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교육모형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29초

건설공사 안전보건관리활동과 안전교육의 관계에서 안전행동강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Safety Behavior Reinforc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Works)

  • 김용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59
    • /
    • 2022
  • 최근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전 산업에서 건설업 재해율은약 50%로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년 1월 27일)과 4차산업 발달에 따른 IOT기반 안전관리 등 안전규제와 안전관리기술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지만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접점에 있는 실무자 및 근로자가 실효성 있게 안전관리활동을 하고 실질적으로 안전행동을 강화시키는 안전사고 예방적 안전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보건활동, 안전교육, 안전행동강화, 안전성과와의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제시하고 관계 분석하였다. 건설현장 실무자 및 근로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에 적용하여 관계를 분석한 예측결과, 분석결과에 의해 검증된 가설이 시사하는 부분을 해석하고, 가설검증을 기반으로 외생변수로부터 안전행동강화에 도달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주요 논점을 논의한다.

  • PDF

프로그래밍 교육이 아동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gramming Lessons on Children's Logical Thinking Improvement)

  • 고유정;이수정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5-200
    • /
    • 2007
  • 본 연구는 컴퓨터 교육의 기본방향에 부합하지 못하는 학교 현장에 문제의식을 갖고,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문제 분석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래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였다. 플래시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아동의 논리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지식정보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각급 학교에 적합한 수준별 모형으로 정착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 해보고자 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고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60
    • /
    • 2008
  • 이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활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관 이용교육은 서지교육의 개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개념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며,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지침과 모형을 제시하는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도서관 주체의 정보활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ACRL, LIRT, SCONUL, ANZIIL의 홈페이지에 추천된 온라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적인 단계와 각 도서관의 학습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설계기반연구를 활용한 독서토론수업 모형 개발 (Instructional Model for Reading Debate Based on Design-Based Research)

  • 이보라;조현양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72
    • /
    • 2014
  • 이 연구는 독서토론수업이 교육환경에서 실제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학습자가 독서 정보바탕의 토론활동을 하는 독서토론 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와 현장 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 설계기반 연구를 활용하여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이었으며, 모형의 완성을 위해 16차시의 수업을 진행하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전문가 검토를 반복하는 형성적 순환을 실시하였다.

  • PDF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한 소프트웨어교육 온라인 대면 교수 설계 모형 (Online face-to-fac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oftware Education using Virtual Classroom)

  • 서성채;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75-84
    • /
    • 2022
  • 현재, 교육은 대면수업과 온라인의 특징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모델인 블렌디드러닝을 이용하는 교수 설계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19 이후 교육의 패러다임이 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으로 변화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변화에 대응하는 교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을 활용한 교수 설계모형으로, 비실시간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후, 실시간으로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하여 온라인 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버추얼 클래스룸을 활용한 온라인 대면 교수 설계 모형을 소프트웨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교수 설계 모형은 대면 교육 특징을 온라인에서 수용할 수 있는 교수 설계로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page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정광수;홍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40-649
    • /
    • 2004
  •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전통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탈피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은 거스를 수 없는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교수 학습 모형으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실 여건을 개선하고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뮤니티 활동을 미니홈페이지라는 공간을 통해 교사와 학생 사이에 학습과 대화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ICT 활용 교육 커뮤니티를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학생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학습과정으로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도록 ICT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여 ICT 활용 교육이 우리 학교 현장에 튼튼히 뿌리를 내리는 데에 기여하고자 HTML학습을 위한 홈페이지를 블로그툴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현장연구중심대학원의 평가모형 연구

  • 장재중;설성수;이병민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9-145
    • /
    • 2006
  • 본 연구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를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계의 새로운 대학원모델을 평가하는 기법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UST와 일본의 SOKENDAI(The Graduate University for Advanced Studios)를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대학원모델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UST는 커리큘럼과 도제식 수업, 맞춤형 교육체계, 현장 중심형 인력양성체계들이 아직 높은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반면 교육목적과 비전이 상당 수준 만족스럽다는 결과를 얻고 있는 조사를 바탕으로 한 UST의 평가에 관해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평가체계의 네 가지 유형과 함께 토론회와 모든 평가에 부합되는 고급 평론을 통하여 UST에 방법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방식을 제안한다. UST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식은 대학원평가를 위한 특수성과 보편성으로 서로 동일하다. UST는 다 학제적이며 신생 융합기술분야에서 현장중심형인 리더십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세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두 요소는 특수성이 더욱 강조된 5:5, 6:4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후속적인 보완연구가 추가되면 더욱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의 시설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ility Model for Safety Training Class in School)

  • 박성철;안유정;송병준;조진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2호
    • /
    • pp.19-33
    • /
    • 2017
  • 본 연구는 교육부, 학교현장, 건축가, 기업 등 관련 기관의 정책수립, 운영계획수립, 시설건립 등 다양한 사업추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체험교실에 적용하기 위한 필수 교육프로그램을 도출하고 단위공간 조성과 이에 대한 구성요소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5단계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수행 및 시설계획 기본방향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공간규모, 시설구성 등 공간조성 실태와 운영실태분석을 바탕으로 안전교육 체험교실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 안전체험교실의 장 단점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참여디자인을 통하여 5가지의 시설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1) 교통안전(보행안전, 차량안전, 지하철안전) 2) 응급처치(응급구조, 신고요령) 3) 재난안전(화재 대피안전, 지진 생활안전) 4) 승강기안전(승강기안전, 에스컬레이터안전) 5) 약물 및 폭력안전(흡연 음주안전, 성폭력안전, 식품안전)에 대한 체험존과 각 영역의 세부 안전체험공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학교현장의 수용 가능한 공간적 규모에 따라 각 모형을 조합 또는 분리하여 안전체험교실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웹 기반 인터넷 윤리 학습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Learning Model for the Internet Ethics Using Multimedia)

  • 강병도;박진숙;김선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71-85
    • /
    • 2007
  • 최근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잘못된 행동이 증가하면서 인터넷 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인터넷 윤리 교육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텍스트 위주의 자료로 주입식 수업을 하여, 청소년들의 윤리 의식을 고취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교육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웹 기반 학습 모형 및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험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나선형 모형을 이용한 대학 IT 교육의 개선 (Upgrading College IT Education using a Spiral Model)

  • 박수희;노은하;장준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54-6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산학간 협력을 통해 대학의 IT 분야 전공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 주재의 교과과정개발, 적용 및 점증적 개선 과정을 설명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인 Boehm의 WINWIN 나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수요자로서의 산업계, 공급자로 서의 학계, 중재자로서의 정부가 모두 만족(winwin)할 수 있는 협상작업을 통해 교과과정이 개발되고 정련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개발된 교과과정들이 정부의 사업을 통해 전국의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활용된 결과와 그에 대한 평가를 제시한다. 이 모형의 기본 원리는 일반적이어서 타 영역의 대학 교과과정 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