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중 MDA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19초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obic Exercise with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on Blood MDA and SOD, GPx Activities in Elderly Women)

  • 남상남;김종혁;지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91-398
    • /
    • 2009
  • 본 연구는 활성산소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데 관여하는 항산화 효소계를 강화시키는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포크댄스를 통한 유산소성 운동(HRmax 50-60% 수준, 주 2회, 60분)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근 저항성 운동(주 2회 60분)을 실시하여 혈중 MDA 및 항산화 효소인 SOD, GPx 활성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항산화 효소인 SOD와 GPx의 활성도를 복합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인 복합운동은 노인들의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항산화계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운동훈련과 마늘가루 섭취에 의한 흰쥐의 혈중 지질 및 MDA, SOD 활성 차이 (Differences of Garlic Powder I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MDA and SOD in Rats)

  • 전병덕;김진하;류승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37-1345
    • /
    • 2009
  • 본 연구는 운동훈련과 마늘가루 섭취가 혈중지질과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서 28마리의 SD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고지방식이와 함께 마늘분(500 mg/kg)을 사료에 혼합시켜 섭취시켰다. 집단은 대조군(CON), 운동군(EXE), 마늘군(GAR), 그리고 마늘분과 운동훈련 병행군(GAREXE)로 각각 구분하였다. EXE와 GAREXE는 트레드밀 달리기를 4주동안 실시하였다. 지방량(장간막, 신주위, 부고환주위)의 정량과 혈중 글루코스,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등을 분석하였다. 간조직의 MDA (Malondialdehyde)와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분석하였다. GAREXE의 체중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GAR과 GAREXE이 경우에 지방량 역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중 글루코스는 CON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TG는 GAR과 GAREXE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C는 GAREXE가 CON 및 GAR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HDL-C는 CON에 비하여 EXE와 GAR에서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GAREXE는 EXE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p<0.05). MDA 함량은 GAREXE가 EXE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SOD 활성은 CON에 비하여 다른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GAREXE의 경우에 EXE와 GAR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운동과 병행할 경우의 유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운동훈련을 실시하는 경우에 마늘분 섭취는 혈중 글루코스를 낮추고, 혈중지질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효과 역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추후 마늘의 추출법, 제조공정, 섭취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적 접근을 통해서 마늘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조정 선수의 로잉 에르고미터 수행 후 저온침수 처치가 혈중 피로 물질, 활성산소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d water immersion after rowing ergometer on blood fatigue substanc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tion enzyme in rowing athletes)

  • 홍현욱;고수한;김태규;김민교;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61-77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 엘리트 조정선수의 2000 m 로잉 에르고미터 수행 후 저온침수 처치를 통해 혈중 젖산, LDH, MDA 및 SOD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다. 이에 남자 대학 엘리트 조정선수 10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로잉 에르고미터 2,000 m 수행 후 비 처치와 저온 침수 처치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측정 변인들에 대한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처치 및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고 각 항목별 유의수준 .05로 설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젖산은 시기 간 주효과가 나타났고(p<.001) 그룹 내 시기별 차이가 났다(p<.001). 또한, LDH는 그룹 내 시기별 차이가 나타났다(p<.05). MDA는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5), 그룹 간(p<.05), 시기 간(p<.001) 주효과가 나타났다. SOD는 그룹 간, 시기 주효과가 나타났고(p<.05) 회복 30분 후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저온침수 처치가 조정 선수의 혈중 피로 물질, 활성산소 및 항산화 효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운동선수의 고강도 훈련 후 저온침수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유도선수들의 반복운동이 혈중 코티졸과 지질과산화 및 creatine k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petitive Exercise on the Blood Cortisol, MDA, and Creatine Kinase Activity in Judoist.)

  • 백일영;곽이섭;이문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73-576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pid peroxidation, creatine kinase activity and cortisol hormone levels following the training intensity in elite judo players. Six elite Judo play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3h repetition judo program), which include stretching, judo skill practice and cool down without recess. Blood sampling were taken at the judo gymnasium at the time of resting, 1h training, 2h training, 3h training, 2h recovery, and 24h recovery time and this were analyzed for CK, MDA and Cortisol levels. The results obtained were analyzed via repeated measures of ANOVA using SPSS package program (ver.10.0) and a value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K levels, which reflect the contribution of creatine phosphate and muscle damage degre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fter judo training in every period. Recovery 24h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MDA levels, which reflect lipid peroxid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fter judo training. Recovery 2h showed the lowest level. In the cortisol hormone levels, which reflect stress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For the trained athletes, MDA level was lower at the time of exercise compare to the other period, this is caused by the increased antioxidant defence mechanism.

폐경기 여성의 항산화 비타민 영양 상태와 혈중 지질 및 MDA 농도와의 관계 (Correlation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Serum Lipids and MDA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 김상연;정경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5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serum lipids and MDA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Data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intakes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serum lipids, MDA and antioxidant vitamins levels, were collected from 85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normocholesterolemia group (NC, < 200 mg/dL), moderate hypercholesterolemia group (MC, $200{\sim}239mg/dL$) and hypercholesterolemia group(HC, ${\geq}240mg/d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rum MD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2) Daily nutrients intakes adjusted to energy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nd were compatible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for Koreans. 3) Dietary Vt. A, ${\beta}-carotene$, Vt. C and Vt. E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while Vt. E intak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rum TC (r=0.288, p<0.05) and triglyceride (r=0.341, p<0.001) levels. 4) Serum Vt. A level standardized by serum TC level was significantly low and serum Vt. 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HC group. Serum Vt. E level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rum TC level (r=0.389, p<0.001). 5) Dietary Vt. E int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serum MDA level (r=-0.242 p<0.05). Serum Vt. C and Vt. E levels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to serum MDA level (r=-0.312, p<0.001 and r=-0.299, p<0.05). When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only in the group with hypercholesterolemia,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antioxidant vitamin and serum MDA level were higher. We concluded that intakes of antioxidant vitamins can contribute to decreas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by decreasing the oxidative stress of body rather than by controlling serum lipid levels.

  • PDF

산양삼 혼입숙성 감식초 섭취에 의한 흰쥐의 혈중지질 감소와 항산화능 개선 (Ripened Persimmon Vinegar with Mountain-cultivated Ginseng Ingestion Reduce Blood Lipids and Enhance Anti-oxidants Capacity in Rats)

  • 전병덕;김판기;류승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182-1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산양삼과 감식초의 융합소재에 의한 혈중 지질 및 항산화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4년근 산양삼을 4년 숙성된 감식초에 혼입 숙성시킨 후, 5배 희석하여 쥐에게 경구투여하였다. 집단은 대조군(CON), 감식초군(PV), 산양삼+감식초 융합소재군(MPV)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체중은 MPV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 지방량은 PV 및 MPV가 CON에 비하여 낮았다. 혈중 지질은 CON에 비하여 PV, MPV가 낮았으며,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높았다. 간의 Cu, Zn-SOD 및 GPx는 MPV>PV>CON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유의차가 있었다. 특히 MPV에서 가장 높았다. 간의 MDA는 CON, PV >MPV로 나타났으며, 유의차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산양삼과 감식초의 융합소재는 지질과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건강식품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산양삼을 첨가한 고지방식이 흰쥐 골격근의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단백질 발현 효과 (Effects of Mountain Ginseng-added High Fat diet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Protein Expression of Skeletal Muscle in Rats)

  • 권대근;강준용;송영주;김판기;서효빈;류승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69-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양삼을 첨가한 고지방식이를 하였을 때 흰쥐 골격근의 지질과산화와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32마리의 웅성 흰쥐를 대상으로 난괴법을 사용하여 HS(고지방식이 대조군), MG1(0.5%의 산양삼 첨가식이 섭취군), MG2(1.0%의 산양삼 첨가식이 섭취군), 그리고 MG3(2.0%의 산양삼 첨가식이 섭취군)으로 각각 8마리씩 분류하였다. 식이는 4주간 섭취시켰다. 혈중 중성지방은 MG1과 MG2가 HS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혈중 HDL-C는 MG3이 HS 및 MG2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근육 글리코겐 함량은 MG2, MG3이 HS와 MG1에 비하여 높았으며, MDA 함량은 MG1, MG2, MG3이 HS에 비하여 낮은 경향만이 나타났다. 비복근의 GPx 단백질 발현은 MG2가 HS에 비하여 높았으며, Cu,Zn-SOD은 MG1과 MG2가 높게 나타났다. Mn-SOD는 MG1, MG2, MG3이 HS에 비하여 높은 경향만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지방식이에 산양삼 첨가는 골격근의 MDA 함량을 저하시키고 항산화기능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4주간 흰쥐의 목초액 섭취와 운동에 따른 혈중지질과 MDA, SOD 활성 차이 (Differences of Wood Vinegar I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MDA, and SOD Activities in Rats)

  • 강종석;김세현;김판기;이동운;류승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190-1199
    • /
    • 2009
  • 본 연구는 운동훈련과 목초액의 장기섭취가 혈중 지질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8마리의 Sprague Dawley 수컷 쥐를 이용하여 대조군(CON), 운동군(EXE), 목초액섭취군(VIN), 그리고 목초액과 운동군을 병행한 군(VINEXE)으로 각각 7마리 씩 구분하였다. 식이는 고지방식이(40%)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운동군은 4주간의 트레드밀 달리기하였으며, 목초액은 경구투여하였다. 목초액을 섭취하지 않는 집단에게는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경구투여하여 동일한 스트레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운동 후반기에 CON에 비하여 VINEXE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지방량의 변화는 VIN 및 EXE군에서 유의한 상승의 억제가 나타났으며(p<0.05), VINEXE 역시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혈액성분 중 글루코스와 암모니아는 CON에 비하여 다른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혈중 지질 중 TC, LDL-C는 CON에 비하여 다른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VINEXE의 유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p<0.05). HDL-C는 EXE와 VINEXE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MDA 함량은 각각의 집단간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05), SOD 활성은 VIN과 VINEXE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4주간의 운동을 하는 동안 목초액 섭취는 체중 증가 억제 및 혈중 지질성분의 개선, 그리고 지질과산화 억제로 나타나며,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유산소 운동과 부추섭취가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lood Lipids, MDA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 백영호;이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5-252
    • /
    • 2010
  • 실험동물은 생후 4주령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0마리로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6마리), 유산소운동군(6마리), 부추섭취군(6마리), 대조군(6마리)으로 총 24마리로 구분하였다. 운동은 총 2주간 트레드밀로 실시하였으며, 유산소 운동은 주5회, 1일 25~30분 실시하였다. 부추는 5%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중지질에서 TC와 TG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L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 보다 낮았다. MDA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항산화 효소에서 SOD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CAT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낮은 강도의 유산소 운동과 천연 항산화제인 부추섭취는 지질과산화물을 낮춤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부추섭취와 관련하여 운동강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타우린보강이 건강한 성인영성의 혈중 항산화효소 활성과 지질과산화물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Taurine Supplementation on Blood Antioxiant Enzyme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Healthy Female Adults)

  • 정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7호
    • /
    • pp.745-754
    • /
    • 2000
  • Effects of oral taurine supplementation (6g/day)for 2-4 weeks on activities of red blood cell(RBC)total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the level of malondialdehyde(MDA) were evaluated in healthy female adults (23.6$\pm$0.3 years old). Compared to the value for 0 week plasma GSH-Px activity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lower after 2 weeks of taurine supplementation(p<0.05) and recovered to the value similar to 0 week after 4 weeks of taurine supplementation. RBC total SOD activity tended to be decreased after 2 weeks of taurine supplmentation compared to the values for 0 week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of the two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lasma MDA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by taurine supplementation most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were healthy and their antioxidant defense system had been in the 'normal' range. Plasma MDA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taurine concentration(r=-0.2003m p<0.05) but tend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r=0.2465, p=0.0645) as expected Plasma GSH-Px activ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centage of 22:0 (r=0.2892, p<0.05) or 20:4w6(r=0.2939, p<0.05). On the other hand plasma MDA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20:5w3 in plasma total lipids(r=0.2635 p<0.05)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lta$5 desaturation index of w6 fatty acids(20:3w6⇒20:4w6) in plamsa total lipids(r=-0.2714, p<0.05) as well as in phospholipids(r=-0.2864, p<0.05). From these results protective effect of taurine supplementation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humans appears to be minimal when the subjects are in a relatively healthy state. Further studies concerning the antioxidant efficacy of taurine should be conducted in human subjects under various disease state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such as diabetes and artheroxcler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