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장효소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7초

해조 올리고당 음료가 고지혈증 유도 쥐에 있어서 혈액 지질 산화 및 혈액ㆍ혈장 응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tangle Oligosaccharide Drink on Oxidation of Serum Lipid and Bleeding and Plasma Clotting Time in Rats Fed a Hyperlipidemic Diet)

  • 주동식;이진경;김옥선;조순영;이득식;제외권;최종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70-1376
    • /
    • 2003
  • 식이성 고지혈증 model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해조 음료를 투여하여 지질 산화와 관련된 효소 변화 및 혈액응고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혈액의 lipid peroxide 함량과 혈중 hydroxy radical 생성이 식이성 고지혈증의 유도로 증가되었으며, 혈중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오히려 감소되던 것이 해조 음료의 투여로 조절되었다.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도한 흰쥐에서 감소되었던 bleeding time과 plasma clotting time이 해조 음료의 투여로 다소 증가하였고, 증가하였던 tissue factor의 활성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동물 소화장관에 대한 운동성 시험에서는 해조 음료의 투여로 장관 운동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조 음료나 해조 음료 소재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 올리고당이 기존의 해조 다당과 마찬가지로 혈관계 관련 질병의 예방에 유효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향후로도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Carbamate계 살충제에 의한 Cholinesterase활성의 저해 (Inhibition of Cholinesterase Activity by Carbamate Insecticides)

  • 김정호;박흥재;박병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91-397
    • /
    • 2002
  • Carbamate 농약에 대한 cholinesterase(ChE)활성저해 관계를 규명 하고자 in vivo와 in vitro 실험을 하였다. ChE의 최적 pH는 8.0이었다. 병아리 혈장의 ChE 활성은 기질로 acetylcholin를 사용할 경우 24.6 $\mu$mol/min/g protein이었다. in vivo에서 BPMC을 0.32 mg/kg 경구 투여한 15분 후에 ChE 활성이 60%까지 저해되었으며 그 후 12시간 후에 97% 까지 회복이 일어났다. in vitro에서 효소 활성이 50%로 저해되는데 필요한 농도인 I$_{50}$이 Phenyl N-methylcarbamate계에 XMC는 329 $\mu\textrm{g}$/$\ell$였고, metolcarb은 214 $\mu\textrm{g}$/$\ell$였다. BPMC는 111 $\mu\textrm{g}$/$\ell$, propoxur는 107 $\mu\textrm{g}$/$\ell$, isoprocarb는 104 $\mu\textrm{g}$/$\ell$이었다. Aromatic N-methylcarbamate계에 속하는 carbaryl의 I$_{50}$은 280 $\mu\textrm{g}$/$\ell$이었고, carbofuran 114 $\mu\textrm{g}$/$\ell$이었다.이었다.

Streptozotocin 유발 제1형 당뇨 쥐의 혈당강하에 대한 천연 기능성 소재 혼합물의 효과(II) (Effect of Natural Functional Mixture on the Descent of Blood Glucose Leve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type I) Rats(II))

  • 손동화;김대곤;이수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8-247
    • /
    • 2011
  • 본 실험은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병이 유도된 쥐의 혈장 요소질소량, 지질수준 및 간 지질수준, 간 효소 활성에 천연 기능성 소재 화합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총 콜레스테롤은 기능성 소재를 보충 급여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70.69 mg/dL)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증가(42.6에서 51.5%로) 하였다. 그러나, SOD, CAT, GSH-Px, GSH 및 LPO 활성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기능성 소재의 보충 급여가 당뇨 쥐의 산화적 스트레스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보충 급여가 당뇨 쥐의 AST 수치 감소시켰으며, 이는 천연 기능성 소재 화합물 섭취가 간 기능 손상을 입은 STZ 유발 당뇨 쥐에 회복작용을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급격한 수온변화 스트레스에 의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생리학적 변화

  • 양정환;양문휴;여인규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8-10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를 이용한 고ㆍ저온에서의 혈액 생리학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소인 CAT 및 SOD등의 효소 변화를 조사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지표를 설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평균 전장의 29.0$\pm$1.5 cm, 평균 중량 246.5$\pm$25 g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구는 각각 15$^{\circ}C$, 2$0^{\circ}C$(대조군), $25^{\circ}C$ 및 3$0^{\circ}C$로 설정하였으며, 실험 개시 후 1, 2, 4, 6 및 8 hr후에 혈액성상을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헤마토크리트(Ht)수치, 혈색소 농도(Hb), 적혈구 수(RBC), 코티졸, Catalase (CAT) 및 Superoxide dismutase (SOD)를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아가미 운동은 대조구에 비해 3$0^{\circ}C$$25^{\circ}C$ 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저온인 15$^{\circ}C$ 및 1$0^{\circ}C$에서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Ht수치는 3$0^{\circ}C$에서 실험 개시 후 6시간까지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5^{\circ}C$에서는 1 시간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이후 6 시간까지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저 수온인 15$^{\circ}C$ 및 1$0^{\circ}C$에 서는 전체적으로 감소된 값을 나타내었다. RBC는 3$0^{\circ}C$$25^{\circ}C$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 수온인 15$^{\circ}C$는 4 시간까지 낮아지다가 이후 증가 되었다. Hb농도는 3$0^{\circ}C$$25^{\circ}C$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 시간째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5$^{\circ}C$에서는 4시간째까지는 감소되었다가 6 시간째에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증가된 경향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용존 산소의 포화도가 낮아져 산소부족 요인에 의해 적혈구수의 증가와 함께 Ht수치도 높아지며 아가미운동을 통한 혈액으로의 산소운반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혈장 코티졸의 농도는 $25^{\circ}C$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circ}C$및 3$0^{\circ}C$에서는 1 시간까지 증가되었다가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신장에서의 SOD활성은 $25^{\circ}C$인 경우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30도에서는 4 시간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인 1$0^{\circ}C$에서는 감소하였다. 간장에서의 CAT의 활성은 3$0^{\circ}C$인 경우 4시간까지 $25^{\circ}C$ 및 15$^{\circ}C$에서는 2 시간까지 증가하였다가 이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고ㆍ저 수온변화에 따른 스트레스가 장기화될 경우 어체의 건강상에 문제점의 발생하여 대량 폐사 및 질병발생의 야기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약의 조추출 mucin과 saponin이 급성 위궤양이 유도된 흰쥐에 미치는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rude Mucin and Saponin from Dioscorea Rhizoma on Gastric Ulcer Induced by Alcohol in Rats)

  • 박영미;임재환;정형진;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00-1208
    • /
    • 2014
  • 본 연구는 산약(Dioscorea Rhizoma)으로 부터 조추출된 mucin과 saponin이 위궤양이 유도된 흰쥐의 위조직 손상과 혈액 성분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위궤양을 유발시킨 후 산약에서 추출한 1%의 muc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DR-M 실험군)의 위점막은 위궤양 유발군(GU 실험군)에 비하여 다소 미미하지만 궤양성 출혈과 울혈이 지속되었으나, 1%의 sapon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DR-S 실험군)은 궤양성 출혈이 1일 이상 진행되었으나 3일차에 급격히 호전되어 대조군과 유사한 상태로 회복되었다. 또한 muc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은 급성 위궤양으로 인한 위와 장 및 간 조직에서의 부종, 국소성 괴사, 출혈이 지속적으로 출현하였으나, sapon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은 조직의 출혈과 국소적 괴사가 현저히 감소되어 3일 경과 후에는 위점막하층과 장의 미세융모가 매우 깨끗한 매끄러운 상태로 회복되었다. 혈장 내 AST와 ALT의 수준은 mucin 실험군의 경우 위궤양 유발 직후 위궤양 유발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점차 감소되었으며, saponin 실험군은 위궤양 유발 1일 경과 시 급격히 증가한 후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로 회복되었다. 또한 SOD와 CAT의 활성은 mucin 실험군과 saponin 실험군 모두에서 위궤양 유발 후 점차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약에 포함되어 있는 saponin은 mucin에 비해서 급성 위궤양에 의한 위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혈액 성분을 정상화시키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 위궤양으로부터 흰쥐의 위장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트레스 음파에 따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 소화 및 면역 생리작용 저하와 살충제 감수성 제고 효과 (Sound Stress Alters Physiological Processes in Digestion and Immunity and Enhances Insecticide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exigua)

  • 박정아;석정균;;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9-46
    • /
    • 2011
  • 본 연구는 상이한 음파 처리에 따라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유충의 소화와 면역 생리반응에 대한 교란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주파수의 음파 처리가 파밤나방 산란에는 뚜렷한 효과를 주지 않았지만, 95 dB 소리세기에서 100-5,000 Hz 주파수의 음파 처리는 유충의 섭식량을 저하시키고, 중장의 소화효소 활성을 억제시켰다. 이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른 중장 내강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였으며, 무처리구와 상이한 단백질 패턴을 발견하였다. 또한 가장 스트레스 효과를 크게 주는 95 dB의 5,000 Hz 주파수 음파 처리를 받은 유충은 곰팡이 감염에 대해서 혈구의 소낭형성이 억제되었다. 이 음파 처리 받은 유충의 혈구와 혈장에서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 $A_2$: $PLA_2$)의 활성은 현격하게 감소하였다.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라 파밤나방 유충은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했다. 이러한 상이한 주파수에 따른 생리교란 효과는 소리세기의 차이에 따라 뚜렷하게 차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파처리가 파밤나방의 생리과정에 스트레스를 주어 비화학적 해충 방제 관리 기술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고 본 연구는 제시한다.

몇 가지 살충제의 혼용 및 혼합 시 독성반응 (Acute toxicity response caused by mixture or tank mix of several insecticides)

  • 이제봉;정미혜;성하정;이해근;양재설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7-61
    • /
    • 2001
  • 영농에서 노동력 절감을 위해 $2{\sim}3종$ 농약을 혼용하여 살포하는 것은 흔한 농약살포 방법이다. 과수 재배시 널리 사용되고있는 4종 살충제의 상호혼합 및 혼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급성독성시험,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주 저해효소인 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포스팜액제, 디디브이피 유제, 피레스 유제 및 푸라치오카브 유제의 단제 및 혼합제에 대한 급성독성 및 콜린에스트라제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 포스팜 액제 및 디디브이피 유제의 급성경구독성 $LD_{50}$은 랫드에서 각각 30 mg/kg, 93 mg/kg로 고독성이었으며 나머지는 보통독성이었다. 혼합에 의한 급성경구 및 경피독성 시험결과, $LD_{50}$이 이론치보다 $0.29{\sim}1.0$ 배정도 낮은 상승독성이 발현되었다. 혼용에 의한 급성경구독성 시험결과 포스팜+디디브이피 조합의 경우, $LD_{50}$이 16 mg/kg로 맹독성 농약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외의 조합은 모두 고독성 농약으로 구분되었다. 급성경피독성시험의 경우도 경구와 동일한 결과로 독성발현이 전체적으로 상승되었다. 농약의 혼합에 의한 혈장내 cholinesterase 의 $ID_{50}$의 변화는 약제처리 30분에는 이론치보다 현저한 효소억제가 인정되었으나, 60분에는 이론치와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유로키나제와 프로유로키나제의 정제 및 특성 비교 (Purification of Urokinase and Pro-urokinase and Comparison of their Characteristics)

  • 이승진;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724-73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인뇨에서 분리 정제한 urokinase와 유전자 재조합 CHO(Chinese Hamster Ovary)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pro-urokinase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혈액 내에서의 효소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wo chain form인 urokinase와 single chain form인 pro-urokinase를 각각 순수 분리한 후, electrophoresis한 결과 모두 54 kd의 단일밴드를 나타냈다. 그러나 urokinase는 환원시켰을 때 33 kd과 21 kd으로 나누어짐을 확인하였으나 gel filtration결과 분자량이 54 kd 정도임을 확인되어 용액 내에서 단일분자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Urokinase와 pro-urokinase가 물리화학적으로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졌다는 사실은 isoelectro focusing에 의한 pI 값이 모두 8.6으로 동일하다는 점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다는 사실로도 알 수 있었다. N-terminal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urokinase는 이중사슬구조이므로 N-terminal이 두개 존재하여 pro-urokinase의 서열(Ser-Asn-Glu-Leu-His-Gln-Val-Pro-Ser-Asn)이외에도, 159번째의 Ile다음부터 Ile-Gly-Gly-Glu-Phe-Thr-Thr-Ile-Glu가 같은 peak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효소활성 조사결과 pro-urokinase와 urokinase는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혈전용해 활성을 보였으나, 특이하게도 짧은 반응시간동안에는 urokinase가 동일 농도 하에서 강한 활성을 보인 반면, 2시간이 지난 오랜 반응조건에서는 pro-urokinase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내었다. Fibrinogen에 대한 분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urokinase는 혈장 내 fibrinogen을 상당히 손상시키지만, pro-urokinase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혈전선택성이 매우 좋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안지오텐신전환효소 및 사이토카인 혈장 레벨과 재발성 우울증의 연관성 : 예비 연구 (Association of Plasma Level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Cytokines with Recurrent Depression : A Preliminary Study)

  • 손호영;이선우;김민경;이강수;이상혁;권민수;김보라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1호
    • /
    • pp.39-44
    • /
    • 2017
  • Objective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gene and plasma levels of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4 (IL-4), interleukin-6 (IL-6), interleukin-10 (IL-10), have previously been determine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lasma levels of ACE and cytokines with recurrent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52 participants (14 male, 38 female, aged $43.9{\pm}14.0years$) were enroll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depression by experienced psychiatrists using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from the outpatient clinic of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CHA Bundang Medical Center. The participants completed blood sampling,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Beck Anxiety Inventory, and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Results ACE plasma levels are higher in patients with recurrent depression ($27.4{\pm}10.4U/L$) than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depression ($19.1{\pm}7.7U/L$) (p = 0.004). The levels of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4, IL-6, IL-10,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ACE plasma level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 reduction in the HAMD over six weeks (r = -0.429, p = 0.046, n = 22).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how that plasma ACE levels may be associated with recurrent depression and further suggest that the renin-angiotensin system could play a role in recurrent depression.

사염화탄소를 이용한 마우스 지방간에서의 새로운 생체발광 측정법 (Biophoton Emission as a Biomarker of Mouse Fatty Liver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 김정대;임재관;최준호;이병천;유혜란;박대훈;천병수;소광섭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12-16
    • /
    • 2004
  • 생체발광 (biophoton emission)의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생체의 생리상태를 조사하는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의 지방간 조직에서 나오는 생체광자를 측정하였다. 올리브유와 올리브를 용매로 하는 사염화탄소를 혼합한 각각의 6마리로 구성된 두 개 군의 마우스에 복강투여 후 24시간, 72시간 후에 각각 간을 적출하여 생체광자를 측정하고, 또한 혈장을 분리하여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트랜스아미네이즈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정상적인 대조군의 경우, 생체발광이 29.5$\pm$5.9 counts/min/$\textrm{cm}^2$로. 측정된 반면, 24시간 처리군에 대해서는 69.3$\pm$21.2 counts/min/$\textrm{cm}^2$로 정상관보다 2배 이상 높은 생체발광을 보였다. 또한, 72시간 처리군에 대해서는 37.0$\pm$14.8 counts/min/$\textrm{cm}^2$로 측정되어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효소 활성도 결과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