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동조합 정부지원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예천군지역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지도와 지리지의 비교분석

  • 이한방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5
    • /
    • 2002
  • 변화의 속도가 느려서 장기지속적인 전체사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결과로서의 지표경관을 도면상에 표현한 고지는 당시대인들의 세계관과 공간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을 둘러싼 지리적 환경은 장기적으로 벼하는 구조이다. 장기지속의 구조사는 지리지와 고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지리지와 고지도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지야외답사를 통하여 경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성과 한국전통지역사회의 원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정상기의 동국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북방영토인식, 군현지도, 시대상의 복원과 지리환경 인식, 회화의 측면에서 본 고지도, 지명과 영토문제, 서양식 세계지도의 전래과정등의 연구주제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는 고지도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 파악과 해제, 전체적인 유형 분류, 특정주제에 대한 고지도 이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구체적인 지역사회에 대하여 고지도를 통시대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경관과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은 촌락경관이 남아 있는 지역사회경관에 대한 고지도와 지리지를 활용한 연구가 시급하다. 고지도는 옛 지명, 산천, 도로, 역원, 행정구역, 역사적 위치의 파악과 문화경과 복원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므로 지역사회 단위의 연구가 필요하다.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읍지와 지도는 서양과 일본의 침략으로 변모되기 이전의 한국 각 지역의 모습을 추적하고 복원하는데 긴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현대 한국지역사회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지난 400년간의 지역변화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

  • PDF

우리 나라의 감자재배 중심지

  • 이학원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77-80
    • /
    • 2002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우리나라 감자재배지역의 분포 특징과 그 중심지를 밝혀 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감자가 외국에서 우리나라에 전파해온 경로와 한국 내에서 의 전파경로를 알아보고, 7개 지역의 감자재배지역의 특징, 우리나라 감자재배의 생산량, 재배면적, 재배농가, 각 시기별 감자 재배지의 중심지와 남한의 감자재배 중심지를 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은 주어진 자연환경에 인간이 어떻게 적응해가면서 살아가는지를 공부하는 지리학의 전통적인 개념인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 중등학교 및 대학에서 공부하는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학습자료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과 1970년부터 1995년까지의 전국의 시.군별 감자재배지역의 입지계수를 구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가 한국에 처음으로 재배된 것은 1824년(조선조 순조24년) 인데, 전파과정을 살펴보면, 안데스산지의 페루(1500년대) $\longrightarrow$ 에스파냐(1532년) $\longrightarrow$ 중국(1650년) $\longrightarrow$ 한국(1824년)순으로 전파되어온 북방전래설과 영국의 감자가 1832년 충청도의 서산으로, 일본 감자가 1920년에 수원으로 전파되었다는 남방전래설이 있다 2. 감자는 한국 전 지역에서 재배되는 중요 농작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형이 남북으로 깊게 뻗은 반도국이므로 위도와 지형 차이에 따라 기온과 고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자연적인 요인의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이 되어 고랭지 여름재배지역.중산간 봄재배지역.중부평야 봄재배지역 남부평야 봄재배지역 남부해안 2기작 재배지역.남부 겨울재배지역.제주 가을 월동재배지역 등 7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재배된다. 3. 우리나라(남한)의 감자 재배지의 중심지는 강원도 고랭지 여름재배지역과 제주도 가을 월동재배지역, 소백산맥과 진안고원이 만나는 부근 산지지역의 남원군.구례군 거창군.고령군과 남해안의 밀양군.양산군이다. 강원도 지역과 제주도 두지역이 전테 재배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

  • PDF

The Safety Management Status and Policy Directions for Sports Facilities in Gangwon Province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와 정책방향)

  • Kim, Tae-Dong;Kim, Heung-Tae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4
    • /
    • pp.265-288
    • /
    • 2020
  • Public sports facilities, which have increased in number due to continued government attention and investment, are used by a large number of residents in the province. However, the safety management in some facilities is limited due to being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safety management standard manuals as a mere form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tatu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Gangwon and to seek out a policy direction that can be used safely by provincial residents. To this end. the study made a comprehensive review of central government and Gangwon government policy trends in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ment in Gangwon along with actual cases, from which it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policy directions. First, it proposed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specialized institutions using locally established development and municipal companeie,. universities and cooperatives. and the training and fostering of safety managers for sports facilities. Secod, i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to promote a sport facility safety culture such as designation of and commendation for excellent facility safety management on the provincial level. holding case presentations on safety and responsiveness. sports safety experience plazas, sports safety classes, and cartoons for public relations. Third, it proposed setting the foundation for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greater quantity of leisure sports facilities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provinces. Fourth, i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basis to establish support ordinance for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ment that meets the local conditions in Gangwon. Fifth, it proposed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sports facilitie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in parallel with a basic plan for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ment tailored to Gangwon that matches the conditions on the ground in the region.

Analyzing Typology and Factor Combin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in Korea Using fs/QCA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유형 및 요인 분석)

  • Kim, Gyu-hwan;Park, In Kw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4 no.4
    • /
    • pp.3-18
    • /
    • 2018
  • These days, regional innovation draws more attention than ever as a growth engine for regional economies, and governments put a variety of efforts to establish Regional Innovation systems(RISs).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ypes of RISs and the combinations of the factors influencing innovation performance as measured by patent application. Most of previous works have depended on case-oriented or variable-oriented strategy to classify types of RISs or to analyze the effects on performance of innovation factors, having some limitations: Variable-oriented approaches fail to capture complex combinatory effects of factors, while case-oriented approaches tend to depend on subjective interpretation. This study made use of the recently proposed fs/QCA(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ose strategies. Based on the theory of RIS, three factors for regional innovation-input, infrastructure, and network-are used to classify 16 Korean Provinces. The results show that eight types of regional innovation types are identified, and that most of the regions are classified into either IN-type, equipped with high levels of Input and Network, or F-type, with high levels of infrastructure. In addition, applying seven sub-variables of the three factors to the fussy-set combination factor analysis, we examine a comb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patent appl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regions with high levels of R&D expense, valid patent,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P budget, and TLO values, and low IP capital almost always have a high level of patent application. Therefore, for regional innovation, the public sector needs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R & D personnel training. It is also important to for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o make efforts to stimulate IP financing.

Operation Measures of Sea Fog Observation Network for Inshore Route Marine Traffic Safety (연안항로 해상교통안전을 위한 해무관측망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Joo-Young Lee;Kuk-Jin Kim;Yeong-Tae S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2
    • /
    • pp.188-196
    • /
    • 2023
  • Among marine accidents caused by bad weather, visibility restrictions caused by sea fog occurrence cause accidents such as ship strand and ship bottom damage, and at the same time involve casualties caused by accidents, which continue to occur every year. In addition, low visibility at sea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such as causing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islanders in using transportation as passenger ships are collectively delayed and controlled even if there are local differences between regions. Moreover, such measures are becoming more problematic as they cannot objectively quantify them due to regional deviations or different criteria for judging observations from person to person. Currently, the VTS of each por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hip if the visibility distance is less than 1km, and in this case, there is a limit to the evaluation of objective data collection to the extent that the visibility of sea fog depends on the visibility meter or visual observation. The government is building a marine weather signal sign and sea fog observation networks for sea fog detection and prediction as part of solving these obstacles to marine traffic safety, but the system for observing locally occurring sea fog is in a very insufficient practical situation.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domestic and foreign policy trends to solve social problems caused by low visibility at sea and provides basic data on the need for government support to ensure maritime traffic safety due to sea fog by factuall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social problems. Also, this aims to establish a more stable maritime traffic operation system by blocking marine safety risks that may ultimately arise from sea fog in advance.

Cultivation Support System of Ginseng as a Red Ginseng Raw MaterialduringtheKoreanEmpire andJapaneseColonialPeriod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홍삼 원료삼 경작지원 시스템)

  • Dae-Hui Cho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5
    • /
    • pp.32-51
    • /
    • 2023
  • Because red ginseng was exported in large quantities to the Qing Dynasty in the 19th century, a large-scale ginseng cultivation complex was established in Kaesong. Sibyunje (時邊制), a privately led loan system unique to merchants in Kaesong,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raise the enormous capital required for ginseng cultivation.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promulgated the Posamgyuchik (包蔘規則) in 1895, and this signaled the start of the red ginseng monopoly system. In 1899, when the invasion of ginseng farms by the Japanese became severe, the imperial soldiers were sent to guard the ginseng farms to prevent the theft of ginseng by the Japanese. Furthermore, the stateled compensation mission, Baesanggeum Seongyojedo (賠償金 先交制度), provided 50%-90% of the payment for raw ginseng, which was paid in advance of harvest. In 1895, rising seed prices prompted some merchants to import and sell poor quality seeds from China and Japan. The red ginseng trade order was therefore promulgated in 1920 to prohibit the import of foreign seeds without the government's permission. In 1906-1910, namely,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ginseng cultivation was halted, and the volume of fresh ginseng stocked as a raw material for red ginseng in 1910 was only 2,771 geun (斤). However, it increased significantly to 10,000 geun between 1915 and 1919 and to 150,000 geun between 1920 and 1934. These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fresh ginseng as a raw material for red ginseng were the result of various policies implemented in 1908 with the aim of fostering the ginseng industry, such as prior disclosure of the compensation price for fresh ginseng, loans for cultivation expenditure in new areas, and the payment of incentives to excellent cultivators. Nevertheless, the ultimate goal of Japanese imperialism at the time was not to foster the growth of Korean ginseng farming, but to finance the maintenance of its colonial management using profits from the red ginseng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