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11.399

Difference of Collaboration·Empathy Skill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according to School Bullying Types  

Park, Wan-Sung (삼육대학교 교양교직학부)
Jeong, Goo-Churl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bullying types,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search, and asked 213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capital area(middle school: 106, high school: 107). Data Analysis was used a two-step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he type of bullying, explanation of a prediction variable according to the groups were analyzed by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experience of afflicting or suffering from school bullying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and also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ly, assailant group and victim group of school bullying was related to the lack of collaboration skill, and also related with empathy skill. Thirdly,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was influential factor o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Based on the results, collaboration empathy skills reduce the experience of bullying,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It confirmed the need for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Keywords
School Bullying; Collaboration; Empathy; Adaptation of School Life; Adolesc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F. M. Gresham and S. N. Elliot, Manual for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1990.
2 한영주, 중․고등학교 집단따돌림("왕따") 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 임철종, 가정의 과정 환경 변인과 학교 생활 적응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 신혜섭, "중학생의 학교폭력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가해경험, 피해경험, 가해, 피해 중복경험에 대한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2권, 제4호, pp.123-149, 2005.
5 이상균,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판사회정책, 제5권, pp.303-310, 1999.
6 조은문, 이종연, "중학생 영재와 평재 간 대인관계와 공감의 차이 및 상관 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1149-1164, 2009.
7 홍명숙, 어주경,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자기애, 공감능력,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911-3928, 2013.
8 정명선, "학교폭력 청소년의 공감훈련 집단미술 치료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4호, pp.51-77, 2010.
9 최진이, 심리극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우울, 공감, 희망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박인구, 한기백, "청소년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외상과 공격성의 관계: 분노와 공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2호, pp.375-397, 2014.
11 김영희, 고태순,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30-338, 2014.   DOI
12 이혜순, "청소년의 가족기능, 충동성, 스트레스 수준이 집단따돌림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19-329, 2014.   DOI
13 김은경,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내적통제성과 공감능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2권, 제1호, pp.37-56, 2009.
14 서지현,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부모애착과 반사회성 및 공감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5 박완성, 차명호, 따돌림(사이버 따돌림) 실태 분석 및 예방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연구보고서, 2013.
16 J. G. Parker and S. R. Asher,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 Psychology, Vol.29, No.4, pp.611-621, 1993.   DOI
17 M. Helsen, W. Vollebergh, and W. Mees,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and emotional problem in Adolescence, 2000.
18 I. Y. Bernstein and M. W. Watson, "Children who are targets of bullying: A victim patter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2, No.4, pp.483-498, 1997.   DOI
19 교육부, 2012년도 제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2012.
20 교육부, 2014년도 제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2014.
21 한국교육개발원, 2013년 2차 학교폭력실태조사 분석결과, 2013.
22 김은아, 이승연, "또래 괴롬힘, 방어행동과 공감, 자기효능감, 학급규준에 대한 믿음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4권, 제1호, pp.59-77, 2011.
23 이종화, 중학생 집단따돌림 피해자의 경험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4 김혜원,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 및 학교 부적응,"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5호, pp.321-256, 2011.
25 송혜리,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 및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6 김예성, 박현선, "초등학교 또래 괴롭힘 피해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23권, 제1호, pp.65-97, 2007.
27 가우디, 왕따 리포트, 서울: 우리교육, 1999.
28 이상균, "중학교 또래 따돌림의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pp.357-379, 1999.
29 박소현,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와 보복심리: 집단 따돌림의 유형과 성차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