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교육모형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34초

마음공부 기반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d Practice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 안관수;백현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399-410
    • /
    • 2011
  •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모형 초기에 팀 구성원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마음공부를 이용함으로써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서 첫째,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마음공부 기반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둘째,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모형 초안에 대한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수정 보완한 후 완성된 형태의 최종모형을 구안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을 J시 J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교육과 2학년 학생 총 46명을 대상으로 5주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모형 초안을 적용한 결과 마음공부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팀 재구성 단계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모형안을 구안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학습 수업모형은 팀 구성 시 팀원들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뿐 만 아니라, 이를 통한 학습 분위기 쇄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ACUM을 활용한 S-OJT 기반의 계약학과 교육체계 개발 :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현 직군을 중심으로 (Developing Educational System based on S-OJT in Contract Based Department using DACUM: Case of Software Development and Materialization Occupational Group)

  • 이찬;최영준;정보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58-65
    • /
    • 2013
  • 본 연구는 목적은 DACUM에 기반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현 직군 계약학과 교육체계를 현장중심적으로 개발하는 데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토대로 계약학과로 개설할 직무의 모형을 설정하고, 교육 필요점 분석 및 적절한 교육방법을 조사하였으며, 핵심 과업별 지식, 기술, 태도를 도출하고 이를 유목화 하여 체계적 현장직무 교육훈련(S-OJT)교과목을 구성하고, 직무 전문가가 설정한 경력 경로에 따라 교과목을 위계화 하였다. 또한, 개발된 교과목을 기존의 교육과정과 연계시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현 직군 계약학과 교육체계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에 적합한 계약학과 교육체계가 개발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체계적 개념 학습을 위한 전문검색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ecific Search Engine for Systematic Concept Learning)

  • 강성국;이영현;강성현;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1-18
    • /
    • 2001
  •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ICT를 수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교육현장의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기반 코스웨어들은 대부분 학습자 중심의 개인교수형이고, WBI의 주축을 이루는 각종 학습이론과 모형은 코스웨어에 치중되었거나 일반적이어서 교육현장에 직접 적용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교과에 맞도록 구성한 전문검색엔진을 통한 학습 모형은 하나의 해결책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 개념 학습 이론을 인터넷 환경하의 학교 수업 환경에 적합한 학습 모형으로 발전시킨 체계적 개념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토대로 교사에게는 교수자료와 교수설계를 지원하고 학습자에게는 효율적인 개념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전문검색시스템 CEhunt (Computer Education Hunter)를 개발하였다. 또한 검증을 통하여 본 모형이 관련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체계적 개념 형성 과정에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밝혔다.

  • PDF

사이버초등학교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Cyber Elementary School)

  • 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85-394
    • /
    • 2004
  •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사회로의 진행은 우리에게 사이버 공간이라는 또 하나의 삶의 공간을 제공해 주었고, 우리 사회에 사이버 공간이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현실에서 초등학교에도 사이버 대학의 연착륙을 경험 삼아 사이버 학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때라 생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 적용 가능한 사이버 초등학교의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별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모형 분류 및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교지원형 사이버초등학교, 학교연합형 사이버초등학교, 독립형 사이버초등학교, 과도기형 사이버초등학교로 나누어 각 모형별로 개념, 주요 교육 대상 및 목적, 운영 체제, 교육과정 및 내용을 연구한 후, 설문을 통해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초등학교에 사이버초등학교가 도입될 경우 과도기형과 학교지원형의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나타났다.

  • PDF

예비간호사를 위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 임상실습 교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ase-based learning and co-teach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model for pre-service nurses)

  • 김현정;형희경;김현우;김세령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245-271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을 적용한 간호 임상실습 교육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간호 임상실습 교육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주시 소재 J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건강 반응과 간호 VI(지각·인지) 실습'과목에 적용하고 모형에 대한 교수자 반응평가를 실시하였고, 학습자 반응평가를 위해 임상 수행 자신감,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행문헌 고찰과 사례 연구를 통해 사례기반학습 단계와 코티칭 요소를 도출한 후 전문가 검토를 받아 초기 모형을 구안하였고, 구안한 모형은 간호교육 전문가에게 내적 타당화를 검토받은 후 수정·보완하였다. 외적 타당화 검증을 위해 임상실습 교과에 모형을 적용한 후 실시한 학습자 반응평가 결과 임상 수행 자신감은 4.22점, 교수학습 모형 만족도는 4.68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면, 사전학습의 중요성과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선정한 사례를 학습하면서 전문용어, 전문지식 등을 습득함으로써 실습 현장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지고 익숙함을 느꼈고, 다양한 사례를 학습하며 실습 현장에서 학습하였던 지식을 정리하는 시간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 코티칭을 통하여 현장지도자와 지도교수가 함께 사례를 통해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을 동시에 교수함으로써 실무와 더 가까워진 실습교육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을 적용한 간호 임상실습 교육모형은 이론과 실무 간의 차이를 줄여주고 간호 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모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모듈 교수-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한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교육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eaching Method Using Application Software based on Module Teaching-Learning Model)

  • 최진호;홍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45-50
    • /
    • 2010
  • 컴퓨터 보급의 일반화와 빠르게 변화하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학생의 정보 활용수준 향상에 부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개선이 크게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재량활동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은 적은 수업 시간 수 등의 이유로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더욱이 초등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과 교재 내용간의 수준 차이로 인해 일부 학생들에게는 효과적인 정보통신기술 교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효과적인 정보통신기술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모듈 교수-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한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연구해보았다.

  • PDF

스마트팩토리 도입사례와 효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Factory Introduction Cases and Sustainable Effect)

  • 손영진;최환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27-136
    • /
    • 2022
  • 대학은 학생들이 전공 관련 직무역량을 갖추고 졸업할 수 있도록 교과 및 비교과에서의 경험 학습을 제공해야 하며, 경험 학습에는 교내에서 수행하는 캡스톤디자인과 산업체에서 수행하는 현장실습 등이 있다. 특히 2021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표준현장실습제도의 시행으로 산업체의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 참여 감소현상은 학생들이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더욱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을 결합한 산업체 참여형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 연계 모형을 제안한다. 참여 학생들은 캡스톤디자인 과정에서 기업애로기술의 해결책을 찾고 현장실습기간 동안 해결책에 대한 시제품제작을 진행한다.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전담 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연계 모형이 경북 Y대 전자공학과 사례의 운영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가 상생하는 산학협력 교육의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웹기반 수업에서 혼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ybrid Level-based Instruction Model in Web-based Classes)

  • 김맹희;박찬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09-120
    • /
    • 2003
  • 오늘날 웹 활용이 본격적인 대중화 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교육방법이 연구, 개발되어 WBI 학습, 웹기반 CAI, 원격강의 등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웹기반 교육이 교실수업에 비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현실성 있고 효율적인 교육의 효과를 얻으려면 학습자의 능력과 관심, 흥미, 적성 등을 고려한 웹기반 수준별 수업 모형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시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진급형 수업모형과 심화 보충형 수업모형을 웹기반 수업을 위해 혼합한 혼합형 수준별 수업모형으로 제시하고 구현한다. 또한, 모형의 비교를 위하여 이를 실업계고등학교의 전산회계 교과에 적용한다. 웹기반 수업을 하기 위해서 인터넷이 가능한 학교 전산실을 이용하며 100분 동안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웹기반 학습을 하도록 한다. 수업 적용을 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웹기반 수업에 대한 효과와 수업모형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후 결과를 제시한다.

  • PDF

커리어 앵커 활용 초등학생 진로교육모형 구안 (The Development of a Career-Anchor Based on Career Education Model for Elementary Schools)

  • 홍광표;박수홍;최창환;강석권;심다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79-202
    • /
    • 2011
  • 본 연구는 커리어 앵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교육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커리어 앵커 관련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초안을 도출하고 그것에 대해 전문가 형성평가를 거쳐 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최종 구안된 모형은 핵심가치, 프로세스, 지원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모형의 프로세스는 '자기 모습 찾기' ${\rightarrow}$ '커리어 앵커에 따른 학습내용 선정하기' ${\rightarrow}$ '커리어별 학습하기' ${\rightarrow}$ '부족한 커리어 극복하기' ${\rightarrow}$ '평가하기'의 순서로 구성되며 각 단계마다 학습자를 위한 활동 내용과 지원요소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진로교육 관련 연구와 달리 커리어 앵커를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교육이 가능하며, 학교 현장에서 즉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요소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이 손쉽게, 체계적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학습장애아를 위한 중재-반응모형 기반 모바일시스템 설계 (Design of a Mobile System Based on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Model for Learning Disorder Student)

  • 김철호;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41-248
    • /
    • 2009
  • 학생들의 기초 기본학습 능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교육상황에 비추어 볼 때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학습장애에 대한 재인식과 학습장애아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 대책으로 최근 특수교육분야에서 기존의 지능-불일치 교육이론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중재-반응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 RTI)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장애아들에 대한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우리의 교육에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걸림돌들이 존재하고 있다. 실제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RTI 이론 적용의 걸림돌로 제기하는 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바일 시스템설계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의 RTI 이론 적용 및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첫째, 실제 국내의 교육현장에서 기존 교사들이 제시한 RTI 이론 적용가능성이 낮은 항목들을 중점으로, 이론 적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시스템의 구성을 기존의 행정중심이 아닌 실제 수행자 중심 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학교행정가를 제외한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학습장애 학생으로 설계하였다. 셋째,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학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및 진전도 체크 등을 모바일 기기의 편이성과 결합하여 학습장애아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