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ypology and Factor Combin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in Korea Using fs/QCA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유형 및 요인 분석

  • 김규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 박인권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Received : 2018.11.12
  • Accepted : 2018.12.19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se days, regional innovation draws more attention than ever as a growth engine for regional economies, and governments put a variety of efforts to establish Regional Innovation systems(RISs).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ypes of RISs and the combinations of the factors influencing innovation performance as measured by patent application. Most of previous works have depended on case-oriented or variable-oriented strategy to classify types of RISs or to analyze the effects on performance of innovation factors, having some limitations: Variable-oriented approaches fail to capture complex combinatory effects of factors, while case-oriented approaches tend to depend on subjective interpretation. This study made use of the recently proposed fs/QCA(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ose strategies. Based on the theory of RIS, three factors for regional innovation-input, infrastructure, and network-are used to classify 16 Korean Provinces. The results show that eight types of regional innovation types are identified, and that most of the regions are classified into either IN-type, equipped with high levels of Input and Network, or F-type, with high levels of infrastructure. In addition, applying seven sub-variables of the three factors to the fussy-set combination factor analysis, we examine a comb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patent appl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regions with high levels of R&D expense, valid patent,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P budget, and TLO values, and low IP capital almost always have a high level of patent application. Therefore, for regional innovation, the public sector needs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R & D personnel training. It is also important to for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o make efforts to stimulate IP financing.

지역혁신은 지역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역혁신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고 지역혁신 성과인 특허출원에 미치는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 기존 연구에서는 사례 중심 혹은 변수 중심 연구방법을 통해 지역혁신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거나 지역혁신 효과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변수 중심 연구는 강력한 전제 조건을 가정하며, 사례 중심 연구는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는 한계를 노정한다. 본 연구는 최근에 주목받는 fs/QCA를 활용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지역혁신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혁신의 요소를 투입, 인프라,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16개의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혁신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8가지의 지역혁신 유형 중, 대부분의 지역이 높은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유형과 투입과 네트워크가 높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3가지 요소는 7가지 하위 변수로 분류되는데, 이를 활용하여 지역혁신의 성과인 높은 특허출원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개발 인력과 유효특허가 특허출원의 필요조건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비, 유효특허, 협동연구, IP예산, TLO가 높고, IP금융이 낮은 원인 조합의 배열이 특허출원을 일으키는 충분조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혁신을 위해서 공공부문은 연구개발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부문에서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과 민간은 IP금융 활성화를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Keywords

GJOHB6_2018_v34n4_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지역별 지역혁신유형 분류 결과

GJOHB6_2018_v34n4_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지역별 지역혁신유형(산점도)

GJOHB6_2018_v34n4_3_f0003.png 이미지

<그림 3> 특허출원건수와 충분조건 원인조합 간의 산점도

<표 1> 변수 설명

GJOHB6_2018_v34n4_3_t0001.png 이미지

<표 2> 언어의 수리적 표현

GJOHB6_2018_v34n4_3_t0002.png 이미지

<표 3> 기초 통계

GJOHB6_2018_v34n4_3_t0003.png 이미지

<표 4> 상관관계 분석

GJOHB6_2018_v34n4_3_t0004.png 이미지

<표 5> 퍼지 점수 변환 결과

GJOHB6_2018_v34n4_3_t0005.png 이미지

<표 6> 퍼지 점수 변환 결과

GJOHB6_2018_v34n4_3_t0006.png 이미지

<표 7> 진리표

GJOHB6_2018_v34n4_3_t0007.png 이미지

<표 8> 필요조건 분석 결과(Y-일관성 검증)

GJOHB6_2018_v34n4_3_t0008.png 이미지

<표 9> 필요조건 분석 결과(N-일관성 검증)

GJOHB6_2018_v34n4_3_t0009.png 이미지

<표 10> 충분조건 분석 결과

GJOHB6_2018_v34n4_3_t0010.png 이미지

<표 11> 충분조건 배열의 축약결과

GJOHB6_2018_v34n4_3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병주, 2004, 기업지원기관을 위한 지역혁신체제(RIS) 구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 pp.193-210.
  2. 권영섭, 2001,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위한 시범테크노파크의 발전과제, 국토연구원.
  3. 김정홍, 2003, 지역혁신역량과 지역산업성과간의 실증분석, 경제학연구, 51(2), pp.99-121.
  4. 김진수.최명신, 2007, 한국의 기초자치단체별 혁신역량 비교연구, 금융지식연구, 5(2), pp.29-57.
  5. 남재걸, 2007, 지역혁신체제론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함축된 가치와 이론적 한계,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33-57.
  6. 성태경, 2006, 혁신시스템 이론의 비교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오영수.최정수.김진수, 2005, 한국의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실증 연구, 지방행정연구, 19(3), pp.127-152.
  8. 유광민.김동관.한성호, 2015, 지역별 혁신형태 유형화와 지역 기반 혁신 정책, 기술혁신학회지, 18(1), pp.151-175.
  9. 윤정원, 2014, 중국 지역 간 기술혁신역량 격차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7(4), pp.231-258.
  10. 윤윤규.이재호, 2004, 지역산업육성과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1. 이기식, 2004, 지역혁신 네트워크 구축전략과 과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7(1), pp.1-29.
  12. 이기원 외, 2007, 지역혁신체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13. 임기철.박동배, 2004, 지역혁신체제의 거점 형성 및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임소진 외, 2014, 지역 지식재산 역량진단을 위한 분석모델 개발, 특허청.
  15. 장인석, 2007, 지역혁신체제의 경제적 효과 분석, 서울도시연구, 8(1), pp.19-39.
  16. 정재진.임채홍, 2008, 지역혁신 역량에 따른 혁신기업의 입지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29-55.
  17. 최봉수.이현길, 2001, 세방화 시대의 지역혁신체제 모형에 관한 연구-첨단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6(2), pp.155-182.
  18. 최영준, 2009, 사회과학에서 퍼지셋 활용의 모색: 퍼지 이상형 분석과 결함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5(3), pp.307-337.
  19. 최용호, 2001, 지역혁신체제의 특징과 구축방안, 이정식.김용웅 엮음, 세계화와 지역발전, 한울.
  20. Andersson, M., & Karlsson, C., 2006,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small and medium-sized regions. Johansson, Borje, Karlsson, Charlie, Stough, Roger, (Eds.), The Emerging Digital Economy,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55-81.
  21. Asheim, B. T., & Isaksen, A., 200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integration of local 'sticky'and global 'ubiquitous' knowledge,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7(1), pp.77-86. https://doi.org/10.1023/A:1013100704794
  22. Marsan, G. A., & Maguire, K., 2011, Categorisation of OECD regions using innovation-related variables.
  23. Beynon, M. J., Jones, P., & Pickernell, D., 2016, Country-based comparison analysis using fs/QCA investigating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activ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4), pp.1271-1276. https://doi.org/10.1016/j.jbusres.2015.10.091
  24. Braczyk, H. J., Cooke, P. N., & Heidenreich, M(Eds.)., 1998,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role of governances in a globalized world, Psychology Press.
  25. Beynon, M., Jones, P., & Pickernell, D., 2016, Country-level investigation of innovation investment in manufacturing: Paired fs/QCA of two model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11), pp.5401-5407. https://doi.org/10.1016/j.jbusres.2016.04.145
  26. Cooke, P., 2001,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lusters, and the knowledge economy,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0(4), pp.945-974. https://doi.org/10.1093/icc/10.4.945
  27. Cooke, P(Eds.)., 2004,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 evolutionary approach, Regional Innovation Systems 2nd Edition, Routledge, pp.1-20.
  28. Cooke, P., Uranga, M. G., & Etxebarria, G., 1997,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stitutional and organisational dimensions, Research policy, 26(4-5), pp.475-491. https://doi.org/10.1016/S0048-7333(97)00025-5
  29. Doloreux, D., 2004,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Canada: a comparative study, Regional studies, 38(5), pp.479-492. https://doi.org/10.1080/0143116042000229267
  30. ESPON, 2013, KIT: Knowledge, Innovation, Territory, Final Scientific Report.
  31. Krakowiak-Bal, A., & Ziemianczyk, U., 2017,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Regional Innovation-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Barometr Regionalny, Analizy i prognozy, 4(50), pp.7-14.
  32. Marsan, G. A., & Maguire, K., 2011, Categorisation of OECD regions using innovation-related variables.
  33. Navarro, M., Gibaja, J. J., Bilbao-Osorio, B., & Aguado, R., 2009, Patterns of innovation in EU-25 regions: a typology and policy recommendations,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27(5), pp.815-840. https://doi.org/10.1068/c0884r
  34. Oughton, C., Landabaso, M., & Morgan, K., 2002, The regional innovation paradox: innovation policy and industrial policy,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7(1), pp.97-110. https://doi.org/10.1023/A:1013104805703
  35. Ragin, C. (Eds.), 2000, Fuzzy-set social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Ragin, C. (Eds.), 2008, Redesigning social inquiry: Fuzzy sets and beyo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37. Ragin, C. (Eds.), 1987, The Comparative Method: Moving Beyo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rateg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8. Ragin, C. C., & Rihoux, B., 2004,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QCA): State of the art and prospects, Qualitative Methods, 2(2), pp.3-13.
  39. Rihoux, B., & Ragin, C. C(Eds.)., 2009, Configurational comparative methods: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QCA) and related techniques, London: Sage.
  40. Schneider, C. Q., & Wagemann, C., 2010, Standards of good practice in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QCA) and fuzzy-sets, Comparative Sociology, 9(3), pp.397-418. https://doi.org/10.1163/156913210X12493538729793
  41. Ziemianczyk, U., & Krakowiak-Bal, A., 2017, Importance of intellectual capital resources in rural development using the fs/QCA method as an example. Infrastruktura i Ekologia Terenow Wiejski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