히 다른 분야와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가고 있다. 특히 패션 분야에서는 이와 같은 선도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패션, 그 이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스마트패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패션에서의 새로운 산업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스마트패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고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고자 하는 기업의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정이 부재한 상태이다. 특히 IT 엔지니어와 패션 디자이너와의 협업의 경험이 전무할뿐만 아니라 제품을 설계하고 제작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개념이 서로 완전히 상이하여 융합의 시도가 단지 시도로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T와 패션 전공 학생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융합 교과 과정을 설계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상이한 전공을 가지고 있는 두 전공 학생들에게 타 전공에 대한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융합에 대한 경험을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미래 시장으로의 선도 진입과 역할 수행의 적합성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다.

  • PDF

신발산업의 공급망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 현승용;최형림;임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43-259
    • /
    • 2002
  • 국내 신발산업(Footwear Industry)은 주로 외국의 대형 바이어에 의존적인 형태로 생산하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신발 제조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어서 대형 바이어들이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저임금 국가로 신발 생산기지를 옮겨가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신발산업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국내의 신발제조기업들도 상당수 해외에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공장은 그 규모가 굉장히 축소되어 있거나 혹은 연구개발 및 부품 조달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신발산업의 환경에 변화에 대해 산업 차원에서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 국내 신발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전체 공급망의 협업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급망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해야 하며, 기업간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새롭게 정립하여 혁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발산업의 공급망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개선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공급망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신발 완제품 제조기업과 부품 제조기업간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개선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 PDF

Initial System for Automation of PDQ-based Shape Quality Verification of Naval Ship Product Model (제품데이터품질(PDQ) 평가에 따른 함정 제품모델의 형상 품질검증 자동화 초기 시스템)

  • Oh, Dae-Kyun;Hwang, In-Hyuck;Ryu, Cheol-Ho;Lee,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1
    • /
    • pp.113-119
    • /
    • 2014
  • Recently, R.O.K. Navy is increasing re-usability of design data and application of M&S(Modeling and Simul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environment focused on Naval Ship Product Model(NSPM).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design is getting better, and furthermore, a study to improve quality of construction through simulation of production/operation is in progress. Accordingly, the database construction of design data and the DB(Database) quality become important, but there was not research related to those or it was just initial state.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 about system of the quality verification process of shape elements which compose NSPM based on the quality verification guideline of NSPM as the result of the precedent study. The hull surface was limited as verification object. The study to verify two things that application of basic drawing by the cad model of hull surface, and whether there is error in the geometric quality of cad model was progressed. To achieve this goal, the verification criteria and algorithm were defined and the prototype system which is based on was developed.

Research on the Action Strategies of Plant Facility Industries for Global Shale Gas Development. -A Case of Casting Valve Industry- (글로벌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플랜트 설비 산업계의 대응 전략 연구 -주조 밸브 산업 중심으로-)

  • Kim, Cheol;Leem, Choon Se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6
    • /
    • pp.389-397
    • /
    • 2018
  • Recently, Global Shale gas development has expanded, increasing shale gas production has transformed the energy market.As a result of the reduction of energy facilities, in order to overcome the management deterioration of domestic casting valve industry and enter the enlarged shale gas plant, tried to confirm the SWOT factor through the second questionnaire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related industry experts and previous studies. As a strength-strategy, presented three factors besides collaboration with domestic companies, suggested four factors including product development specialized in shale gas plant as a weakness complement. Thesis offer to scholarly-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l-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trategization for entering New energy market. thesis offer to scholarly, Practical implications, environmental factors, strategization for entering New energy market. After, analyze a important of research strategy, would like to study the impact on the company according to the ranking of importance.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a Collaborative Design Prototyping Tool for Digital Products (디지털 제품의 협동적 디자인을 위한 프로토타이핑 도구 개발 및 활용 사례 연구)

  • Nam, Tek-Ji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4
    • /
    • pp.119-128
    • /
    • 2004
  • There is a lack of user centered design methods that support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s and end-users for designing hardware and software integrated digital products.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Design and a new collaborative design prototyping tool for interactive digital product design projects. The tool consists of STCtools(State Transition Chart tools) software, hardware modeling materials, and physical interface toolkits for integrating software and hardware. STCtools allow users to create and edit States, to compose Events describing transitions between States, and to run intermediate or final results of STC. Using the hardware modeling materials and the physical interface toolkit, designers and end-users can collaborately examine the hardware and software integrated concepts in an early stage of the design process. Three collaborative design workshops of designing a portable digital guide for a theme park were accomplish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too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ool supported iterative concept development and interactions between designers and end users. Although several user interface problems of STCtools were identified, the participants gave positive feedback on the role of the tool in collaborative concept generation and deploy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not only to th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s and end users, but also to th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s, and between designers and other professionals.

  • PDF

Search for the Education of High-Tech Emotional Textile and Fashion (하이테크 감성 섬유패션의 교육 방향에 대한 모색)

  • Youn Hee Kim;Chunjeong Kim;Youngjoo Na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3
    • /
    • pp.69-82
    • /
    • 2023
  • High-tech sensibility textile and fashion, in which consumers' emotions and various textile and fashion technologies are converged, is an important industrial group.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in practice by gathering the creative by understanding other fields and exchanging ideas through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the field of emotional engineering.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llaboration, talent must be nurtured of individuals who would lea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as well as the creative convergence-type intellectual ability necessary for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o determine content-creation methods, basic research is conducted.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on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process of the emotional textile-fashion industry worldwide. To nurture talents in the textile and fashion sensibility science, the basic contents are created to manage the knowledge that delivers sensibility science and the ICT related to this field, as well as in the intensive, PB-style conceptual design based on sensibility. The process from derivation of consumer emotion analysis and product development can be experienced through smart kit practice. Moreover, various methods are developed to set u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generated while developing ICT convergence products as start-ups. The study also covers new knowledge rights to develop emotional textile fashion.

A study of Technical Issue Tracking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반도체 제조분야의 기술적 이슈 추적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n Dae-Jung;Kim Tae-Yun;Son Guk-Tae;Yu Yeong-Seon;Lee Ji-Yeong;Kim Dae-Yun;Kim In-Seop;Jang 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88-293
    • /
    • 2006
  • 최근 반도체 개발 및 제조부문에서는 급속도로 성장한 Mobile 시장과 Digital Consumer Trend 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고자 빠른 속도의 기술적 변화를 추진하여 왔으며, 이에 따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의 유형 또한 점점 복잡 다양해지고 있다. 기존 Commodity 제품의 경우, 세대 전환이 느리게 진행되어, 이에 수반되는 기술적 문제의 난이도와 그 발생 종류가 현재 대비 상대적으로 단순하였다. 그러나 최근 다품종 주문형 제품비중 확대로,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Field Application 과 tight 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어, 문제의 발생 경로, 원인 파악과 해결 대책 수립에 상당한 초기대응 시간을 필요하며, 관련 부서와의 실시간 협업 및 Cross-Checking을 통하지 않고서는 문제에 대한 최적 Solution 을 결정하기 힘든 현실이 되었다. 이러한 기술 이슈 해결 과정에 기 발생했던 유사 이슈 처리 과정 및 결과 자료가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나, 종래의 지식관리 시스템 체계로는 이러한 실무 형 지식을 획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개선이 가능한 실무형 지식 관리 (AKM: Actual Knowledge Management) 기반의 기술적 이슈 추적 관리 시스템(TITS: Technical Issue Tracking System) 구축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TITS 는 1) 기술 이슈의 발의 및 전파 기능과 2) 이슈 해결을 위한 Action Item 부여 및 의견 교환 기능 3) 해결된 이슈의 처리 결과 등록 기능 4) 유사 이슈 사례 검색 기능 등의 크게 4 개 모듈오 구성 되어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반도체 엔지니어들은 기술적 이슈의 발생 시점부터, 원안분석, 대책 협의 ; Action Item 수립 등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 등록 시점까지 Real time Tracking이 가능해 졌으며, 본 시스템을 통해 처리된 모든 기술적 이슈 정보는 Issue Case Database 에 분류 저장되어, 향후 유사 이슈 발생 시, 이를 활용함으로써, 빠른 초기 대응 및 문제 해결에 직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system for enterprise based on Beacon (비콘기반의 기업용 협업 시스템 설계 및 구축)

  • Oh, Seung-Hwan;Seo, Jae-Bong;Kim, Yong-Woo;Lee, Ju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7-289
    • /
    • 2015
  • Internet of Things(IoT) is promising futuristic technology and the relevant market is expected to grow explosively. So, many company develop the product or service that is applied IoT in various field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design and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system for enterprise based on beacon to improve efficiency in office environment. We construct Indoor Positioning System(IPS) that using by beacon and mobile device and then develop the related service that utilize IPS data. Thus, we expect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improving productivity of domestic company, is used widely to develop new IoT service that applying various sensors such as beacon, temperature, humidity and so on.

  • PDF

IT 산업정책 성과와 2008년 추진방향

  • Seoul, Jeong-S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
    • /
    • pp.5-11
    • /
    • 2008
  •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민소득 2만불 시대 견인을 위해 2004년 수립한 IT 산업 발전전략이 IT839이다. 신성장동력 핵심기술 개발 등 IT839전략에 힘입어 세계 최초로 WiBro, DMB 기술개발과 국제표준화에 성공하는 등 IT분야 기술개발을 주도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1년 이상 단축되었으며, 특히, 이동통신 DIV 분야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경쟁력이 향상되는 성과를 보았다. 한편, 최근 IT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IT를 기반으로한 융복합화 진전, 글로벌화 심화, 인터넷 확산과 웹의 진전이다. 2008년에는 이런 환경변화 속에서 I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무선 융합환경에서 신시장 창출 및 선점, 고부가가치 IT산업의 집중 육성, IT중소기업, 핵심인력 양성 등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반 구축도 강화한다. IT R&D 정책은 기초 원천기술분야 R&D 투자비중을 확대하고, IT와 비IT융합 등 융합분야 기술개발 투자도 확대할 것이다. 혁신형 IT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민간 정책협력 네트워크인 IT전문협의회 운영을 개선하고, 중소기업의 원가절감을 위한 공통서비스 확대, 대 중소 기업의 상생협력을 제도화는 등 IT정책 인프라도 고도화한다. 또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후의 글로벌 주력품목군으로 IT SoC, u-센서, IT-BT-NT 융합분야 등 3대 핵심분야를 선정하여 집중 육성하고, 부품기업간 협업 활성화를 적극 유도할 것이다. 시장이 원하는 글로벌 수준의 인재양성을 목표로 공학교육인증 확산, IT 융합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의 R&D 지원도 강화하며, 전공역략을 갖춘 IT 전문인력, 석박사급 핵심 연구개발 인력, IT재직자 교육 등 시장이 원하는 맞춤형 인력양성도 병행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신시장 창출을 위해 노력도 강화한다. 조선, 자동차 등 비 IT분야의 SW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틈새분야 중 세계적 시장점유율을 갖춘 중소기업 제품에 임베디드SW를 탑재하여 첨단기능을 구현하는 시범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