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전증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2초

과호모시스턴혈증에서 발생된 다발성 혈전증 1예 (A Case of Multiple Thromboembolisms in Hyperhomocysteinemia)

  • 박재선;배원기;이상준;정내인;진성림;이혁표;김주인;최수전;염호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239-246
    • /
    • 1999
  • 저자등은 우하지 동통 및 객혈을 주소로 내원하여 우하지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및 뇌정맥혈전증으로 환자에서 과호모시틴혈증이 다발성 혈전증의 원인이었던 1예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임신과 연관된 헤파린 항응고요법 중 반복적으로 발생한 인공판막 혈전증의 혈전용해치료 (Thrombolytic Therapy for Repeated Prosthetic Valvular Thrombosis That's Associated with Pregnancy under Heparin Anticoagulation)

  • 최주원;김용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84-488
    • /
    • 2008
  • 기계판막을 이용한 승모판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가 임신과 연관되어 장기간의 헤파린 피하주사를 이용한 항응고 치료를 받는 중에, 반복적인 인공판막 혈전증을 포함하는 항응고제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이 관찰되었다. 이는 안티트롬빈 III의 결핍으로 인한 헤파린 저항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유로키나아제 또는 조직플라즈미노겐활성제(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를 이용한 혈전용해치료를 통하여 산모와 태아 모두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었다.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혈전증 검색을 위해screening 검사가 필요한가? (Is routine screening examination necessary for detecting thromboembolism in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 김문섭;구자욱;김성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36-741
    • /
    • 2008
  • 목 적 : 소아 신증후군에서 혈전-색전증은 낮은 빈도이지만 심각한 임상 경과를 취하는 합병증이다. 그러나 폐 혈전-색전증의 경우 실제 임상에서 호흡 곤란, 빈호흡, 흉막 동통, 각혈 및 청진상 수포음 또는 호흡음 감소 등의 뚜렷한 임상 증세를 보이는 경우는 드물고, 신정맥 혈전증의 경우도 요통, 육안적 혈뇨 및 신비대 등의 전형적인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처음 신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에서 혈전-색전증 확인을 위한 screening 검사가 필요한지 알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신증후군을 진단 받은 62명의 환아 중 폐 관류 검사와 신장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실시한 54명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신장 초음파 검사와 폐 관류 검사는 처음 신증후군 진단 후 2주 이내에 실시하였고, 폐 관류 검사가 양성일 경우 컴퓨터 단층 폐 혈관 조영 검사를 실시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에만 폐 혈전-색전증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모든 환아들은 혈전-색전증의 임상적 징후와 신장 질환의 생화학적 지표, 혈액 응고 지표를 측정하였다. 결 과 : 검사 기간 동안 임상 증세 및 신장 초음파 검사상 신정맥 혈전증을 보인 환아는 없었다. 폐 관류 스캔상 이상 소견을 보여 폐 혈전색전증이 의심된 경우는 15례(27.8%)였으나, 이 중 12명만 컴퓨터 단층 폐 혈관 조영 검사가 가능하여 폐 혈전-색전증으로 확진된 경우는 모두 5례로, 폐 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는 8.1%였다. 폐 혈전-색전증 5례 중 3례에서만 기침, 가래, 빈호흡, 청진상 수포음, 호흡음 감소 등의 비특이적인 호흡기 증세를 나타내었으며, 2례는 청진 소견상 정상이었다. 또한 폐 혈전-색전증이 없었던 49명의 환아 중 21명이 비특이적 호흡기 증상을 나타내어 두 그룹 간에 호흡기 증상의 발생률의 차이는 없었다. 신장 질환의 생화학적 지표와 혈액 응고 지표 중 폐 혈전-색전증 그룹의 평균 섬유소원 농도만 $776.7{\pm}382.4mg/dL$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신증후군 환아에서 신정맥 혈전증 진단을 위한 신장 도플러 초음파 검사의 역할은 분명치 않아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증후군 환아에서 비특이적인 흉부 증상, 청진상 호흡음의 감소가 있을 경우 반드시 폐 혈전-색전증의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그러나 폐 혈전-색전증으로 확진된 경우에도 호흡기 증상 및 징후가 없는 경우가 있어서 폐 혈전-색전증을 임상적으로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초기 발병 후 완해가 오기 전 신증후군 재발을 많이 하는 시기에는 무증상의 신증후군 환아도 폐 혈전-색전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폐 관류 스캔을 screening 검사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방중격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유입되어 있는 혈전을 동반한 급성 폐동맥 혈전색전증의 치험 (Treatment of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with Left Atrial Thrombus via Atrial Septal Defect - A case report-)

  • 김시욱;최재성;유재현;임승평;이영;나명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10-1014
    • /
    • 2004
  • 급성 폐동맥 혈전색전증은 대부분 혈전용해제나 항응고제 등을 이용하여 내과적으로 치료하나, 폐동맥 혈전색전증에 의한 급성 우심실 부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신속히 수술을 하지 않으면, 단시간 내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우심혈전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그 사망률은 훨씬 높아지고, 개방형 난원공을 통한 역리성 색전증(paradoxical embolism)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본 증례에서와 같이 우심방의 혈전이 심방중격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유입되는 것이 관찰되는 예는 극히 드물다. 직장암으로 저위전방절제술을 받은 63세 남자 환자에서 수술 직후 심부정맥혈전증에 의해 생긴 우심실부전을 동반한 급성 페동맥 혈전색전증을 응급개심술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개존되어 있는 인조혈관(Polytetrafluorethylene)에 정맥성 역류 -1예 보고- (Venous Backflow in a Patent Polytetrafluoroethylene Arteriovenous Graft -A case report-)

  • 전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89-390
    • /
    • 2005
  • 대퇴동맥을 통한 검사 후 대퇴동맥 천자부위를 다루는 기준적인 방법은 수동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압박을 가한 후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침상안정을 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심한 불편함과 퇴원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 지혈을 위한 많은 장치들이 계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들은 국소적인 지혈을 촉진하기 위해 콜라겐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장치들을 사용함에 따른 많은 문제점들이 국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본원에서는 안지오-씰 사용으로 인한 우측 대퇴동맥과 슬와 동맥에 발생한 혈전증을 수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결과를 얻어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콜라겐제제 봉합제 사용으로 인한 우측 대퇴동맥, 우측 슬와동맥 혈전증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Femoral & Popliteal Arteries Thrombosis Caused by Collagen Material Closure Device - A case report -)

  • 조태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96-399
    • /
    • 2005
  • Manual or mechanical compression followed by 4 to 8 hours of bed rest is still the standard technique for accessing site management of the femoral arterial puncture site. But these methods are often uncomfortable and delay hospital discharge. Recently, a number of new devices to achieve hemostasis have been developed. These devices uses collagen to facilitate local hemostasis. But man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use these devices have been reported internationally. We present a case of successful treatment of Rt. femoral and Rt. popliteal arteries thrombosis caused by Angioseal.

식도정맥류 출혈에 내시경적 경화요법 후 합병된 상 장간막 정맥 혈전증 1예 (A Case of Superior Mesenteric Venous Thrombosis after Endoscopic Sclerotherapy)

  • 김원덕;최광해;하정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297-301
    • /
    • 2001
  • 저자들은 Banti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아가 식도정맥류 출혈로 인해 내시경적 경화요법을 받은 후 심한 복통과 설사 증상을 나타낸 상 장간막 정맥 혈전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대마 부위별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Cannabis sativa L.)

  • 강덕경;김영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1-586
    • /
    • 2021
  • COVID-19 (Corona Virus Disease 2019) 감염증에 의한 주요 사망원인은 급성폐렴과 신체 전체에 나타나는 혈전증이며, 증가된 면역반응에 의한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은 고염증 상태와 함께 비정상적인 혈전생성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의 사용이 사망률을 감소시키며, 대마 추출물이 COVID-19 증상의 완화 및 치료에 효과적임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마 성분이 항혈전 활성에 기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대마 잎, 줄기, 뿌리, 미성숙 꽃 및 종실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를 대상으로 혈전 생성 억제활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부위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대마 꽃 추출물에서 강력한 혈액응고인자 저해에 의한 혈전 생성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마꽃 추출물은 적혈구 용혈활성도 강력하여 향후 항혈전 활성물질의 분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대마 부위별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에 대한 최초 보고이며, 향후 국내에서 연구 및 사용이 제한된 대마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생물소재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인공판막혈전증에 대한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Prosthetic Valve Thrombosis)

  • 유영선;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337-1341
    • /
    • 1996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9년 9월부터 1996년 3월까지 13명의 판막혈전증환자에서 16례의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연령분포는 32세부터 63세까지로 평균연령은 45.2세였으며 남여비는 1:2.3이었다. 판막치 환술후 재수술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27.8개월이었으며 입원후 수술시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33.5시간이 있다. 술전 UYHA 기능분류 4도가 12례(75%)였으며 이중 6례가 쇽상태 였다. 재수술은 판막치 환술이 15례, 혈전제거술만 시행한 경우가 1례있었다. 수술사망은 4례(25%)였으며 사망원인은 패혈증이 2례. 저심박출증이 2례였다. 술후 평균 30.3개월 추적조사하였고 술후 UYHA기능분류는 평균 1.2로 양호하였으며 만기 사망례는 없었다. 판막혈전증에 대한 재수술요법은 조기 진단하여 환자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일때 수술하는 것이 수술사망을 줄이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