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조사 검증

Search Result 62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the Delineation Accuracy of Vegetation Type for the Information Reliability of the Biotope - Case Study of Seoul Biotope Map - (비오톱지도 신뢰도 판단을 위한 식생유형 공간구획의 정확성 고찰)

  • Cho, Woo;Hong, Suk-Hwan;Kwark, Jeong-In;Han, Bo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5
    • /
    • pp.575-581
    • /
    • 2010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for verifying the biotope field survey accuracy in the forests. Biotope data is used as the standard for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urban ecosystem. The study area is the forests of Gwanak-gu, Seoul. For verifying accuracy, first we compared biotope field survey results between 2000 and 2005, second we compared between field survey results and satellite imagery. For comparing with satellite imagery, we delineated the evergreen-coniferous forests from imagery taken during winter season.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ratio of most actual vegetation types by delineated detail field surveys were matched around 92% between 2000 and 2005. But, between 2 field surveys, around 60% of total vegetation type was regionally matched. Evergreen-coniferous forests extracted by satellite imagery were regionally matched 69.4% of field survey result in 2000, and matched 80% of the result in 2005. If we consider the delineating errors from deciphering the picture, the results have high accuracy, especially 2005. The processes of verifying accuracy have not been proceeding in the part of delineating actual vegetation works. The verification of accuracy is important for the renewal process. Thus, the various verification methods will be studied and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for enhancing objectivity.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using Satellite Remotely Sensed Imagery (위성사진을 이용한 해양환경분석)

  • Shin, Bum-Shick;Kim, Kyu-Han;Pyun, Cho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40-1944
    • /
    • 2006
  • 현지관측을 통한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사하여 종합적인 분석과 예측, 결정과정에 있어서, 복잡한 해양의 특성, 여러가지 조사 작업상의 난점,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하지만, 위성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해양환경파악기법은 현지관측에서 얻을 수 있는 제한적인 자료이외의 다량의 자료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가시화함으로써 해양개발로 인해 불가피하게 초래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장기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고도화된 환경조사 및 평가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자료인 Landsat TM 영상과 NOAA AVHRR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및 클로로필을 추출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현지관측자료 및 수치해도를 기초로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서 그 외의 수질환경요소를 산출하였다. 위성영상분석은 현장조사와 같은 시점의 Landsat TM 위성영상을 획득하여, 위성 영상은 지구의 곡률과 자전, 위성체의 자세와 고도 및 속도, 그리고 센서의 기하 특성으로 인하여 실제의 지형에 대하여 기하학적 왜곡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형도에서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GCP)를 추출하여 ERDAS Imagine으로 UTM좌표체계에 따른 기하보정(Geometric Correction)을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시기의 NOAA AVHRR영상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수온자료를 추출하였다. 표층수온과 현장관측에 의한 클로로필을 수치 지도화하기 위하여 열적외선영역인 TM band 6의 분광특성값(Digital Number)과 동일한 위치의 수온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온추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분석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vestigation of Current Fluctuation at a River (하천에서의 흐름변동 조사)

  • Lee, Hyun-Seok;Kwon, Hyung-Joong;Kim, Young-Sung;Lee, Ge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22-526
    • /
    • 2007
  •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천의 경년변화를 조사하다 보면, 사주 변동에 따라 하천의 주 흐름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특정 하천의 지정된 구간에서의 흐름변동은 많은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짧은 시간 동안 자연하천에서의 주 흐름 변화를 관찰 하기는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에, 하천에서의 주 흐름 변동에 따른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조정지 댐에서의 수문 조작"이라는 인위적인 방법을 동원함으로서 가능하였다. 모든 조정지 댐에서는 하천 유지를 위한 일정양의 물을 수문을 통하여 방류한다. 대청댐 하류에 있는 조정지 댐에는 폭이 약 10m에 이르는 10개의 수문이 있다. 평상시에는 우안으로부터 5번째에 있는 중앙의 수문을 개방하여 초당 약 18톤의 물을 방류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방류하고자 하는 지점의 수문높이를 조정하여 일정량을 유지한 채, 수문의 위치를 중앙에서 좌안 그리고 우안의 순으로 변경 하였다. 방류 수문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하천에서의 수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흐름이 안정 될 때까지 충분히 기다린 후, 각각의 경우에서의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현지관측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첫째 지형측량, 유량측정 및 수위변동 등을 포함한 정밀현장조사, 둘째 일반적인 모델에 정밀조사 결과를 적용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는 가시화 기법 개발 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한 모델은 하천에서의 흐름거동을 2차원적으로 해석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프로그램인 SMS (Surface-Water Modeling System)의 RMA2 모형이다. 이모형은 RMA (Resource Management Associates, Inc.)에 의해 처음 개발된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이며 지배방정식은 z방향을 수심 적분한 2차원 천수방정식으로, x와 y방향에 대한 Navier-Stokes 방정식과 연속 방정식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 시 지배인자 파악의 중요성 및 수치계산을 위한 검증자료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한 계산 결과 및 다양한 현장 특성을 고려한 계산 결과를 비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1)최신 장비들의 도입 및 검증과 기존 장비의 활용 범위 확대, (2)기존의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하천 흐름특성의 가시화 실현 등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Susceptibility Mapping of Umyeonsan Using Logistic Regression (LR) Model and Post-validation through Field Investigation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이용한 우면산 산사태 취약성도 제작 및 현장조사를 통한 사후검증)

  • Lee, Sunmin;Lee, Moung-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3 no.6_2
    • /
    • pp.1047-1060
    • /
    • 2017
  • In recent years, global warming has been continuing and abnormal weather phenomena are occurring frequently. Especially in the 21st century,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hydrological disasters are increasing due to the regional trend of water. Since the damage caused by disasters in urban areas is likely to be extrem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to predict and prepare the future damag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andslide vulnerability using the logistic model and assessed the management plan after the landslide through the field survey. The landslide area was extracted from aerial photographs and interpretation of the field survey data at the time of the landslides by local government. Landslide-related factors were extracted topographical maps generated from aerial photographs and forest map. Logistic regression (LR) model has been used to identify areas where landslides are likely to occur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was constructed by applying a LR model to a spatial database constructed through a total of 13 factors affecting landslides. The validation accuracy of 77.79% was derived by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for the logistic model. In addition, a field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validate how landslides were managed after the landsl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urban governments for policy recommendations on urban landslide management.

Development of a Mobile System for Investigating and Maintaining Steep Slopes (급경사지 유지관리 및 피해조사를 위한 Mobile System 개발)

  • Song, Young-Karb;Kim, Tai-Hoon;Oh, Jeong-Rim;Son, Young-Ji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2 no.2
    • /
    • pp.185-194
    • /
    • 2012
  • The effic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teep slopes often require excessive professional resources and quantitative investig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technology for objective scientific site investigations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of steep slopes. This study proposes a 'Mobile System' for steep slop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ite investigation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using anevaluati on table. By analyzing site investigations and desktop studies, the required software and hardware are identified to develop the 'Mobile System', consisting of a 'Field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an 'Analysis System'.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is verified by its application to an area with steep slopes affected by debris flows. The use of this system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intaining steep slope sand to reduce the time and resources required.

Distribution of Subgenus Lycoctonum in Korea: Analysis and Verification by GIS (한국산 진범 종집단의 서식상황: GIS를 이용한 분석과 검증)

  • Lee, Soo-Rang;Jeong, Jong-Chul;Park, Chong-Wo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2
    • /
    • pp.135-14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and analyze environmental factors of subgenus Lycoctonum in Kore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are high land plant species by GIS. We derived the habitat model of Lycoctonum from GPS coordination, habitat factors and digital topology maps. Suitable altitude fur the subgenus Lycoctonum is from 470m to 1320m, and northern slopes(between 15.5 and 36 degrees) are ideal for the Lycoctonum populations. In addition to altitude, slope and aspect, deciduous forest and approximation to water source were found as important factor. Using GIS and the Lycoctonum habitat model, we overlaid elevation, aspect, slope and land cover layers and analyzed buffer from the water source on two topology maps, Yang-Soo and Mock-Dong. After making prediction map for Lycoctonum habitat, we verified the existence of Lycoctonum populations on the predicted sites through field survey. Through this research, we're convinced that GIS software is powerful tool for plants conservation, such as finding unknown habitat or selecting alternative habitat.

  • PDF

Effect on Safety Behavior Reinforc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Works (건설공사 안전보건관리활동과 안전교육의 관계에서 안전행동강화에 미치는 영향)

  • Kim, Y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58-159
    • /
    • 2022
  • 최근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전 산업에서 건설업 재해율은약 50%로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년 1월 27일)과 4차산업 발달에 따른 IOT기반 안전관리 등 안전규제와 안전관리기술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지만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접점에 있는 실무자 및 근로자가 실효성 있게 안전관리활동을 하고 실질적으로 안전행동을 강화시키는 안전사고 예방적 안전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보건활동, 안전교육, 안전행동강화, 안전성과와의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제시하고 관계 분석하였다. 건설현장 실무자 및 근로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에 적용하여 관계를 분석한 예측결과, 분석결과에 의해 검증된 가설이 시사하는 부분을 해석하고, 가설검증을 기반으로 외생변수로부터 안전행동강화에 도달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주요 논점을 논의한다.

  • PDF

Field Application of New Seismic Site Characterization Using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 Method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탄성파 지반조사기법의 현장 적용)

  • 박형춘;김동수;이병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0 no.6
    • /
    • pp.51-59
    • /
    • 2004
  • The evaluation of shear modulus is very important in various fields of civil engineering. In this paper, the site characterization method using HWAW method is applied to determine shear wave velocity profile of two test sites in order to verify the field applicability of HWAW method.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by HWAW method are compared with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by SASW test and PS-Suspension Logging test. Through field applications, it is shown that HWAW method can minimize the effect of noise and lateral non-homogeneity of the site and determine detailed local shear wave velocity profile of site.

Field Sutdy of Domestic Floating Solar Site (국내 수상태양광 발전설비 현장조사)

  • Min, Joonki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64-66
    • /
    • 2019
  • 국내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정부의 지원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주요 연구 내용은 수상용 태양광 모듈,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 설계, 부유체 안전 기술 및 실증과 같은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성과로 육상 대비 5~10%의 발전량 향상 검증, 수상 태양광모듈 개발, 수상태양광 부유체 설계 등이 있었고, 수상태양광설비의 가격이 육상 대비 높았던 것을 고려하여 2015년 수상태양광설비의 REC 가중치가 1.5로 신설됨에 따라 수상태양광설비의 보급이 증가하는 계기를 맞이하였다. 국내 저수지 및 댐을 관리하는 한국농어촌공사 및 한국수자원공사가 수상태양광 보급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9년 8월 부터 시작된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수상 태양광설비에 대한 현장조사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