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ility Model for Safety Training Class in School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의 시설모형 개발 연구

  • 박성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 안유정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 송병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 조진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Received : 2017.06.23
  • Accepted : 2017.07.27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 programs for safety training class, create unit spaces and present components and methods of utilizing the spaces for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models closely related to various policy, operation plan and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promoted by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hools, architects and companie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steps. First, we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basic directions for safety education and facility plan, second, field survey included both field conditions such as spatial size and facility configuration and analysis of operating conditions like hours of operation and personnel. Base on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it were used to analyz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safety training classes, and five facility models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lphi method and expert participatory design. The result show that the facility models (drafts) of safety training class were developed as follows: (1)the facility model for traffic safety(pedestrian safety, vehicle safety, subway safety) (2)the facility model for first aid(emergency rescue, how to report) (3)the facility model for disaster safety(fire evacuation safety, life earthquake safety) (4)the facility model for elevator safety(elevator safety, escalator safety) (5)the facility model for drugs and violence safety (smoking drinking, sexual harassment safety, food safety) The safety training class can be composed by combining or separating each module according to affordable space size of each school.

본 연구는 교육부, 학교현장, 건축가, 기업 등 관련 기관의 정책수립, 운영계획수립, 시설건립 등 다양한 사업추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체험교실에 적용하기 위한 필수 교육프로그램을 도출하고 단위공간 조성과 이에 대한 구성요소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5단계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수행 및 시설계획 기본방향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공간규모, 시설구성 등 공간조성 실태와 운영실태분석을 바탕으로 안전교육 체험교실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 안전체험교실의 장 단점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참여디자인을 통하여 5가지의 시설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1) 교통안전(보행안전, 차량안전, 지하철안전) 2) 응급처치(응급구조, 신고요령) 3) 재난안전(화재 대피안전, 지진 생활안전) 4) 승강기안전(승강기안전, 에스컬레이터안전) 5) 약물 및 폭력안전(흡연 음주안전, 성폭력안전, 식품안전)에 대한 체험존과 각 영역의 세부 안전체험공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안전체험교실 시설모형(안)은 학교현장의 수용 가능한 공간적 규모에 따라 각 모형을 조합 또는 분리하여 안전체험교실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교육청, 행복을 지키는 안전교육 길라잡이, 2013
  2. 경기도교육청, 재난안전 체험형 안전교육, 2015
  3. 경상남도 교육청, 2015 안전한 유치원 생활을 위한 공.사립 유치원 원감 안전교육 연수, 2015
  4. 권영국,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38권, 제1호, pp. 30-43, 2015 https://doi.org/10.11627/jkise.2014.38.1.30
  5. 교육부, 유지원 교육과정 운영지원을 위한 유아 재난대비.생활안전교육 프로그램, 2012
  6. 국회입법조사처, 학교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성문화사, 2014
  7. 김경희 외, 체험경제 이론을 이용한 축제체험이 즐거움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제14권, 제1호, pp. 103-120, 2015.
  8. 김용기, 체험형 전시공간의 실내환경연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박효정 외, 안전교육 표준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10. 보건교육포럼과 한국과학창의재단, 청소년 창의 체험활동을 위한 안전교육 가이드북, 2014
  11. 중앙공무원교육원, 국민안전 교육과정 개발연구, 2014
  12. 서울특별시 소방방재본부, 안전교육 교수학습 매뉴얼, 2007
  13. 이미나 외,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어린이 체험전시공간의 디자인 기획에 관한 연구-국립과천 과학관 어린이탐구체험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3권, 제1호 pp.185-190, 2011
  14. 이영화 외, 안전체험관 공간구성과 전시매체의 현황조사 및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1권, 제3호, pp. 144-153, 2012
  15. 한호 외, 안전체험 공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체험 내용 및 운영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48호, pp. 32-43, 2014
  16. Downing, G. E.,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Phi Delta Kappan, Vol.21, No.5, pp. 198-200, 1939
  17. McWhirter, J., A Review of Safety Education: Principles for effective practice, Birmingham, 2008
  18.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Evaluating and Creating Fire and Life Safety Materials, 2010
  19. New South Wales Fire Brigades, Primary School Fire Safety Education(Fire ED) Level 1 Program, 2006
  20. Ramsay, J., & Sorrell, E., Problem-based learning: A novel approach to teaching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al courses, In ASSE Professional Development Conference and Exposition, American Society of Safety Engineers, 2006

Cited by

  1. A Fact-finding Survey on Safety Training Class for Improving Safety Education Efficiency : Focused on Safety Training Class in Elementary School vol.21, pp.5, 2017, https://doi.org/10.12813/kieae.2021.21.5.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