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혈류

Search Result 1,33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mplementation of Non-Invasive Cerebral blood Increasing Platform using PI (혈류지수를 이용한 비침습적 대뇌혈류증가 장치의 구현)

  • Kwon, Seong-tae;Lee, Jean;Kim, 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9
    • /
    • pp.1761-1770
    • /
    • 2017
  • Treatment for cerebral blood flow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eatments for cerebral infarcti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cerebral blood flow treatments can cause multiple complications as it is invasive.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recently non-invasive cerebral blood flow increases have emerged. However,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e non-invasive cerebral blood flow sensor raises the question of speed and accuracy. In this theses, the system aims to minimize the final cortical damage to the cerebrum by implementing a system in a completely different manner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non-invasive cerebral blood flow device. The system measure the PI of the limbs while simultaneously pressing limbs. Blood flow rate is carried out indirectly by increasing blood flow to peer pressure through the limbs in which the PI eips below a certain level. This can be used selectively in patients to increase blood flow.

Implementation of Digital Laser Doppler Flowmetry using DSP (DSP를 이용한 디지털 레이저 도플러 혈류계의 구현)

  • 고한우;김종원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6
    • /
    • pp.531-53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FFT와 파라메트릭 방법에 의한 혈류 추정방법을 연구하고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레이저 도플러 혈률계를 구현하였다. 레이저 도플러 혈류계는 피부의 모세혈류의 흐름을 측정할수 있는 장비로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구현된시스템은 TI사의 TMS320C32 DSP를 사용하였으며, 전력 스펙트럼의 모멘트값을 이용하여 혈류를 추정하였다. 혈류 추정 값은 매 0.5초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표시하도록 하였다.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혈류 시뮬레이터에 흐르는 혈류를 계단함수, 삼각함수, 사인함수로 제어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인체 부위에 따른 혈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구현된시스템의 혈류 추정성 및 재현성이 보장되고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 PDF

A Thermal Blood Flow Sensor with Contact Force Compensation (접촉력 보정이 가능한 열적 방식의 혈류량 측정기)

  • Sim, Jai Kyoung;Youn, Sechan;Cho, Young-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3
    • /
    • pp.237-242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thermal peripheral blood flowmeter integrated with a force sensor that is capable of contact force compensation. We fabricate this blood flowmeter using a nickel 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and piezoresistive force sensor by using microfabrication technology. In an experiment, we obtained a decreasing trend for the blood flow under an increasing contact force with a linear tendency of 31.7%/N. We then performed a compensation process based on this obtained trend. As a result, the maximum variance in the blood flow at 1-3N was 9.8%. Thus we achieved consistent blood flow measurement independent of the contact force. In this work, we verified that the thermal blood flowmeter integrated with a force sensor has the ability to accurately measure the blood flow independent of the contact force.

The Influence of Epinephrine Concentration in Local Anesthetics on Pulpal and Gingival Blood Flows (국소마취제에 함유된 에피네프린의 농도가 치수 및 치은 혈류에 미치는 영향)

  • Lee, Jae-Sang;Kim, Sung-Ky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6
    • /
    • pp.475-484
    • /
    • 2003
  • 동통조절을 위해 국소마취제는 치과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진다. 가장 널리 쓰이는 국소마취제는 리도카인이고 이는 마취효과의 지속 및 지혈효과 등의 목적으로 혈관수축제를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 혈관수축제인 에피네프린은 임상에서 1:300,000에서부터 1:50,000의 농도로 다양하게 사용되어진다. 수복치료를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100.000농도의 에피네프린이 사용되고 있고 외과적 근관치료시 지혈효과를 위해서는 1:50,000농도의 에피네프린이 추천되고 있다. 이들 농도의 에피네프린을 포함한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시 에피네프린의 농도가 치수의 혈류 및 치은의 혈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그 영향이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치수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혈관수축제를 포함한 국소마취제에 의한 치수혈류의 변화와 치수신경의 반응성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농도의 에피네프린을 포함한 국소마취제로 마취시 나타나는 치수 및 치은의 혈류 변화를 치수신경의 반응성과 비교, 관찰함으로써 국소마취제가 치수 및 치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24세에서 27세까지의 10명의 피검자의 건전한 상악중절치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Laser Doppler flowmeter의 probe을 고정하기 위한 splint를 간접법으로 인상용 putty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치수 및 치은의 혈류량, 그리고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한 3개의 구멍을 만들었다. 피검자를 10분간 안정시킨 후 마취 전 10분간 정상 혈류량과 전기검사치를 측정하고 1:50,000 epinephrine과 1:100,00 epinephrine이 각각 함유된 2% 리도카인 용액 0.9 ml를 상악 좌측 중절치 치근단부위 협점막에 침윤마취하였다. 마취 후 70분간 치수 및 치은 혈류량을 laser Doppler flowmeter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수치를 컴퓨터에 저장하였고, 매 5분 간격으로 전기치수검사를 시행하여 그 측정치를 기록하였다. 매 시간 간격의 평균 혈류량을 정상 혈류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고, 각각의 농도에서 최소 치수 및 치은 혈류량을 Paired t-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isher's exact test등을 이용. 통계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에피네프린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리도카인을 협점막에 주사시 혈류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1:50,000 및 1:100.000 에피네프린이 함유된 2% 리도카인을 협점막에 침윤마취시 치수 및 치은 혈류 공히 현저히 감소하였다(p<0.01). 1:50,000 에피네프린군은 1:100,000 에피네프린군에 비해 치수 혈류량이 현저히 억제되어 나타났으나(p<0.01), 치은 혈류량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두 농도의 에피네프린 군 공히 치은혈류는 치수혈류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1:100,000 에피네프린 군에서 마취액 주입 후 치수혈류 최대감소가 가장 먼저 나타났고 이어서 전기검사에 대한 치수의 반응성 소실 및 치은혈류 최대 감소의 순으로 나타났다(p<0.05). 1:50,000 에피네프린군의 경우가 1:100,000 에피네프린군의 경우에 비해 마취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Ictal Hyperperfusion of Cerebellum and Basal Ganglia in Temporal Lobe Epilepsy: SPECT Subtraction (측두엽 간질에서 발작기 소뇌와 기저핵의 뇌혈류 변화: SPECT 감영영상)

  • Shin, Won-Chul;Hong, Seung-Bong;Tae, Woo-Suk;Seo, Dae-Won;Kim, Sang-Eu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5 no.1
    • /
    • pp.12-22
    • /
    • 2001
  • Purpose: The ictal perfusion patterns of cerebellum and basal ganglia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patients with temporal lobe epilepsy (TLE). Their ictal perfusion patterns were analyzed in relation with temporal lobe and frontal lobe hyperperfusion during TLE seizures using SPECT subtra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TLE patients had interictal and ictal SPECT, video-EEG monitoring, SPGR MRI, and SPECT subtraction with MRI co-registration. Results: The vermian cerebellar hyperperfusion (CH) was observed in 26 patients (78.8%) and hemispheric CH in 25 (75.8%). Compared to the side of epileptogenic temporal lobe, there were seven ipsilateral hemispheric CH (28.0%), fifteen contralateral hemispheric CH (60.0%) and three bilateral hemispheric CH (12.0%). CH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additional frontal hyperperfusion (14/15, 93.3%) than in patients without frontal hyperperfusion (11/18, 61.1%). The basal ganglia hyperperfusion (BGH) was seen in 11 of the 15 patients with frontotemporal hyperperfusion (73.3%) and 11 of the 18 with temporal hyperperfusion only (61.1%). In 17 patients with unilateral BGH, contralateral CH to the BGH was observed in 14 (82.5%) and ipsilateral CH to BGH in 2 (11.8%) and bilateral CH in 1 (5.9%). Conclusion: The cerebellar hyperperfusion and basal ganglia hyperperfusion during seizures of TLE can be contralateral, ipsilateral or bilateral to the seizure focus. The presence of additional frontal or basal ganglia hyperperfusion was mo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contralateral hemispheric CH to their sides. However, temporal lobe hyperperfusion appears to be related with both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hemispheric CH.

  • PDF

Maximum exercise in 20 men Common carotid artery blood flow velocity impact (20대 남성에서 최대운동이 뇌로가는 혈관인 총경동맥 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

  • Kim,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3 no.4
    • /
    • pp.5-12
    • /
    • 2009
  • Arterial blood from the heart chonggyeong passed directly to the cerebral arteries and the blood circulation is important, especially in arteries that prevent blood flow there are several variables. Among the variables the average flow velocity, pulse index, and blood flow resistance and which variables, double maekbakjisuna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flow resistance index at the maximum rate and blood pressure associated with this because they are important variables, The change of variables such as speed noehyeolryu There are observations about the non-invasive ultrasound measurements using Doppler noehyeolryu uses. Up to 20 men in the exercise of noeroganeun hyeolryuin chonggyeong arteries to increase blood flow rates can be found.

  • PDF

The Effects of Blood Flow on the Formation of Cerebral Aneurysms (혈류 유동이 뇌동맥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오지순;이계한;변홍식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1 no.6
    • /
    • pp.567-573
    • /
    • 2000
  • 뇌동맥류는 뇌혈관의 일부가 풍선처럼 부풀어나는 혈관계 질환이며 뇌동맥류의 파열은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 장애를 야기한다. 뇌동맥류의 다양한 발생 원인 중 혈관 내부의 혈류의 유동이 중요한 인자로 의심된다. 뇌동맥류의 형성에 미치는 혈류역학적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내경동맥에서 발생한 환자의 내경 동맥류 CT 사진을 이용하여 내경동맥류 모델을 제작하고, 모델 내부의 혈류유동장을 입자영상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동맥류가 발생한 내경동맥류 모델에서는 동맥류 원위부 목(distal neck)쪽과 반대쪽 내경동맥 벽에서 전단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동맥류 발생에 미치는 혈류역학적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동맥류를 제거한 내경모델을 제작하여 맥동유동에서 내부 유동장을 측정하였다. 심실수축기 동안 휘어진 내경동맥의 바깥쪽 벽에서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이 관찰되었으며 심실이완기 초반에도 이는 계속 유지되었다. 내경 동맥 내부의 부차적 유동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동맥류 발생 위치에서 혈관 축과 수직인 평면의 유동장이 측정되었다. 혈관 단면에서는 휘어진 혈관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시계방향의 와류가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혈관벽 바깥쪽과 시계방향으로 90도 정도 지역에서 전단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혈류 유동 특성과 동맥류 발생위치를 비교해 보면,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이 관찰되는 위치와 부차적 유동에 의해 전단응력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동맥류의 발생위치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과 부차적 유동에 의한 전단력이 동맥류 발생의 혈류역학적 요인으로 의심된다.

  • PDF

A visualization system of blood flow with laser doppler technique (레이저 도플러 현상을 이용한 혈류 속도 영상화 시스템)

  • Choe, Gyeong-Won;Yu, Mun-Jong;Kim, Yeong-Jun;Choe, Jong-Un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2a
    • /
    • pp.241-242
    • /
    • 2009
  •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피부의 혈류 속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고속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256{\times}256$ 픽셀의 크기를 갖는 혈류 속도 영상을 측정하였다. 많은 의학 치료 분야에서 혈류 흐름에 대한 영상, 특히 모세혈관에서의 혈류 흐름에 대한 영상을 필요로 한다. 레이저 도플러 기술은 물체의 속도를 물체에 접촉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술로, 레이저 광의 코헤런트한 특성과 비접촉성 특성은 인체 피부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데 좋은 특성을 제공한다.

  • PDF

SPM을 이용한 남여별 ADHD 환자 뇌 SPECT 영상의 분석

  • 박성옥;신동호;권수일;조철우;윤석남;오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43-43
    • /
    • 2003
  • 목적 : 남, 여 ADHD 환자에서 뇌 혈류상태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ADHD 환자의 SPECT 뇌혈류 영상에 대하여 SPM을 통한 뇌 혈류상태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남자 ADHD 환자군 51 명 (4-11세, 평균 9.0세)과 정상군 8명(6-17세, 평균, 9.6세) 그리고, 여자 ADHD 환자군 13명(6-12세 평균 9.0세)과 정상군 4 명(6-12세 평균 9.0세)의 SPECT영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방사성의약품 $^{99m}$ Tc-ECD 0.33mCi/kg을 환자의 정맥내에 주사하고 30분후 잠을 재운상태에서 Multi SPECT3 camera를 이용하여 영상을 기록하였다. Matlab을 이용한 SPM program에서 남여별 ADHD환자의 뇌혈류지도 영상을 비교하였으며, BOLD(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effect) data plotting을 이용하여 혈류증가율과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남자 ADHD환자군의 혈류증가부위의 경우, P<0.02 에서 대상회전 (cingulate gyrus)이 나타나 P<0.05까지 한 부위에서만 나타났으며, 정상군에 비하여 15.61%의 혈류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혈류감소부위로는 P<0.004에서 좌측 대뇌 도이랑 (insula gyrus), P<0.005에서 우측 대뇌 측두엽이랑, P<0.007에서는 우측 대뇌 전두엽아래이랑에서 각각 감소되었으며 P<0.01에서는 좌측 대뇌 전두엽 아래이랑에서도 나타났다. ADHD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각각의 클러스터에서 평균 14.97-15.28%의 혈류 감소율을 보였다. 뇌 혈류의 증가율과 감소율은 유의 수준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여자 ADHD환자의 혈류증가의 경우 P<0.003에서 소뇌 후엽 중앙부위, P<0.005에서는 좌측 대뇌 변연엽, P<0.009에서는 좌측 대뇌 측두엽 그리고 P<0.02에서는 소뇌 후엽을 비롯하여 9개부분에서 혈류증가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ADHD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24.68-31.25%의 혈류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혈류감소를 나타낸 부위로는 P<0.001에서 좌측 대뇌의 렌즈핵(lentiform nucleus), P<0.003에서 우측 대뇌의 렌즈핵 그리고 P<0.005에서 P<0.01까지 좌측 대뇌 측두엽중심에서 나타났다. 각각의 클러스터에서 평균 혈류감소율은 30.57-30.84%이었다. 결론 : 남여ADHD 환자의 혈류 증가와 감소부위는 서로 일치하지 않았으며 여자의 경우 혈류 증가와 감소율이 남자보다 더 크게 나타나, ADHD환자의 SPECT를 이용한 분석에서 남여환자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 보다는 남여환자를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진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Non-Invasive Pressurized Cerebral Perfusion Platform (가압식 비침습적 대뇌 혈류 증가 장치의 구현)

  • Lee, Jean;Yu, Hyung-gon;Kim, 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9
    • /
    • pp.1752-1760
    • /
    • 2017
  • One of the treatments and preventions of strokes such as ischemic stroke is to increase cerebral blood flow. This aims to minimize the size of the stroke by increasing the quantity of blood to the cerebral region circuitously. Several ways to increase cerebral blood flow are a therapy though drugs and through surgery. However these invasive method giving a burden to the patient, the problem of inducing a number of complications were note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on-invasive brain flow enhancer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such invasive treatment methods.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devices, the patient's blood pressure is accurately measured and the bloo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xtremities, thereby increasing blood flow to the femoral region to produce blood clotting treatments. Although somewhat inadequate blood flow increases compared to conventional devices, blood flow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which can be sel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