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ield Experience Activity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투고 : 2010.11.18
  • 심사 : 2011.03.30
  • 발행 : 2011.03.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전 학습을 통해 발달 장애 아동의 현장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현장학습이 단순한 체험 및 지식의 습득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문제 상황에서 지식을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셋째, 시스템 설계시 지역사회 활용성 및 관리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설계함으로써 학습자의 실생활에 맞게 컨텐츠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학교에서의 현장체험학습 뿐 아니라 가정에서의 생활 교육 등에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기초학습 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구현하여 적용한 결과, 발달장애 아동의 현장체험 학습시 현장 적응력을 높이고 학습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전학습을 실시한 결과 학습이나 사물에 대한 집중도가 낮은 발달장애 아동들에게 매우 높은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였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들이 실제 현장학습장소에서도 현장 적응력이 높았으며, 관심 및 주의집중이 유지되었다. 셋째, 현장체험학습 후 실시한 사후지도 및 평가에서도 많은 학습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thesis, a field experience activity support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to allow the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field activities around their local community. The proposed syste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can improve effectiveness of field experience by providing very practical pre-study information to students. Second, the systems provides very practical and real-world problem-solving abilities rather than providing simple experience and superficial information. Third, the system allows students to chang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ir local community environments and purpose of use. Fourth, the system can be used as education for living at home as well as field experience study at schools. After applying the proposed system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ollowing positive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system have good effect on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the system is used for prestudy. Specially those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and motivated on study subjects. Second, at real field experience study place, students are well adapted and are very interested in their activities. Third, in the light of post-evaluation after field experience, it is reported that lots of study contents remain in their memor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섭 (2006),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성 증진을 위한 체험학습활동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2. 교육인적자원부 (2001),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사회 3-2. 교육인적자원부.
  3. 김삼섭 (2001), 특수교육의 심리적 기초. 교육아카데미.
  4. 김용신 (1999), 구성주의에 따른 사회과 현장학습방법.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김용욱 (2008),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공학의 활용. 집문당.
  6. 김윤정 (2004), 특수학교의 현장학습 실태 및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7. 백정연 (2004),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8. 신현기 (2001), 특수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9. 오영태 (1989), 사회과 교육. 교학연구사.
  10. 우현 (2006), 방과 후 지역사회체험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1. 이연주 (2005), 지역사회 체험학습 활동이 통합학급 발달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2. 이은경 (2004), 체험활동 중심 인성교육이 정서 장애학생의 바람직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13. 조미헌 외 4인 (2006), e-learning 컨텐츠 설계. 교육과학사.
  14. 최평임 (2009), 체험학습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기초학습 기술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제 11집 2호.
  15. 한면희 (2002), 새로운 패러다임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