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체험학습

Search Result 15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ield-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Web and Mobile (웹과 모바일을 연동한 현장체험학습 지원시스템)

  • Min, Yoon-Kyung;Choi, Byoung-J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5
    • /
    • pp.53-64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show how to support the field-learning by using web and mobile system. This Web Mobile system is to help the users plan, carry out and evaluate a field learning. Usually the field-learning is going through three steps: preparation, actual field activity and post-evaluation activity. The proposing Web-Mobile system supports an integrated methodology to more effectively help, lead and manage this three step field-learning, This effective approach will help the learners develop their creativity, self-control and partnership to each other.

  • PDF

A Design Courseware for Effective Actual Experience Studying (효율적인 현장체험 학습을 위한 코스웨어 설계)

  • Kim, Dai-Bum;Moon, Wae-Sh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159-166
    • /
    • 2004
  • 현장체험학습은 교과 학습과 관련해서 교실을 벗어나 학습장을 방문하여 학습활동을 한 후 보고서를 작성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학습을 말한다. 하지만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습 범위가 넓어지고 사전학습이 없어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에 교사에게는 풍부한 현장체험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수업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에게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사전 수업을 한 후 현장체험학습을 실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에 관한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현장체험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코스웨어는 학습자가 스스로 사전 사후 학습을 하며 교사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PDF

The Design of Web based Actual Experience Studying Managemen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웹기반 현장 체험학습 관리시스템 설계)

  • Kim, Jae-Hong;Kim, Jeong-Ra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38-445
    • /
    • 2004
  •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경험, 체험 중심의 교육활동이 전개되어야 하며, 현장 체험학습은 점차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학생 개인에 대한 교사의 지도가 부족하고 교사들은 체험학습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장 체험학습 관리시스템을 설계하여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체험학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체험학습 계획서와 보고서를 D/B화하여 상호평가와 교사의 지도적 평가를 용이하게 하고, 멀티미디어 요소를 포함한 보고서 작성방법을 탐색하여 교사는 현장 체험학습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도하며 학생들은 체험학습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갖게 되어 효율적인 체험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n Authoring Tool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using Mobile Device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Kang, Young Ok;Cho, Na Hy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3
    • /
    • pp.123-132
    • /
    • 2015
  • Recently both the importance and the interests of field-experience learning have kept increasing since the Education of Ministry encourages students to take a field-experience learning with the self-driven and creative education as the main issue in the 7th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As the importance of field-experience learning goes up continuously, not only the release of its related mobile applications is increasing, but also a variety of researches for supporting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are ongoing. In this research we perform two things. First, we define the basic concept of authoring tool for which support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and user requirements analysis. We confirmed that the authoring tool for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has to 1) support all activities that happen in pre-field, field-experience and post-field phases, 2) be possible to write the location-based field work, 3) have the authoring function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such as history, science and geography, etc. that the field learning can be realized, 4) be designed as the structure that the results of inquiring activity after the field experience activity can be reused. Second, we create a conceptual design after confirming the authoring tool.

Design of an Experience in Learning Activity Supporting System based on Situated Learning for Improving Individual Basic Learning Skills and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 아동의 기초학습 기술과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상황학습 기반 현장체험학습 지원 시스템 설계)

  • Hwang, Jung-Eun;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09-116
    • /
    • 2010
  •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상 교육활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자료 지원과 실제적인 학습이 가능한 현장체험학습 활동이 요구된다. 그러나 많은 장애요인 및 위험요소로 인해 장애아동의 체험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미 교실에서 학습된 지식이라 하더라도 실생활의 문제 상황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상황과 맥락 하에서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상황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발달장애 아동의 기초학습 능력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지원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학습을 위해 현장 체험학습을 활성화 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 지원할 수 있다. 둘째,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단순한 지식의 습득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문제 상황에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셋째, 시스템 설계시 장애인의 웹접근성 및 모바일 환경에서의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고려하여 설계함으로써 장애아동이 학습 공간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넷째, 학습 모듈별 반복 학습이 가능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기초학습 능력 뿐 아니라 사회적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ield Experience Activity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Jun, Woo-Chun;Hwang, Jung-E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2 no.1
    • /
    • pp.33-48
    • /
    • 2011
  • In this thesis, a field experience activity support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to allow the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field activities around their local community. The proposed syste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can improve effectiveness of field experience by providing very practical pre-study information to students. Second, the systems provides very practical and real-world problem-solving abilities rather than providing simple experience and superficial information. Third, the system allows students to chang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ir local community environments and purpose of use. Fourth, the system can be used as education for living at home as well as field experience study at schools. After applying the proposed system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ollowing positive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system have good effect on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the system is used for prestudy. Specially those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and motivated on study subjects. Second, at real field experience study place, students are well adapted and are very interested in their activities. Third, in the light of post-evaluation after field experience, it is reported that lots of study contents remain in their memory.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on pre- and Post-construction Safety and Unsafe Behaviors of Construction Workers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이 건설근로자의 사전사후 안전과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Moon, You-Mi;Cho, Choon-Hwan;Kim,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55-157
    • /
    • 2022
  • 기존의 안전교육 교수방법은 강의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어 근로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배경/목적]: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은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보다 더 빠르게 위험을 인지하고 여기에 맞는 안전작업 이행과 위험발생 시 응급대처 능력 등을 향상시키므로 사전사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본 연구는 안전교육의 체험학습방법과 참여방법, 교육콘텐츠 접근방법을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행동 유도와 불안전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검증이 목적이다. [연구방향/범위]:실제 건설현장과 동일하게 작업환경을 구성해 놓은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시설에서 추락체험, 낙하물체험, 장비협착체험, 화재, 감전재해 등의 실제 사고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체험학습 방법과 가상(VR, AR, 메타버스)공간에서 간접경험 할 수 있는 참여방법을 다룰 것이다. 그리고 안전체험교육 사전사후의 분석을 통하여 안전 학습전이 성과를 분석한다. [연구 분석방법]:연구의 주요 변인으로는 Human-Error, 안전행동요인, 불안전행동요인, 위험감수성, 조직특성, 조직의 안전문화, 조직의 역량, 안전교육특성, 교육콘텐츠 변화가 사전사후 분석을 통하여 현장 작업 시 안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 PDF

Design of Location Recognition and ID Identification for NFT Reports in Metaverse-based Field_study Trip (메타버스기반 체험학습 NFT보고서의 위치인식과 ID식별 설계)

  • Mingoo Kang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9
    • /
    • pp.38-44
    • /
    • 2023
  • In this paper, a blockchain-based platform of NFT(Non-Fungible Token) reports was proposed to ensure the reliable performance contents of field study trip.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manage the personal multi biomeric authentication user ID of activity records for students in a mobile IP-based metaverse with the linkage of extended reality(XR). At this time, many quests and incentives of platform are provided to induce students to experience smart and fun field studying facilities by linking real trip experiences and virtual extended_reality studies in the metaverse interworking.

Virtual Field Education(VFE) for Active E-Business Learning (가상현장교육을 통한 능동적 체험 학습의 도입과 활용)

  • 김범수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3.09a
    • /
    • pp.167-171
    • /
    • 2003
  • 목차 ◎연구의 배경 ㆍ전통적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 ◎효과적 온라인 교육:능동적 체험 학습 ◎가상현장교육(Virtual Field Education) ㆍ가상현장교육 환경 및 구성 ㆍ지식의 전달 및 학습 과정 ◎가상현장실험(Virtual Field Experiments) ◎정보통신 교육과 연구의 융합(중략)

  • PDF

Development and Effect of Math-Tour to improve Mathematics Study Attitude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신장을 위한 매쓰투어(Math-Tour) 개발 및 효과)

  • Heo, Seon;Oh, Hong Si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4 no.4
    • /
    • pp.465-48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Mathematics field experience trip program on students' attitude in learning Mathematics. For this we developed Jejumok-Gwanna Math-Tour program in 2019 for students which would make them to walk and experience mathematics in the field. In that program, we suggested several Mathematics examples about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in Jejumok-Gwanna. After that, we let A middle school students within Jeju to experience this program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this program. We asked participants to write pre- and past- questionnaire, have an interview, and write review. After analyzing thos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Jejumok-Gwanna Math-Tour on student's attitude in learning mathematics was sta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Mathematics Field Experience Study Program could be useful to improve student's attitude in learning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