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 계측

Search Result 1,16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The national road cut slope (국도 절토사면 상시계측시스템 현황분석)

  • Shin, Chang-Gun;Kim, Youl;Lee, J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921-929
    • /
    • 2008
  • 도로절토사면을 지속적으로 관리함에도 불구하고 집중호우 시 도로절토사면 붕괴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절토사면 붕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위해 각종 신공법들이 개발, 도입되고 있으며 IT와 접목된 상시계측시스템도 많은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국토해양부 각 지방국토관리청 산하 국도관리사무소에서 관리중인 절토사면 중 현재 상시계측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는 현장은 총 93개소이며 이들 현장들에 문제가 발생할 시 즉각적으로 경보시스템이 작동하여 붕괴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작동에 차질이 없도록 정기적인 현장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8년 3월경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시설안전공단, (주)GMG에서 합동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국도 상시계측시스템의 현황 및 특성, 상시계측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국도 사면 중 상시계측 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에 대하여 암종별, 규모별, 지역별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상시계측시스템이 설치된 현장 중 붕괴발생현장 및 붕괴위험 현장에 대하여 붕괴특성분석, 유지관리 사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 PDF

Design of Portable Measuring Devices Used for Field Ice Experiments (극지 해양플랜트 현장시험용 해빙의 재료특성 간이 계측장비 개발)

  • Choi, Kyung-Sik;Kim, Jung-Hyun;Kim, Jeong-Seon;Ha, Jung-Seo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26-1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극지 빙해역을 운항하는 쇄빙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해빙의 재료특성을 계측할 수 있는 간이 실험 장비를 제작하였다. 극지 빙해역을 운항하는 쇄빙선박의 빙저항이나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빙하중을 추정하기 위해서 극지 현장에서 실규모의 시험을 수행하게 되는데, 저온과 얼음이라는 악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빙역학 기술과 특수 장비가 필요하다. 국내에 한국해양연구원 MOERI 빙해수조가 완공됨에 따라 얼음의 특성을 고려한 모형빙 재료특성 시험용 계측장비가 일부 마련이 되었으나 빙해역 현장 시험에 대한 경험이 전무하며, 계측장비에 대한 지식과 기술 역시 확보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후 쇄빙연구선 ARAON호를 이용한 빙해역의 실선계측 시 해빙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시스템 마련의 일환으로 시험편 획득을 위한 코어링 장비와, 해빙의 재료특성 중 1축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간이 압축시험기 그리고 얼음의 결정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편광기를 제작하였다. 또한 극지 현장실험에 적용할 실험기법 확보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제작된 장비를 이용해 소양호에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고 계측된 결과를 참고문헌과 비교해본 결과 유사한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latform Design for Constructing Web-EOC Integrated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Web-EOC 통합계측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플랫폼 설계)

  • Lee, jin-duk;Chang, ki-tae;Bhang, ko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5-176
    • /
    • 2019
  • 개별 단위현장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서버로 통합관리, 현장으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관리치를 비교하여, 이를 벗어난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즉시 SMS 전송을 하고 상황실에 경고를 하게 된다. Web-EOC 현장 검색 메인화면은 급경사지 주민대피 계측관리 시스템의 계측센서가 설치된 현장을 3차원 지도로 위치 이동하고 개별 현장의 센서 변위 발생 시 해당 현장으로 자동 이동되도록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Cut Slope Behavior Analysis using Real Monitoring System (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절토사면의 거동특성 분석)

  • Baek, Yong;Koo, Ho-Bon;Jang, Ki-Tae;Bae, G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b
    • /
    • pp.586-591
    • /
    • 2004
  • 매년 발생되는 절토사면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절토사면에 상시 계측시스템을 설치하고 지반의 거동분석을 실시한다. 본 현장의 절토사면 붕괴 규모와 메카니즘을 분석하고 계측 결과와 상호 비교 분석한다. 본 현장은 상시계측시스템 운용 확대 실시에 따른 시험 설치 현장으로 2003년부터 운용 중에 있다. 계측결과에 의하면 강우량과 지반의 거동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현장의 경우 크게 3번의 지반이동이 있었으며 현재는 안정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향후 동절기의 외분 온도 변화와 동반하여 지반의 변동이 우려됨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관찰과 자료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Comparison of Compressibility between the Oedometer Tests with the Field Measurements in Namak Clay (계측결과를 이용한 남악점토의 압축특성 비교)

  • Kim, Dongbeum;Ahn, Taeb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5
    • /
    • pp.15-20
    • /
    • 2008
  • Compressibility of the marine clay was mainly studied velocity of consolidation and numerical analysis by this time but studies of reevaluated from the field measurement data was a little. For last three years, areal fills and extensive field instrumentations including settlement and pore water pressure were performed in the site of the Youngsan River estuary site, South Korea. From the settlement data, field consolidation curves for sub-layers were reconstructed. Effective surcharge loads during the staged loadings were calculated using the fill heights and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s in the ground. In the numerical analysis (PLAXIS),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were also simulated. Laboratory, field, and numerical analysis showed good agreements in compressibility. Due to different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lay was the same range of the oedometer tests.

  • PDF

Elasto-plastic Analysis and In-situ Measurement on Rock Behaviors with Stepwise Excavation of the Steep Soft Seam at a Great Depth (심부 급경사 연약층의 채굴 진행에 따른 주변 암반 거동의 탄소성 해석 및 현장계측)

  • 정소걸;신중호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4 no.4
    • /
    • pp.295-303
    • /
    • 2004
  • For the deep underground excavation site with the geological complexity of soft seam and hard rock, the numerical analysis and in-situ measurement on the behaviors of roadway and surrounding rock according to stepwise excavation of the steep soft seam are carried out. The strata behavior is modeled using elasto-plastic FEM considering the empirical failure criteria of Hoek & Brown and the strain-softening model. Hydraulic pressure capsule, MPBX and tape extensometer are installed around the roadway for the in-situ measurement of rock stress and deformation. Despite the complexity of geology and excavation procedure, the elasto-plastic analysis considering the empirical failure criteria of Hoek & Brown and the strain-softening model shows good agreement with the in-situ measurement. Comparison of numerical modeling with in-situ measurement enables to predict the behaviors of the roadway and to obtain design parameters for the excavation and support at depth.

A Study of Economic Aspects on 3-D Scanning Measurement during Tunnel Construction (3차원 스캔을 이용한 터널계측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

  • Choi, Won-Il;Park, Geun-Young;Cho, Kook-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2
    • /
    • pp.77-81
    • /
    • 2010
  • D&B(Drill & Blast) method in tunnel construction requires accurate and rapid measurement of the ground movement, which is essential for feedback analysis. Case study and adaptability of IT technique for tunnel survey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application of laserscannig and existing light wave instrument method in the field of tunnel construction were reported in several advanced country including Austria and Japan. Survey for the shoulder movements by IT survey method was conducted at a subway construction sit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lso, the economic aspects of laserscannig method were analyzed using measured data which were categorized by expenses, frequency, interval and period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herefore IT survey solution may contribute to execute more economic and safe construction

Field Application Analysis of Cable Tension Measuring Device on Cable-Stayed Bridges (사장교 케이블장력 계측장치의 현장적용성 분석)

  • Lee, Hyun-Ch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4
    • /
    • pp.295-311
    • /
    • 2021
  •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field applicability of tension measuring devices of the cables in cable-stayed bridges. The vibration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tension of cables of cable-stayed bridge, and the mode characteristics of the cable were analyzed using a cable tension measuring device. GTDL360, NI Module, and 9 Axes Motion Sensorwere applied to estimate the cable tension of five target bridges. Numerical analysis of the five target bridge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cable and cable tension. The estimated tension of the cable based on field measurements and estimated tension of cable by numerical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e estimated tension of the cable based on field measuremen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sured tension of the cable based on field measurements was within the margin of error. Therefore, it is safe to apply these measuring devices to the site.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alues of the acceleration-based cable estimation tension and numerical analysis of the field demonstration bridge, the acceleration-based cable estimation of tension is deemed appropriate within the allowable range. On-site applicability analysis revealed limitations of the measuring devices, such a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sensors and weather conditions, so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on smart cable tension measuring systems is expect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al-Time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in Small Stream (실시간 소하천 자동유량계측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Kim, Seojun;Yoon, Byungman;Cheong, Taesung;Im, Y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2-82
    • /
    • 2019
  • 최근 사물인터넷 등의 IT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리 계측 분야에서도 자동 유속 및 유량 측정장비들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자동 유속 측정 장비들은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쉽게 적용하기가 어려워 극히 소수의 지점에서만 운영 중에 있으며 전국 2만2,823개소에 달하는 소하천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유속 측정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방법이 표면영상유속계이다. 표면영상유속계는 일반 동영상 촬영 장비와 분석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유속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 비접촉식으로 유속을 측정하기 때문에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을뿐만 아니라 홍수 시 유속 측정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유량과 수위가 급격하게 변하는 국내 소하천의 유량측정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표면영상유속계를 실시간 자동유량계측이 가능하도록 시스템화 하여 개선하였다. CCTV 기반의 실시간 소하천 자동유량계측 시스템의 구성은 CCTV, 초음파수위계, 현장제어함체 및 조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현장제어함체에는 CCTV 영상분석 S/W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시간으로 산정한 유속자료와 초음파수위계로 측정한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유량을 자동으로 산정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울주군에 위치한 중선필천에 설치하여 적용성 여부 및 현장검증을 실시하였으며, 2018년 홍수사상에 대한 유량계측을 실시한 결과 표면영상만으로 소하천의 유속을 매우 짧은 시간에 계측할 수 있어 소하천의 급격한 유량 변화를 매우 안정적으로 계측하여 온전한 홍수 사상을 확보 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장 계측 인력 없이도 CCTV 영상으로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홍수대응 지원도 가능한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n Microseismic Data Acquisition and Survey Design through Field Experiments of Hydraulic Fracturing and Artificial Blasting (수압파쇄 및 인공발파 현장실험을 통한 미소지진 계측 및 설계에 대한 연구)

  • Kim, Jungyul;Kim, Yoosung;Yun, Jeum-Dong;Kwon, Sungil;Kwon, Hyongil;Shim, Yonsik;Park, Juhy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8 no.4
    • /
    • pp.197-2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microseismic data acquisition technique for hydraulic fracturing imaging at the site of shale gas development. For this, microseismic data acquisition was performed during hydraulic fracturing and artificial blasting at a site bearing shale layers. Measured microseismic event data during the hydraulic fracturing have the very small amplitude of 0.001 mm/sec ~ 0.003 mm/sec and the frequency contents of 5 Hz ~ 20 Hz range. Meanwhile microseismic event data acquired during artificial blasting have the bigger amplitude (0.011 mm/sec ~ 0.302 mm/sec) than hydraulic fracturing event data and their frequency contents have the range of 5 Hz ~ 2 kHz. For microseismic data acquisition desig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instrumentation including sensors and the recording system, the determination of sensor array and the deployment rang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theoretical data and field application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