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시공관리

Search Result 90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icient CM Methods Available on Architectural Construction Projects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효율적인 CM적용 방안 - 건축 project 실무적용을 중심으로 -)

  • Son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104-112
    • /
    • 2003
  •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은 70년대에서부터 지금까지 압축된 경제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에 따른 엄청난 물량의 아파트 건설로 숨가쁘게 물량 공급에만 급급해 왔지 상대적으로 건설시공의 효율성과 합리적인 건설관리에는 소홀하여 왔다. 이는 곧 반복되는 부실시공과 대형 건설재해를 유발시켜 건설업에 대한 대중적인 이미지 실추는 물론 품질과 안전관리가 국가적인 위신문제로까지 대두되게 되었다. 이러한 시접에서 건설산업의 문제점을 풀어나가기 위한 개선책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 CM이라고 생각한다. CM을 통하여 설계와 시공을 통합관리하고 현장 시공과정에 내포되어 있는 부실 요인을 찾아내어 제거하고 시정조치하고 이를 유사 Project에 Feed-back시킴으로써 점진적인 향상(Progressive Improvement)을 이루어내며 제약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원가를 절감함으로써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가는 것이 곧 CM 활용의 효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15년간 현장소장(Project Manager)의 경험을 바탕으로 CM기법을 건설현장에 적용 사례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 PDF

A Conceptual Model of Construction Information to Be Used According to Construction Process (현장 시공 프로세스에 따른 시공정보관리 개념 모델)

  • Kwon Young-Sang;Kim Kyung-R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 no.4 s.8
    • /
    • pp.39-47
    • /
    • 2001
  • Nowadays, the enormous information from each industry has been brought out. According to th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those data have been useful to the point of Cost & Time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Due to the temporary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various information have only been used just one time and not recycled. There are few studies for the use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ompared with other stages in project life-cycle, the construction stage includes the most important and various information from field. It will be desirable that one should study for developing the us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With this thesis,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ual classification model for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 PDF

UAV-based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Development for Civil Engineering Management (토목현장에서의 무인비행장치 기반 현장정보 취득 및 분석 시스템 개발)

  • Kim, Changyoon;Youn, Jun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4
    • /
    • pp.549-557
    • /
    • 2022
  • Due to harsh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 understanding of current feature of terrain and other infrastructures is critical issue for site managers. However, because of difficulties in acquir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s such as large sites and limited capability of construction workers, comprehensive site investigation of current feature of construction site is not an easy task for construction managers. To address these circumstances of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deduce difficulties and applicabilities of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area of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To confirm applicability of UAV in civil construction project, case study have been conducted on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 The result of case study proved that the developed system is one of promising technologies that has been studied in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To improve applicability of UAV for construction and process management information, law and technical issues will be an important area of future study.

Improvement of Synthesis Construction Plan through 6sigma (6시그마를 통한 종합시공계획서 작성 프로세스 개선)

  • Baek, Ho-Jin;Yoo, Chang-Kyu;Lee, Yoon-Su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613-617
    • /
    • 2007
  • To achieve project successfully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 pre-management of risk is important factor. Synthesis Construction Document made early construction is representative as means of pre-management of risk. But, Synthesis Construction Document is not working properly for pre-management of risk because the level is low as Synthesis Construction Document is made formally and the time is too late to pre manage the risk for various factor. A epoch-making method that differ with existing need to solve this deep-rooted problem of domestic construction site. So, this study is analyzing to achieve subject to heighten level Synthesis Construction Document and shorten creation period with "S"construction company(introducing 6sigma by tool of management innovation 6 sigma)'s data and offering an opportunity that heightens effectiveness and goes forward and aims possibility about construction site suitability of 6sigma by confirming Pilot Test.

  • PDF

현장탐방 - 마포 석유비축기지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23
    • /
    • pp.56-59
    • /
    • 2017
  • 서울특별시회는 지난 4월 13일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와 합동으로 (주)동보엔지니어링이 시공 중인 '마포석유비축기지 재생 및 공원조성 기계설비공사' 현장을 방문하여 안전 및 품질점검을 실시했다. 이날 품질점검에는 발주처인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관계자를 비롯하여 감리단장, 기계감리 등이 참석하여 시공현황을 체크했다. 서울시회 김수철 상임부회장은 (주)동보엔지니어링 정광일 대표와 김원근 현장소장에게 "다른 현장보다도 더욱 우수한 공사품질과 체계적인 현장관리, 타 공중간의 소통에 의한 긴밀한 업무협조로 준공까지 공사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솔선수범하여 우수 시공사례 현장이 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달라"고 부탁했다.

  • PDF

열정! 건설현장을 찾아서 - 상생, 시스템, 자율 안전관리의 삼박자 완벽 조화, 롯데건설(주) 제주시티호텔 신축현장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2
    • /
    • pp.16-18
    • /
    • 2013
  • 국제관광도시로서의 명상을 돈독히 다지고 있는 제주도. 최근 이곳의 관광업 관계자들은 물론 지역주민들은 한껏 기대감에 부풀어 올로 있다. 바로 롯데건설(주)이 시공하는 제주시티호텔이 다음 달이면 준공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곳은 제주도 내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90m)로 탄생하면서 랜드마크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곳 현장은 지난 2011년 8월 구 제주일보 사옥 철거공사를 시작으로 2011년 12월부터 TOP DOWN 및 UP-UP공법을 병행하여 토공, 골조공사를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현재는 공정율 85% 수준으로 건물외부 코깅작업 및 내부 인테리어 마감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곳이 특히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롯데건설(주)의 안전관리 기술력이 집약된 또 하나의 건축물이라는 평가를 듣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건설(주) 관계자들은 이곳에 면세점과 호텔 등 다중이용시설이 들어서기 때문에 부실시공은 곧 대형안전사고를 불러온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빈틈없는 안전시공을 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물론 현장 근로자들을 대하는 안전관리에도 고스란히 나타난다. 착공부터 현재까지 무재해 100만 시간을 앞두고 있다는 점이 이를 잘 증명한다. 안전으로 제주도의 새로운 명소를 건서래 나가고 있는 롯데건설(주) 제주시티호텔 신축현장을 찾아가 봤다.

  • PDF

설계기준해설 - 과거 터널현장 국부적인 붕락 유형 사례 연구

  • Kim, Nak-Yeong;Hwang, Yeong-Cheol
    • 지반과기술
    • /
    • v.10 no.4
    • /
    • pp.20-31
    • /
    • 2013
  • 본 터널 붕락 사례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때, 시공 공정 중에 발생 가능한 붕괴 및 붕락은 앞서와 같이 과거의 여러 사례들을 토대로 분석함으로서 예측 할 수 있지만, 시공 외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사실상 조사, 설계, 시공 중의 오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파악하기 어렵다. 본 터널 붕락사례를 통해 원인을 분석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1) 불규칙한 지반구조적 원인 대부분의 터널 붕락을 일으키는 불규칙한 지반구조는 과거 지반구조의 침식 또는 대규모 지반운동 등 지반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터널 시공전에 면밀한 사전 지반조사와 선진 보오링 등으로 정확한 지반구조를 파악한다면 이로 인한 터널 붕락은 최소화 시킬수 있다. (2) 기획과 설계단계에서의 오류 충분치 못한 지반조사에 의한 설계 및 부적절한 시공자재 사용등으로 터널 붕락이 발생 될수 있다. 터널 굴착 주변 지반조건과 이러한 지반조건에 적합한 터널 굴착 및 보강공법 등이 터널 설계시 심도있게 검토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3) 시공 및 관리에서의 오류 경험이 부족한 터널기술자의 현장 감독과 현장에서 수집되는 각종 계측자료의 신뢰성 부족과 결과의 재적용 미흡으로 효율적인 계측 및 지반정보를 활용한 정밀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터널 붕락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4) 현장관리 조사서의 표준화 부족 터널굴착공사중 붕락이 발생된 현장의 막장조사결과를 보면 조사자가 임의로 표시를 하여 각 터널별 막장조사결과가 매우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각 터널별로 기재방법, 양식이 달라서 실제 원인분석에 활용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search on eco-friendly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for construction site through waste fiber resource recycling technology (폐섬유 자원재활용 기술을 통한 건설현장 친환경 시공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Dae-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2.11a
    • /
    • pp.45-46
    • /
    • 2022
  • Recen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co-friendly construction system through recycling of waste material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This is required to reflect the times that require a carbon reduction system in construction as part of domestic and overseas carbon dioxide reduction. Therefore, we intend to establish eco-friendly construction management as part of resource recycling and carbon reduction through recycling technology for waste fibers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 PDF

Quantity Management Model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of Large-scale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during Construction Phase (대규모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 현장 시공 시 공장 생산량 및 현장 시공량 관리 모델)

  • Choi, Onekyu;Lee, Hyunsoo;Park, Moonseo;Hyun, Hosa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9 no.1
    • /
    • pp.43-53
    • /
    • 2018
  • Modular construction can improve construction quality and accuracy through manufacturing process, and it allow massive production and cost savings by repeatedly producing the same unit.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because the on-site work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at simultaneously. However, according to the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survey repor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average construction period between modular construction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This is due to schedule delay problem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ph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lternatives to prevent schedule delay during on-site construction progressing. Especially, in case of large-scale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on-site module assembly and manufacturing process are performed concurrently. Hence, identification of alternatives should be done at the co-occurrence by taking both manufacturing and on-site work process in to account. In this research, the management factors of large-scale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DEF0 modeling, and the quantity management model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is developed. This will reduce the schedule delay problem that occurs in the progression on-site work of a large scale modular construction.

Applied cases of advanced construction & engineering technology at Tower Palace III Project (타워팰리스 III 현장의 첨단 시공 및 엔지니어링 기술 적용사례)

  • Wang 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202-213
    • /
    • 2003
  • Tower Palace III project is the highest residential and commercial high-rise complex building in Korea. In order to construct a high-rise building, advanced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technology is required. Therefore, with more developed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technology based upon accumulated knowledge, construction speed of 13.4 days per floor including finish work was achieved in this project. To achieve this project successfully, three main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were applied: 1) Construction methods for 3-day cycle of structural work and curtain wall, 2) Tact scheduling method for finish work, 3) Management system of material, labor, work, and information. Also, four main engineering technology were applied: 1) New material such as high -flowing concrete and high strength concrete of 800 kgf/cm2, 2) New method such as a pipe-cooling system of a cool water circulating type, 3) Mechanical system such as smart-fan controlling kitchen-ventilation system, 4) Electrical system such as false car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