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액생화학지표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MMPI 와 생리적 특성간의 상관성 분석

  • 박세권;정연수;김동수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11-116
    • /
    • 2004
  • 스트레스 수준이 논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군사관학교 수험생의 신체검사 결과로부터 신체건강 지표인 혈액 내 생화학적 요인들과 정신건강 지표인 다면 인성검사 점수를 추출하여 통계적 상관성 및 유의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관생도들 중 $10\%$의 표본을 추출하여 사관생도와 수험생 집단간의 특성 비교를 위한 비교집단으로 이용하였다. 수험생과 사관생도 집단 간의 특성 요인 비교는 Mann-whitney U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였다. 수험생 집단 내에서 혈중 요인 및 정신건강 지표인 MMPI 점수는 정상범주에 있었고 두 요인 간 상관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사관생도와 수험생 집단 간의 특성 요인들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특히 2학년생도들의 혈액 내 혈구 수 및 활동성 또는 적극성과 관련된 MMPI 하위척도에서 수험생 집단과 매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특이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해석을 언급하였다.

  • PDF

화재로 인한 불화수소(HF)가스에 노출된 마우스의 혈액생화학분석 및 MDA분석을 통한 세포손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DA Analysis & blood chemical test for Mouse which were exposed HF Gases from Fire)

  • 조남욱;오은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8-66
    • /
    • 2013
  • 화재시 당면할 수 있는 위험성의 여러 인자 가운데 연소독성 영향은 피난 및 최종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화재 독성에 지금까지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치사 측면에 국한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에서 발생될 수 있고,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화수소(HF)가스를 대상으로 가스유해성시험방법(KS F 2271)을 수행하여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고, 이들 실험동물군의 내부 손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액분석 및 혈액생화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오염된 혈액속의 백혈구 내 임파구를 대상으로 독성물질에 의한 산화손상을 측정하기 위해 산화손상의 지표물질인 말론디알데하이드(MDA)를 분석하여 생체 손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가지 지표분석은 화재로 인한 연소독성가스의 생물학적 손상의 기초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홍삼추출물이 난소절제 흰쥐의 혈액 생화학적 지표, 골 밀도 및 골무기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s o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Bone Density and Bone Inorganic Components in Ovariectomized Rats)

  • 김병원;이윤복;박재승;박지원;황석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93-505
    • /
    • 2013
  • 홍삼추출물이 혈액생화학성분, 대퇴골의 골밀도 및 골무기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난소절제(OVX) 흰쥐에 홍삼추출물을 투여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일원변량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홍삼추출물은 OVX군에 비하여 혈중 알부민, HDL Ca, P, Mg 및 estradiol, 골밀도, 대퇴골의 회분, Ca 및 P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혈중 ALP, AST, ALT,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LDL, creatinine, osteocalcin 및 N-terminal telopeptide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홍삼추출물은 난소절제로 저하된 간과 신장의 기능, 혈중 당, 지질 및 무기질, 골밀도, 골무기질 함량 및 골다공증관련 대사지표들을 정상수준으로 회복시켜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엽 물추출물이 다이옥신 유도 독성에 대한 흰쥐의 혈액 생화학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berry Leaf Extract o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 White Rats Exposed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 이윤복;배수정;이다경;박재승;박지원;김병원;황석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99-308
    • /
    • 2013
  • TCDD 독성이 유발된 흰쥐 혈액의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상엽 물추출물 (MLE)의 효과를 조사하였고 통계자료는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증을 하였다. TCDD 투여 시 감소했던 백혈구와 혈소판의 수가 MLE투여로 급격하게 회복(p<0.01)되어 면역기능 개선효과가 있었다. TT에 의해 감소했던 혈중 칼슘 및 마그네슘의 농도는 MLE 투여 시 유의하게 증가(p<0.01)하였으나 인의 농도는 TT군에 비하여 MLE군이 유의하게 감소(p<0.01)하였다. 신장 기능과 관련된 creatinine 및 blood urea nitrogen은 TT군과 MLE군 사이에 유의성은 없었으며, 요산은 TT군과 MLE군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한편 TT에 의해 증가했던 glucose 농도, amylase 및 lipase의 효소 활성도는 MLE 투여시 유의하게 감소(p<0.01)하여 혈당상승 억제효과가 있었다. Total protein, ${\gamma}$-GTP 활성은 TT와 MLE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나 TT에 의해 증가했던 AST, ALT 및 ALP의 활성도는 MLE 투여 시 모두 유의하게 감소(p<0.01)하여 간기능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한편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와 LDL-cholesterol의 경우 TT에 의해 유발된 고지혈 증상이 MLE 투여 시 유의하게 감소(p<0.01)하여 항고지혈 효과가 있었으며 HDL-cholesterol은 TT군과 MLE군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MLE는 TCDD독성이 유발된 흰쥐에서 독성을 완화시켜 주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연 항산화제로서 포도씨 분말 첨가가 육용계의 성장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round Grape Seed on Growth Performance and Antioxidant Status in the Intestine and Liver in Broiler Chickens)

  • 장인석;고영현;강선영;문양수;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연구는 포도씨 분말 첨가 사료가 육계의 성장, 사료 이용성 및 체 조직내 항산화 효소 및 관련 생화학 지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체 50수 3일령 육계를 2주간 예비 실험 기간을 거친 다음 각 군당 10수씩 선발하여 대조구 및 포도씨 분말 1% 첨가구 등 2개 구를 설정하여 3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고 혈액 생화학 성분 및 체조직의 항산화 지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계 사료내 1% 수준의 포도씨 분말 첨가는 체중, 일당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및 장기 무게 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혈액내 total antioxidant status(TAS)는 포도씨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으며, 혈중 생화학적 성분과 조직 손상을 나타내는 AST, ALT, LDH 등의 수준은 모든 구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3. 포도씨 분말 첨가는 소장 점막 세포내 SOD 활성도를 유의적으로(P<0.05) 증가시켰다. 그러나 간 조직내 GSHPx, SOD, GST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 환원형 glutathione 및 지질 과산화(MDA) 수준은 대조구 및 포도씨 분말 급여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천연 항산화제로서 포도씨 분말 1% 첨가 사료는 성장 및 사료 이용성에 특이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혈액내 TAS 및 소장내 SOD활성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므로 육계에서 천연 항산화원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alb/c 마우스에서 초과 추출물의 3주간 반복 경구투여 독성평가 (Evaluation of 3-week Repeated Dose Oral Toxicity on Amomum tsao-ko Extract in Balb/c Mice)

  • 박주형;조영락;고혜진;정원식;안은경;오준호;오좌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39-143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효능을 지닌 초과(Amomum tsao-ko Crevost et Lemaire)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독성평가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4-6호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맞는 독성시험법에 따라 Balb/c mouse를 이용하여 3주간 반복경구투여를 통해 초과의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3주간 반복 경구투여 후 체중, 장기중량 측정, 혈액분석 및 혈액생화학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인 한 결과, 초과에 의한 특별한 증상이나 체중, 장기중량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복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통한 혈구분석결과에서도 대조군과 초과 추출물 투여군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 할 수 없었다. 또한 혈청을 이용하여 간기능(GOT, GPT, LDH, ALB, TP-S, T-BIL, D-BIL), 신장기능(BUN, CRE), 지질영양 관련(TG), 전해질 관련(I.P) 지표들의 생화학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조군과 유사하게 모두 정상 범위 내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초과 추출물의 최대무독성용량은 최고 투여량인 2000 mg/kg 이상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결과는 초과의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소재로서의 활용에 안전성 관련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커피박 첨가가 육계의 소장 효소 활성도, 생화학 지표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ffee Meal on Intestinal Enzyme Activity, Biochemical Profiles and Microbial Population in Broiler Chicks)

  • 고영현;윤서현;송민혜;김세윤;김종선;김현욱;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5-113
    • /
    • 2014
  • 본 시험은 커피박 첨가 사료가 육계의 사양 성적, 소장 점막 세포와 혈액의 생화학 성분, 소장 점막 세포의 효소 활성도 및 맹장 미생물의 균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설계로서 3일령 육계 162수를 각 처리구당 54수씩(n=6, 9수/케이지), 대조군(CON), 커피박 0.5%(CM I) 및 1.0%(CM II) 등 3 처리군에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커피박 분말은 육계 후기 사양 기간(22~35일령)에 2주 동안 급여하였다. 사양 시험 결과, 커피박 0.5 및 1.0% 첨가는 사양 성적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장 점막 세포의 glucose 농도는 커피박 0.5% 및 1.0%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0.05), 혈액에서는 처리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액 중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는 커피박 1.0%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gamma}$-glutamyl trans- peptidase(${\gamma}$-GTP)는 처리군간 차이가 없었다. 소장 점막 세포에 존재하는 maltase, leucine aminopeptidase(LAP) 및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sucrase 활성도는 커피박 첨가 수준에 비례하여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P<0.05). 맹장의 미생물 균총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커피박 첨가군(0.5 및 1.0%)에서 유산균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대장균 균총은 현저히 감소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커피박 1.0% 첨가 사료는 소장 점막세포의 glucose와 sucrase 활성도 감소와 혈액 AST의 농도를 증가시켜 부정적인 영향이 크므로 0.5% 커피박 첨가군이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맹장에서 대장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가 있으므로 육계 사료의 기능성 소재로서 바람직한 적정한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돼지고기가 공장근로자들의 신기능지표와 혈청 생화학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k Consumption on Renal and Hematochemical Indices in Work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Unclean Environments)

  • 한찬규;노정해;이복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98
    • /
    • 2008
  • 본 연구는 공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작업환경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한 후 일상식이와 돼지고기를 섭취케 하고 신기능과 혈액지표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돼지고기의 영양학적인 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작업환경이 비교적 열악한 남성근로자 45명에게 6주 동안 자신의 일상식이를 유지하면서 돼지고기를 주 2회(회당 150g) 급여한 다음 시험전후 신기능지표와 혈청생화학치를 조사하였다. 시험 종료 후 신기능지표중 NAG활성도는 감소한 반면 ALA농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지질 중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지단백(HDL) 및 저밀도지단백(LDL)-콜레스테롤농도는 차이가 없었고, 중성지방(TG)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5). 돼지고기 섭취는 혈중 아연, 납 및 카드뮴농도를 감소시켰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시험대상자의 작업환경이 일반 근로자들에 비해 산업적인 오염노출의 위험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일상식이와 함께 돼지고기의 추가적인 급여가 신기능지표중 NAG활성도 저하와 혈중 카드뮴(Cd)농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와 관련된 보다 정밀하게 통제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복합생균제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생화학성분과 면역지표, 소화효소 활성도, 분중 미생물 및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 Complex on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and Immune Parameters, Digestive Enzyme Activity, F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Noxious Gas Emission in Broiler Chicks)

  • 김민정;전동경;안호성;윤일규;문은서;이재현;임용;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69-180
    • /
    • 2020
  • 본 연구는 복합생균제(L. plantarum, B.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를 0%(CON, 대조군), 0.25%(PC1) 및 0.5%(PC2) 수준으로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장기 무게,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면역지표, 소화효소 활성도, 분의 미생물 군락 및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복합생균제 급여는 체중 등과 같은 생산성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과 흉선 무게는 복합생균제 급여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나, 소장 점막세포 무게는 PC1군에서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Glucose, cholesterol, AST, ALT 등과 같은 혈액 생화학성분은 복합생균제 급여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분비형 면역글로불린 A(sIgA) 수준은 PC2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소장 점막세포에서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으며, 혈액에서도 PC2군에서 대조군보다 약 20%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과 소장 점막세포의 IL-1β 수준은 복합생균제 급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또한, 복합생균제 급여가 소장 점막세포의 maltase, sucrase 및 leucine aminopeptidase 활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Lactobacillu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cfu 수준은 복합생균제 0.5% 급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고, E. coli cfu 값은 감소하였다(P<0.05). 복합생균제 0.5% 급여 시 분에서 황화수소(H2S) 발생량은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며, 메틸메르캅탄(CH3SH) 발생량 역시 50% 수준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복합생균제 급여(0.25% 및 0.5%)는 육계의 생산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0.5% 수준으로 급여할 경우 소장 점막세포의 sIgA 증가와 유익 미생물 균총의 증식을 유도하여 분의 유해가스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 환경에서 카테킨 및 비타민 C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계육품질, 혈액성분 및 스트레스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Supplementation Catechin and Vitamin C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Blood Composition and Stress Responses of Broilers under High Temperature)

  • 손지선;이우도;김희진;김현수;홍의철;전익수;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3
    • /
    • 2023
  • 본 연구는 고온환경에 노출된 육계의 사료 내 카테킨과 비타민 C의 단독 및 혼합 첨가에 따른 생산성, 계육품질, 혈액 성상 및 스트레스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1일령 육계(Ross 308) 수컷 360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는 비타민 C(0, 250 mg/kg)와 카테킨(0, 600, 1,200 mg/kg)로 2 × 3요인으로 나누었으며,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0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고온 환경은 32±1℃로, 습도는 60±5%를 유지하여 시험종료까지 24시간동안 노출시켰다. 카테킨과 비타민 C의 처리에 따른 증체량,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생화학 성분 중 total cholesterol 함량은 카테킨 처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P<0.05), 비타민 C와 상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혈액 내 SOD 활성은 카테킨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corticosterone과 IgM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나(P<0.05), 비타민 C와 상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간 내 스트레스 지표로 HSP70과 MDA는 비타민 C와 카테킨의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P<0.05), HSP70에서 상호작용을 보였다(P<0.05). 가슴육 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카테킨을 급여한 처리에서 증가하였다(P<0.05). 고온스트레스에 대한 행동지표인 호흡수는 카테킨 처리에서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비타민 C와의 상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고온 환경에서 육계의 카테킨과 비타민 C의 첨가는 HSP70, MDA와 같은 스트레스 지표를 완화시켰으나, 첨가물질 간 상호작용과 최적의 혼합 수준에 대해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