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중젖산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성인여성의 보행 운동 후 전신진동이 근피로도 해소와 심박회복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cle Fatigue Reduction and Heart Rate Recovery According to Whole Body Vibration after Gait Exercise in the Young Female)

  • 강승록;민진영;홍철운;권대규
    • 감성과학
    • /
    • 제19권1호
    • /
    • pp.3-1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운동 후 전신진동이 근피로도 감소와 심박회복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총 20명으로 진동을 제공받는 그룹과 진동을 제공받지 않는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강도 운동은 경사 8.5도와 보행속도 4km/h를 30분간 제공하였고, 그룹별 진동유무별 의자형 진동기 위에서 30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전신진동자극은 10Hz의 진동주파수와 5mm의 진폭을 제공하였다. 진동유무별 피로도 감소와 심박안정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혈중 젖산농도와 실시간 심박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진동을 제공받는 그룹에서 95.2% 수준의 더 큰 근피로도 감소결과와 50.67%의 더 빠른 심박회복율 결과를 보였다. 이는 고강도 운동 후 전신진동이 근육속 혈관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를 빠르게 해소하고 혈액순환 기능을 증진시켜 피로도를 감소시킨다. 고강도 운동 후 전신진동을 이용한 휴식은 노약자나 여성들에게 운동 후 다른 육체적 활동 없이 마무리운동으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산소성 운동이 경력별 레슬링 선수의 피로물질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naerobic Exercise on Fatigue Material and Basic Fitness of Career Wrestlers)

  • 이경렬;신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14-5521
    • /
    • 2013
  • 본 논문은 경력별 레슬링선수들을 대상으로 최대무산소성 운동 후 회복과정과 기초체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첫째, 무산소 파워 테스트에서 집단 및 시기별 결과는 PP, MP, LP 영역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혈중 글루코스는 시기별 결과 경력 5년차 레슬링 선수집단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p<.001). 셋째, 혈중 젖산농도는 시기별 결과 경력 5년, 10년, 15년 모두 나타났다(p<.001). 넷째, 사이드스텝과 전신반응은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무산소성 운동 후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무산소 파워, 글루코스, 젖산, 기초체력반응 변화에서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고 유의한 차이도 보였다. 그리고 경력에 상관없이 피로회복도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초 체력반응에서는 경력 10년 선수집단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파워 테스트와 글쿠코스 변인에서는 경력 5년차 선수집단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피로도에서도 경력 15년차 선수집단에서 회복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경력과 연령에서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tacosanol Supplement and Taekwondo Program on Blood Fatigue Substance, Immunoglobulin for Short Term Weight Loss in High School Male Taekwondo Players.)

  • 예정복;이상호;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26-831
    • /
    • 200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남자태권도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옥타코사놀 섭취에 따른 단기간 체중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6일간 동일한 합숙훈련을 하였으며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에 비섭취 감량군은 점차적으로 칼로리를 줄이는 식사제한을 통해 자기체중의 5% 이상 감량하였다. 옥타코사놀은 오전 ${\cdot}$ 오후로 나누어 식후 30분에 20 mg씩 섭취시켰으며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은 같은 방법으로 위약을 섭취시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젖산과 암모니아는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는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젖산탈수소효소는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이 감량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면역글로불린 IgA, IgG는 모두 집단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 숙련도에 따른 아이언 샷 연습량이 혈중 근손상 지표와 피로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on Shot Practice Volume Based on Golf Skill Level on the Indices of Muscle Damage and Fatigue in Blood)

  • 서아람;백일영;서상훈;진화은;김영일;조수영;곽이섭;우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56-96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숙련도에 따른 아이언 샷 연습량이 혈중 근 손상 지표물질과 피로물질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었으며, 남자골프선수 24명을 대상으로 초급(8명), 중급(8명), 고급(8명)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연습량(100,200, 300타)으로 연습하는 동안 채혈시기별로 혈중근손상 지표물질인 CK(creatine kinase), LDH(lactate dehydrogenaset-혈중 피로물질인 무기인산, 젖산, 암모니아, 그리고 IGF- I (insulin like growth factor-I)과 크레아티닌의 수준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운동하는 동안 피로물질과 근손상 지표, 크레아티닌은 숙련도가 높을수록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연습량이 증가됨에 따라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회복시 피로물질과 크레아티닌은 운동종료 후 빠르게 회복되었으나, 근손상 지표, 특히 CK는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회복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골프연습도 격렬한 운동과 마찬가지로 근손상과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숙련도와 연습량에 따라 차별화된 훈련과 회복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지구성 운동수행력과 에너지 기질 및 혈중피로요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lex Ergogenic aid Supplementation on Endurance Performance, Energy Substrates Utilization and Blood Fatigue Factors)

  • 강서영;백일영;곽이섭;조수연;김희은;진화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23-1628
    • /
    • 2009
  • 본 연구는 지구성 운동 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운동 수행력과 에너지기질인 글루코스(Glucose), 유리지방산(FFA)동원과 중추 피로물질인 암모니아(Ammonia), 5-HT, 말초피로요소인 젖산(Lactate), 무기인산(Phosphorus), pH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구성 운동수행시간은 투여 전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10.7%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혈중 피로물질 농도(Ammonia, Lactate, Phosphorus, pH, 5-HT) 의 변화는 실험의 모든 시기에서 투여 전, 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혈중 에너지기질 농도(Glucose, FFA) 의 농도 변화는 실험의 모든 시기에서 투여 전, 후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는 운동수행력을 10.7% 향상시켰으며, 향상된 운동수행력에도 불구하고 혈중피로물질의 추가적인 축적은 없었다. 따라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는 지구성 운동수행 시 피로물질 축적의 지연을 초래함으로써 운동수행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단일 물질 투여에 의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할 때, 복합 투여가 단일투여보다 운동수행력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운동수행력 증진 측면에서 단일투여와 복합 투여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후 다양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복합투여물질의 구성 물질 및 비율, 다양한 운동의 형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청혈요법이 혈중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ood cleaning therapy for Blood Latate Concentration)

  • 백승룡;박래준;김태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9권1호
    • /
    • pp.147-15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reduction in lactic acid of blood in the course of time 1)whoa applying the blood cleaning therapy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2)when applying the massage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and 3)while taking a rest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respectively.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30 men who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group 1(n=10) for the blood cleaning therapy, group 2(n=10) for the massage and group 3(n=10) for rest. The blood-gathering was performed over four times ; during rest, immediately after unaerobic exercise, and at 10 and 15 minutes during recover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1. There was reduction in lactic acid when applying the blood cleaning therapy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And remarkable differences were shown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0 and 15 minutes during recovery(p<0.01 and p<0.001, respectively). 2. There was also reduction in lactic acid when applying the massage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No difference wan shown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0 minutes during recovery. However a remarkable difference was shown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5 minutes during recovery(p<0.05). 3. The rest group which took a rest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0 and 15 minutes during recovery.

  • PDF

중증 화상에서 초기 수액치료 이후 소변량, 혈중젖산, 크레아티닌 수치 변화와 이에 따른 사망률 예측 (Serum Lactate, Creatinine and Urine Output: Early Predictors of Mortality after Initial Fluid Resuscitation in Severe Burn Patients)

  • 오세열;김도헌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20
  • Purpose: PL, creatinine and urine output are biomarkers of the suitability and prognosis of fluid therapy in severe burn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predicting mortality by biomarkers and its change during initial fluid therapy for severe burn patients. Methods: A retrograde review was performed on 733 patient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8 who were admitted as severe burn patients to our burn intensive care unit (BICU). Plasma lactate, serum creatinine and urine output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admission to the BICU and after 48 hours. ABSI score, Hangang score, APACHEII, revised Baux index and TBSA were collected after admission. Results: 733 patients were enrolled. PL was the most useful indicators for predicting mortality in burn patients at the time of admission (AUC: 0.813) and after 48 hours (AUC: 0.698). On the other hand, mortality prediction from initial fluid therapy for 48 hours showed different results. Only creatinine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in mortality prediction.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mortality prediction with PL and UO (P>0.05). Conclusion: In this study, PL was most useful predictor among biomarkers for predicting mortality. Improvement in creatinine levels during the first 48 hours is associated with improved mortality.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creatinine levels.

최대운동후 스포츠 마사지 운동성 회복 안정성 회복간에 젖산의 축적&혈중 $LDH_5$ Isozyme 변화의 비교분석 (The effect of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blood $LDH_5$ Isozyme on type of different recovery after maximal exercise)

  • 김용남;류재문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0
    • /
    • 2004
  • This study selected 10 university football male players and repeatedly treated them as sports massage group, exercise resumption group, and stability resumption. After maximum exercise, when sport massage, exercise resumption, and stability resumption were applied during recovery,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LDH_5$ isozyme concentration were examined. Finally this study obtains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time between groups. Besides, the cross-action on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LDH_5$ concentration and time between groups. Besides, the cross-action on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sport massage resumption and exercise resumption remove blood lactic acid more quickly than stability resumption to promote recovery. That means that sport massage and exercise resumption anre very effective for lowering the level of fatigue. Thus sport massage or exercise resumption treatment is considered to have a very positive effect on player's quick recovery and it should be used aggressively in a field.

  • PDF

매실 추출물 섭취가 에너지기질 및 피로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Energy Substrate Levels and Fatigue Induction Factors)

  • 백일영;장외룡;곽이섭;조수연;진하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54
    • /
    • 2010
  •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매실투여로 인해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과 같은 피로물질의 축적은 감소되고, 혈중 글루코스 수치는 감소한 반면 유리지방산 농도는 증가했다. 피로는 일반적으로 피로물질의 축적과 에너지기질의 고갈로 인해 발생한다. 매실에 포함되어 있는 citric acid는 피로회복의 역할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매실 섭취가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산성화되어 가는 인체를 약알칼리로 유지하게 하여 pH 감소를 억제함으로 혈중 피로물질들의 낮은 농도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글리코겐 결핍이 citric acid cycle 중간물들의 고갈을 통한 피로 발전과 연관되어질 수 있는데, 매실에 함유된 citric acid가 글리코겐 고갈을 지연시키고 반면에 유리지방산을 많이 사용하게 함으로 피로물질의 적은 축적을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매실이 운동 시 발생하는 에너지 기질 이용과 혈중 피로물질들의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매실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매실만을 투여하였으며, 매실 섭취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으므로 운동 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매실투여량과 다른 매실투여 관련 연구들 및 시중에서 판매되는 매실음료의 함량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매실의 최적의 효과를 위한 투여량이 결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매실이 에르고제닉 에이드로써 활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운동 및 훈련 조건에서의 과학적 자료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초저열량식이로 인한 체력 저하에서 산야초추출물의 지구력 증진 효과 (Effect of Wild Plant Extracts Based on Korea Traditional Prescription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during Calorie Restriction Period)

  • 김중학;김화영;장혜은;정지상;황성주;박미현;홍성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7-1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저열량식이요법의 부작용 증세중 체력저하를 개선할 수 있도록 동의보감의 처방중 체력 증진과 연관된 보음(補陰), 보혈(補血) 기능을 갖는 사물탕(四物楊)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생약 조성물의 체력 증진 기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열량식이요법의 모델로서 섭취 식이량의 50%를 제한하는 제한식이를 2주간 실시한 결과 제한식이를 섭취한 군은 강제 수영 모델에서 총 수영 시간이 감소하고 근육내 ATP 함량의 감소, 혈액중 젖산 함량의 증가가 나타나 식이 제한에 의해서 체력 감소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산야초 추출물을 동일하게 식이제한을 한 실험동물에게 섭취시킨 결과 총수영시간의 증가와 근육내 ATP의 증가, 젖산 함량의 감소가 나타나 저열량식이에 의한 부작용인 체력 저하를 산야초 추출물이 완화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산야초 추출물의 투여는 체력과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혈중 IGF-1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되어 체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식이 제한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천연물 추출물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간기능 지표인 GOT, GPT를 측정한 결과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산야초 추줄물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