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대화초등학교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농어촌지역 초등학교 유휴교실의 전용특성 분석 - 전남지역 농어촌 현대화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bout Diversion of Surplus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 - Concentrated on the Modernized Elementary Model School in Chonnam Area -)

  • 정주성
    • 교육시설
    • /
    • 제15권6호
    • /
    • pp.30-38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nt situation about occurrence of surplus classrooms by the merger and abolition of rural elementary schools, and to deduce basic architectural data for efficient utilization. It was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using pattern and interview of teachers of modernized elementary model schools. The occurrence ratio of surplus classrooms was about 30 to 60 percentages among seven investigated schools, the ratio was gradually increasing. Most of them were nearly leaving without certain practical use because of inaccessibility and low degree of diversion. The characteristic about diversion of surplus classroom was shown to change from special or learning room to living-related room and management-related room in order, finally, it was used a room for child care with a lapse of time. Long-tenn and continuous data accumulation for diversion and utilization of surplus classroom should be required.

부산시 현대화초등학교의 공간구성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at Modernized Elementary School in Busan)

  • 유길준;하성태
    • 교육시설
    • /
    • 제13권2호
    • /
    • pp.50-60
    • /
    • 2006
  • In search of the improvement plan for elementary schools which aims at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new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spatial configuration regarding the modernized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of expansion in the building area reveals that the building area per classroom has been increased from $200m^2$ in 1995 to $350m^2$ in 2005 based on the data gathered from the constructed schools during that period. 2) While the ratio of classrooms per the gross school area has been decreased from 35% in the late 1990s to 20% in the 2000s, the entire school size continue to become larger, which is considered as desirable change. 3) New construction and addition of special classrooms and multi-purpose spaces have continued to be increased. Multi-purpose spaces were positively considered in the early 2000s, but recently built schools tend to limit th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spaces only to lower grades' space or not to obtain them owing to the analysis that its utilization is limited. 4) Most schools constructed after 1999 are equipped with dining hall and multi-purpose halls, and show the increase in their sizes. Especially, dining hall tend to be located on the upper floors for better environmental conditions.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 분석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학교와 미완료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nam Area by School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Comparis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Utilities in Schools-)

  • 전영;김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447-1456
    • /
    • 2014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 중 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급식환경 개선 및 향후 진행될 급식시설 현대화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12년 7월 23일~8월 31일까지 총 39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9부(회수율 73.9%)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이 부적절한 14부를 제외하고 총 275부(분석율 70.3%)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소 운영 특성 현황으로 학교형태가 초등학교 51.6%였으며, 공립이 77.8%였다. 급식유형으로 도시형이 54.9%였으며, 조리종사자수는 평균 6.27명이 근무하였고 1일 급식횟수는 1식이 84.7%로 2 3식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급식실시기간은 11~15년 3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인 경남지역 학교 275곳 중 32.7%인 90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67.3%인 185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 총 185곳 중 향후 현대화 계획이 있는 곳은 24.9%인 46곳뿐이었다. 셋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보유 실태 차이의 분석 결과,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학교에서는 검수실(P<0.01), 전처리실(P<0.001), 식기세척실(P<0.001), 소모품보관실(P<0.001), 조리원전용화장실(P<0.05), 경의실(P<0.01), 샤워실(P<0.001), 세탁실(P<0.001), 보일러실(P<0.05), 배식운반차 보관실(P<0.05)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에서는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면적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1.71)와 미완료된 학교(1.60)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전처리실(P<0.001), 식품보관실(P<0.05), 소모품보관실(P<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5), 샤워실(P<0.01)의 면적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보다 높았다. 다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전체 평균값이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32)보다 미완료 학교(2.62)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여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 설비 실태 차이에서는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77)보다 미완료된 학교(3.30)에서 낮게 나타났다(P<0.001).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바닥(P<0.05), 출입구(P<0.001), 배수(P<0.001), 수도(P<0.01), 조명(P<0.001), 수세시설(P<0.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01), 화장실 샤워실(P<0.001), 전처리실(P<0.001)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의 인지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급식소의 외부고객인 학생, 교직원의 만족도 향상과 내부 고객인 급식종사원과 영양(교)사의 바람직한 직무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경남지역에서 학교급식시설의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학교를 대상으로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조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현대화 사업을 실시할 경우 급식 위생 관리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부대시설의 설치 시 급식인원수, 작업량과 작업자 인원수에 맞도록 시설별로 적정 수준의 면적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경남지역 학교급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설비 및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대화 초등학교 공간의 유형에 따른 시설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Space Propriety of the Modernized Elementary School's facilities)

  • 이은창;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9-152
    • /
    • 2001
  • Goal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various types of facility disposition which is brought out in the facility space plan of the modernized elementary school which has been founded and conducted by Seoul city, and most of all, to grasp the space propriety through understanding the peculiarity of the plan by the space analysis form. To proceed this study, I will divide it to three steps; 1. First step : Research into the space alternation of an (Korean) elementary school which has been gotten changed by the alternation of an elementary school. 2. Second step : Research into the efficient studying-space of a modernized elementary school by contemplating analysis of cases which comes from the literature research, collecting related data, and making an on-the-spot surve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