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동기술

Search Result 1,04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Effects of the Group Reward and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Park, Soo-K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2
    • /
    • pp.121-12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reward and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3 classes of the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Group I took traditional cooperative learning (TCL), group II took cooperative learning with competitive group reward (GR), and group III was trained in cooperative skill (CS) before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were taught about 'weather forecast' for thirteen periods and problem-based learning steps were applied in each clas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treatment and achievement level in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scores. In the case of high-level students the group reward was more effective than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ow-level students the cooperative skill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group reward on the science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no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treatment and achievement level in the motivation scores.

Effect of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Problem Based Learning for Science Class (지구과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

  • Park, Soo-K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5 no.5
    • /
    • pp.327-3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problem 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wo experiment groups were involved, in which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was used and control group, in which traditional instruction was employed. One of experiment groups was trained in cooperative skills before the instruc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main effect in the scores of achievement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learning ability level. The performance of high-level students i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performance of medium and low-level students trained with cooperative skills training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out cooperative skills training. A significant main effect was also found in self-estee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learn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ooperative skills training is of great importance for minimizing the free-rider effect and increas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in cooperative learning.

산학협동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Gang, Il-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1 s.320
    • /
    • pp.88-90
    • /
    • 1996
  • 산학협동연구는 장기적이고 독자적이어야 하는데 지난동안 우리는 극히 단기적인 제품기술이나 생산기술에서의 산학협동에 주력해 왔다. 비교적 과학기술 도입이 늦었던 일본도 이미 1백년 이상의 기반조성이 이루어진 바탕위에서 산학협동이 이루어진 것을 볼때 우리나라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의 기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이 글은 과총주최로 구랍 7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95 산학협동워크숍에서 강일구씨가 발표한 내용이다.

  • PDF

효과적인 통계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지원시스템

  • Han, Beom-Su;Han, G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39-241
    • /
    • 2002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협동학습 영역에 대한 연구가 각 전공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계학 교육에서도 협동학습은 새로운 교육방법은 아니며, 협동학습을 통해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몇몇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근래의 발달된 정보통신 기술들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과거의 방식에만 얽매여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기술을 적절히 활용한 협동학습 지원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 사례를 제시한다.

  • PDF

The Proposal of the Effect on the Cooperative Union Preside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협동조합장의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제언)

  • Yang, Yong-Sun;Young, Jun-S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64-96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협동조합들 중 대표적인 협동조합이라고 할 수 있는 농업협동조합을 대상으로 협동조합의 특수성에 맞는 리더십을 모색하며 리더십이 조직유효성 및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수 있는 모형 및 분석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측정은 농업협동조합으로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조합장의 리더십이 조직유효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략적 제휴에 의한 협동연구개발

  • 박상덕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61
    • /
    • pp.16-19
    • /
    • 1998
  • 한국전력공사에서는 국내의 타 기관과 전략적 제휴를 통한 연구자원 공동 출자방식의 협동연구개발 체제를 구축하고 지난 ''98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협동연구개발은 기존의 공동연구개발과는 차이가 있는데 공동연구개발의 경우, 연구예산은 공사에서 전약 부담하고 연구내용의 일정부분을 외부기관에 의뢰하는 기술의 단 방향 아웃소싱 개념이라면 협동연구개발은 공사와 협동연구기관이 공동출자 및 기술협력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실현하는 양방향 아웃소싱이라고 할 수 있다. 경쟁력이 있는 분야만을 선택하여 집중투자하고 그 외의 것은 외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조직과 시설을 슬림화하고 핵심역량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국내외의 신경영 추세인데, 이러한 협동연구개발의 확대시행은 취약한 국내의 연구개발 여건을 감안할 때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국내의 전력기술 관련 산학연이 자체 핵심역량을 명확히 하여 자원을 집중하게 됨으로써 기관별 핵심분야의 국제경쟁력을 단시간에 키울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미 외부에서 이루어진 비핵심분야의 기술혁신 성과 및 전문적인 능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산학협동의 측면에서 본 우리나라 공업교육의 문제점

  • 지철근
    • 전기의세계
    • /
    • v.23 no.6
    • /
    • pp.5-6
    • /
    • 1974
  • 산업계가 손쉬운 기술도입에만 의존해서 근시적 효과만을 기대하고 장기적 안목에서 기술개발을 등안시하고 학계에의 재정지원을 일종의 시혜로 생각하는 한 산학협동은 이뤄지기 힘들것이다. 한마디로 산학협동은 산업계와 학계의 공존공영을 위한 숙명적인 과제이며 착실한 국가발전의 밑거름이 된다고 본다.

  • PDF

Difference of Collaboration·Empathy Skill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according to School Bullying Types (집단따돌림 유형에 따른 협동 및 공감기술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 Park, Wan-Sung;Jeong, Goo-Chur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1
    • /
    • pp.399-408
    • /
    • 201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bullying types,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search, and asked 213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capital area(middle school: 106, high school: 107). Data Analysis was used a two-step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he type of bullying, explanation of a prediction variable according to the groups were analyzed by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experience of afflicting or suffering from school bullying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and also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ly, assailant group and victim group of school bullying was related to the lack of collaboration skill, and also related with empathy skill. Thirdly,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was influential factor o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Based on the results,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reduce the experience of bullying,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It confirmed the need for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경원전문대학과 대한설비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의 협동 - 산학협동 추진사례 연구

  • 서광수
    • 월간 기계설비
    • /
    • s.102
    • /
    • pp.57-70
    • /
    • 1999
  • 경원전문대학 건축설비과는 대한설비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와 1997년 4월 29일 산학협동 협정을 체결하였다. 산학협동 협정이 체결되기 전후의 추진경과와 추진실적을 살펴보고 연도별 산학협동 추진 내용과 산학협동 추진관계를 분석하여 산학협동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산$\cdot$학이 공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산학협동 추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은 전문대학 중소기업기술협력회가 주최하고 중소기업청$\cdot$㈜리크루트$\cdot$한국일보사$\cdot$서울경제신문사가 후원하여 1998년 11월 13일 전주공업대학에서 개최한 제4회 산학협동사례발표회에서 발표한 내용이다.

  • PDF

A Study on Dynamic Coalition for Survivability Enhancement (생존성 강화를 위한 동적협동에 관한 연구)

  • 김기한;최명렬;이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29-331
    • /
    • 2003
  • 프로그램에 취약성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현재 보안을 위해서는 인증과 접근제어, 암호화를 이용하지만 이러한 단순한 보안 기술은 버퍼오버 플로우와 같은 프로그램의 취약성을 이용한 공격에 대해 적절한 방어 대응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위협적인 공격으로부터 중요한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시스템 방어능력의 향상을 위한 생존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동적협동은 이러한 생존성 연구의 일부분으로 생존성 기능을 가진 각 프로그램들이 동적환경에서 협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기술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협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적협동의 아키텍처와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해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