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적용 사례

Search Result 1,3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SWP for Adult Learners

  • Cho, Woo-H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2
    • /
    • pp.193-19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teaching method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rough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s for reinforcing SWP, and to seek ways to strengthen field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method of applying learner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scussions by inviting practitioners in the field, and to watch the progress of projects by type of social welfare site. Second, as a way to participate i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cellent proposals, participate in events held at welfare sites, present various dilemma cases in the field, and try to overcome ethical dilemmas by sharing cases overcoming dilemma, and to make efforts to list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such methods as phone calls, e-campus, Kakao Talk, Zoom, and counseling techniques that are conducted in the case management process as a way to apply interaction, and discuss issues that are important in the welfare field.

Application case study of LSIS Medium Voltage Drives. (LS산전 Medium Voltage Drive의 국내외 현장적용사례)

  • Park, J.J.;Kim, K.S.;Oh, H.S.;Kim, Y.T.;Jeon, J.H.;Park, C.H.;Lee, S.J.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98-399
    • /
    • 2019
  • 본 논문은 LS산전 고압인버터의 국내외 현장 전용화 사례에 대해 기술한다. 고압인버터는 대용량 고전압 전동기를 구비한 중요부하에 주로 적용되며 단독운전보다는 다수의 고압인버터가 연동 운전하는 현장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장에는 표준제품이 아닌 전용화 기능을 포함한 제품이 출하가 된다. 자사 LS MVD는 각종 산업설비와 국책연구기관의 시험설비 그리고 발전소 수처리 시설 등 국가기간시설에 많이 적용이 되며 매년 70여대 이상의 MVD가 국내외 전동기 부하에 신규로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목할만한 현장의 전용화 사례에 대해 설명하여 향후 고압인버터를 적용하고자 하는 고객이나 고압인버터에 관심이 있는 엔지니어에게 고압인버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In-Situ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soil gas (토양가스 측정을 위한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Yu, Chan;Lee, J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0a
    • /
    • pp.410-416
    • /
    • 2005
  • 생물학적 통풍법은 유류오염 지역에 자주 적용되는 정화공법이다. 이 과정은 지중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함으로서 토착 미생물에 의한 오염성분의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공법의 적용시 공정진행에 따른 공법의 효율성 분석과 장기적인 정화효율 예측을 위한 지중 가스성분의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그 적용사례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토양가스 성분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사례를 시스템의 구성과 측정방법, 관측결과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현장적용 결과는 토양가스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용 시작 후 6개월동안 센서나 측정장비에서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공정관리를 위한 공법효율성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PDF

A Field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Precess for Reinforcement-Related-Work (철근 기계화 가공 적용 사례)

  • 윤영호;양지수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5 no.4
    • /
    • pp.66-76
    • /
    • 1993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중 뼈대공사라고 할 수 있는 철근공사에 있어서, 현행 철근의 절단 절곡 가공방법은 현장 인력 수작업에 의한 가공 즉 노동집약적 형태로 운영되어 왔으며, 특히 절단가공에 있어서는 철근의 강도저하가 우려되는 산소를 사용한 가열절단으로 행해지고 있어, 본고에서는 이와같은 현장여건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인력절감, 현장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꾀하기 위하여 철근 가공(절단,절곡) 기계화 시스템을 적용한 시공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기로 한다.

Development of robot for anode auto-injection (아노드 자동투입 로봇 개발)

  • 김대하;신경철;이성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0b
    • /
    • pp.1284-1287
    • /
    • 1996
  • 전기도금공장 ANODE 투입 및 추출 자동화 사업은 ANODE 자동투입 Robot이 개발되어 적용되기전까지는 국내에서 적용된 사례가 전혀 없었고 선진제철소에서 일부 적용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만 알고 추진되었던 사업이다. 이번에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한 ANODE 자동투입 robot은 가반중량이 300kg이나 되는 이동형 특수 robot으로 국산화개발품이지만 성능의 신뢰성이 입증되지 않는 상태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위험 부담성이 컸으며 완전자동화가 되기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시행착오의 주요원인으로는 현장여건 즉 설비의 간섭, FUME에 의한 robot의 고장 또한 robot 자체의 설계 miss등 무수히 많았다. 이번 ANODE 자동투입 robot 개발 및 현장 적용으로 향후 확대 적용시 시행착오에 의한 문제점을 최소화 할수 있는 대책을 수립할수 있는 좋은 기회가 주여져 96.12.E 준공을 목표로 2차분 ANODE투입 자동화 사업이 진행중에 있으며 1차분과 시스템을 통합하여 보다 완벽한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며 97년도에는 포항제철소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 PDF

MTS 기법의 소개와 적용사례 연구

  • 지철민;이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39-247
    • /
    • 2004
  • 본 논문은 진보된 다구찌 기법의 한 분야로 다구찌 박사가 90년대 후반에 제시한 마할라노스-다구치 기법(Maharanobis-Taguchi Method MTS)에 대한 개념의 소개와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로 이미 미국, 일본에서는 많은 성공사례가 발표되어 현장에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활용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MTS기법의 소개와 적용사례 관하여 고찰해 봄으로써, 국내에도 MTS기법이 많은 분야에 도입 및 적용되어 활성화되는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 PDF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rise building construction technology and various concrete development applied to Togok-Dong Tower Palace III project. (도곡동 타워팰리스 3차 현장에서의 초고층 시공기술과 다양한 콘크리트 개발 및 적용사례 소개)

  • 왕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2.10a
    • /
    • pp.703-715
    • /
    • 2002
  • 타워팰리스 3차 현장은 국내에서 현존하는 건축물로서 가장 높은 63빌딩보다 약 30m 정도 더 높은 초고층 주상 복합건물이다. 초고층 건축현장에는 일반현장과는 다른 시공기술과 기법이 적용되는 바, 당 현장에는 기존의 타워팰리스 1차와 2차에 적용되었던 초고층 시공기술을 기반으로 좀 더 발전된 시공기술과 공정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선진국에 버금가는 속도로 공사가 추진되고 있다. 당 현장에 적용된 여러 시공기술 중에서 콘크리트와 관련된 주요 기술은 1) Mat 기초에 적용된 무다짐(또는 고유동화)콘크리트, 2) Mat 기초에 적용된 Closed Pipe Cooling System, 3) Core ACS Form에 적용된 고강도 콘크리트, 4) 기둥에 적용한 800 kg/$m^2$ 초고강도 콘크리트, 5) 스포츠동 기둥에 적용될 CFT용 고유동화 콘크리트, 6) 주차램프 바닥의 조면처리용 섬유보강콘크리트 등이다.

  • PDF

Medium voltage Drive apply water supply facility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송수설비 고압인버터 적용을 통한 에너지효율 향상방안 고찰)

  • Lee, S.Y.;Kim, B.G.;Pyo, M.T.;Yun, H.M.;Kim, H.J.;Na, S.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037-1038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절감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가장 많은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산업용 전동기에 대한 에너지 절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보통의 산업용 전동기에 인버터를 장착 할 경우, 가장 에너지 절감 효과가 높은 부하는 Fan이나 Pump부하이다. 따라서 많은 인버터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부하에 적합한 인버터를 출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또한, 국가에서 적용하는 ESCO 정책과 같은 정부 보조에 힘입어 더욱더 시장이 확대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기존의 범용인버터에 대한 에너지 절감 사례들은 많이 적용이 되어 왔으나 고압인버터가 실제 Site 에 적용이 되어 어느 정도의 에너지 절감을 가지는 사례는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취송수설비 현장에 고압 인버터를 적용하여, 전력비 절감은 물론 투자비 절감으로 우수한 경제성을 확보한 사례에 대하여 소개하며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Waterproof Method to the Leakage Type of Underground Structure by Cement Grouting (지하구조물의 누수유형에 따른 시멘트그라우팅 방수기법에 관한 연구)

  • 천병식;최춘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5
    • /
    • pp.181-196
    • /
    • 2001
  • 지하구조물에 있어서 누수사고의 빈번한 발생 및 상습화 경향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누수보수방법은 누수유형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처리방식으로 보수하는 상황으로서 지하구조물 누수에 대하여 누수 유형별로 보수방법을 달리하는 적극적인 해결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구조물의 누수보수에 있어서 방수 그라우트재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현장상황에 적합한 방수그라우팅 기법을 수립하여 누수유형별로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방수그라우팅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지하구조물의 누수방지를 위하여 누수상황 및 누수유형에 따라 주입재의 배합비를 적절히 변화시켜 주입재와 현장상황에 적합한 방수그라우팅 기법을 병행 적용하는 것이 확실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주입목표구간에 대해 단계적으로 수회로 나누어 순차적인 그라우팅과 가능한 한 저압, 소량, 장시간에 걸쳐 주입하는 것이 방수그라우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장 적용결과로부터 기존 방수이론의 영향요소에 추가하여 물시멘트비, 주입재의 입경, 주입시간 및 주입량, 혼화재 사용여부, 주입차수 등에 대한 다양한 영향요소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