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상학적

검색결과 3,589건 처리시간 0.034초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 이범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1권
    • /
    • pp.250-273
    • /
    • 2015
  •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은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해서 설명하는 학문이다. 의식과 경험의 결합,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결합, 표현과 지각의 결합, 개인과 생활세계의 결합, 수사와 윤리의 결합 등과 같은 인간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인은 연구 대상이고, 현상학은 인식론(방법론)인 것이다. 이러한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현상학적으로 개념 규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현상학적 기술, 현상학적 환원, 현상학적 해석 등을 통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제시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표준 이론 구성 요소들이 지향, 구두점 찍기, 관행, 합당화 등인데, 지향은 의식 경험의 대상으로서, 구두점 찍기는 상징 형성 과정으로서, 관행은 이상적 말 행위로서, 합당화는 사회적 합당화로서 구분된 커뮤니케이션을 각각 그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대상 및 방법론 논의를 포괄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은 '철학 및 언어학 개념으로 구성된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도 볼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학에의 질적 방법 적용 연구 접근이자 학제 간 연구의 한 모델로서도 평가된다.

  • PDF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현상학적 접근 - (A Study on the Landscape 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 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1
    • /
    • 1988
  • 경관평가에 있어서 현상학적 접근은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기존의 과학적 방법들과 대비되는 새로운 차원의 접근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과학적 접근이 정량적, 환원주의적, 폐쇄적, 실험적인 특성을 지녔다고 한다면 현상학적 접근은 정성적, 총체적, 개방적, 체험적 특성을 지녔다고 말할 수 있다. 현상학적 접근에서는 개인의 선호도, 느낌을 경관평가의 주요 기준으로 삼고 있으나, 일정 집단의 평균적 반응보다는 개개인의 다양한 반응, 느낌, 의미 등을 더욱 중요시 여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학적 방법은 기존의 계량적 혹은 과학적 방법이 지닌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즉 계량적 혹은 과학적 방법에서는 평가대상이 되는 현상을 단순화시킴으로 해서 실제 현상그대로 보지를 못하기 쉬운데 비하여, 현상학적 접근에서는 실제 그대로의 현상을 보려고 시도하며 현상의 본질을 캐내려고 노력한다. 현상학적 접근은 총체적이며 정성적인 입장을 가짐으로해서 실용적인 경관평가 기법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개념과 신뢰성, 타당성 등의 과학적 형식기준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경관평가에서 현상학적 접근의 대두는 기존의 체계적, 계량적 방법의 타당성(content validity)을 재점검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고 있다.

  • PDF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The Limits and Problems of 'Pedagogical Phenomenology' for Qualitative Research)

  • 배상식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83-109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의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나타나는 연구자들의 한계와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교육학적 현상학' 은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이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교육의 문제를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그 문제 현상(사태) 자체에서 해명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내 질적 연구자들에 의해 순수현상학(철학적 현상학)이 이러한 응용현상학(교육학적 현상학) 분야에 활용되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질적 연구의 논리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학에 대한 연구자의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든가 아니면 지오르기(A. Giorgi)나 반 매넌(M. van Manen) 등 외국학자들의 연구절차나 기법들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연구자는 연구논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단순히 고정된 연구절차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대상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연구자 자신의 삶과 결부시켜 그것의 본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온라인게임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Logic and Method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or Online Games)

  • 김기석;심선애;정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21-329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게임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을 통해 게임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게임이용자들의 특성, 중독, 문화, 성격, 특징, 유형 등 다양한 연구를 하게 되는 많은 연구자에게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현상학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을 통해 게임문화를 연구하는 방법을 조명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게이머의 경험과 인간 현실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삶의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게임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게임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연구방법에 관심 있는 많은 연구자가 더욱 흥미롭고 끈기 있는 현상학적 연구가 이어가길 바란다.

현상학적, 생태학적 비판에 기초한 영상기억의 타당성 (Validating Iconic Memory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and Ecological Criticisms)

  • 현주석
    • 인지과학
    • /
    • 제30권4호
    • /
    • pp.239-268
    • /
    • 2019
  • 영상기억은 시각기억 처리 과정의 최초 저장 기제로서 오랫동안 이론적인 타당성을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관심이 대폭 증가한 시각단기기억과 시각장기기억에 비해 영상기억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심의 부족은 영상기억 및 시각지속 현상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이해의 결여가 그 원인인 것으로 짐작된다. 본 연구는 영상기억 및 시각지속 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경험적 연구 사례를 개관해 영상기억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더 나아가 영상기억의 타당성에 대한 현상학적, 생태학적 비판들의 핵심 내용들을 토대로 향후 영상기억 연구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상학적 관점을 반영한 학교수학의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from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83-408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교육 연구를 위한 다양한 관점의 제공에 기여할 수 있는 현상학(phenomenology)을 수학교육의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현상학이란 현상과 경험에 대한 연구이며, 현상학적 연구는 무엇인가를 경험한 개인한테서 그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학이 수학교육 연구의 한 가지 새로운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어떤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학교육과 질적 연구방법의 동향,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 현상학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 그리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과 절차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으로는 현상학은 수학교육이 "체험"에 초점을 두게 하고, 수학교육에서 생활세계의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그리고 수학교육의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본질과 경험의 의미를 파악 가능하게 해 준다.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현대 건축 공간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 정효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1-101
    • /
    • 2013
  • 불확실성의 시대에 현대건축은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표현 양상과 전개 및 방법론에 있어 과거에 비해 훨씬 자유로워지면서 건축의 표현 양상에도 많은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현상학이 대두되면서 건축공간에 현상학적 표현의 방법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건축의 형태에서 벗어나 본질적이며 인간과 상호 소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탐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적 형태(Figure)와 공간(Space)을 지각하고 인식하게 되는 방법으로써의 현상학적 이해를 통해 기존의 물적 구조체로서의 건축에 대한 이해를 현상을 품은 콘텐츠의 주체로써 이해하여 다각적인 공간 디자인의 방법을 모색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건축의 표현양식에 있어서 현상적적 접근은 빛을 건축공간에 접목하여 발표한 건축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숭고의 현상학과 현상학적 예술론: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의 비교를 중심으로 (Phänomenologie des Erhabenen und Phänomenologische Theorie der Kunst)

  • 박인철
    • 철학연구
    • /
    • 제85호
    • /
    • pp.161-198
    • /
    • 2009
  • 전통적으로 숭고는 격정적인 체험을 통한 자아의 자기고양이라는 의미에서 주로 주관적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숭고가 지니는 세계연관성의 측면은 간과되고 만다. 이런 의미에서 주관과 객관의 연관성 하에서 양자의 중간영역을 탐구의 출발점으로 삼는 현상학은 전통철학에서 간과된 숭고성의 의미를 온전히 드러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간주된다. 현상학은 세계의 현상을 주관적인 체험과 연관지어 설명하되 세계가 수동적으로 주어지는(현출하는) 순간에 초점을 맞춘다. 현상학적으로 보았을 때 숭고는 이러한 세계의 드러남의 사건 속에서 일어나는 수동적 체험이다. 그러므로 숭고는 현상학적으로 유의미한 방법적 토대(현상학적인 에포케로서)임과 동시에 현상학적인 해명이 필요한 하나의 현상이다. 하이데거에서는 이러한 숭고성이 불안을 통한 근본기분 속에서 표출이 된다. 메를로-퐁티에서는 보다 깊은 차원에서 몸과 살의 원초적 존재영역 속에서 숭고의 계기가 포착이 된다. 양자 모두에게 숭고는 세계의 숨겨진 존재 의미를 드러내주는 계기로서 숭고는 현상학적인 진리의 기반으로 작용한다. 숭고의 현상은 그러나 비합리적인 수동적 체험으로서 이를 적절하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사고가 아닌 예술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 숭고의 현상학은 이런 의미에서 곧 현상학적 예술론을 함축한다.

분자 면역 컴퓨팅에 의한 숫자 인식 (Digit Recognition by Molecular Immunocomputing)

  • 김수동;신기루;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274-276
    • /
    • 2003
  • 신경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기억현상의 분자생물학적, 세포생물학적 메커니즘이 밝혀지고 있으며, 신경계의 특징을 계산학적 측면으로 응용한 신경망 분야는 상당한 연구성과가 축적되어 하나의 학문 분야로까지 자리매김하고 있다. 면역학이 발전함에 따라 연역현상의 분자생물학적, 세포생물학적 메커니즘이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연역기억현상의 산물인 항체를 이용한 설러 가지 생물학적 실험 방법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한편, 연역 현상의 특징을 계산학적 측면으로 응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근래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항원과 항체 분자를 이용한 면역생물학적 실험 방범을 적용하여 문자, 인식 문제를 해결하는 분자 면역 컴퓨팅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 개념을 도입하여 숫자를 인식하는 문제에 적용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음성학적 특징을 이용한 연속 숫자음인식 (Connected Digit Recognition Using Phonetical Features)

  • 김민정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 /
    • pp.72-7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숫자음 인식시스템의 인식률 향상을 위한 연구로서 4연속 숫자음을 대상으로 연음 현상 및 경음화 현상등과 같은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숫자음에 강건한 모델을 작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인식실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음성자료로서는 국어공학센터(KLE)에서 채록한 4연속 숫자음을 사용하며 인식의 기본단위로서 음향학적 특징을 고려한 19개의 연속분포 HMM을 유사음소 단위(Phoneme Like Units ; PLUS) 로 사용한다. 또한 , 인식실험에 있어서는 기존의 방법으로 모델을 작성한 경우와 연음 현상과 경음화 현상 등과 같은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모델을 작성한 경우에 대해서 유한상태 오토마타(finite State Automata ; FSA)에 의한 구문제어를 통한 OPDP(One Pass Dynamic Programming)법으로 인식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이 방법의 경우 64.6%,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경우 68.6%의 인식률을 보여,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경우가 4.0% 향상된 인식률을 얻어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