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환경

Search Result 1,93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사회혁신 생태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 Gang, Min-J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27-131
    • /
    • 2017
  • 본 논문은 EU의 TEPSIE 연구에서 정의한 사회혁신 생태계를 분석틀로 활용하여 한국 사회혁신 생태계의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EPSIE가 정의한 사회혁신 생태계는 전사회적인 차원에서 '사회혁신'의 요소들을 담아냄으로써, 사회적 경제와 연관하여 사회적 기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다소 협소할 수 있었던 시각을 확장하여 구조적 환경과, 자원, 파트너쉽 등을 포괄하는 분석틀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혁신기업을 둘러싼 구조적 조건, 수요와 공급 차원에서의 관련 요소들, 그리고 중간지원조직을 중심으로 핵심적인 내용을 분석적으로 담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혁신 생태계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An evidence from firms manufacturing and exporting goods (기업의 환경관리 활동, 조직능력 및 성과 간 관계: 제조수출기업을 중심으로)

  • Song, Woo-Yong;Soog, Bong-Suk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3 no.4
    • /
    • pp.411-433
    • /
    • 2011
  •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s of firms' regulatory compliance and voluntary innovation activitie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on the development of their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the enhancement of their performance, within the Korean context. The study invokes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voluntary innovation activity in response to market pressures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irm-specific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the enhancement of firms' performance, but regulatory compliance activity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either organizational capability or performance. This capability was also seen to have implications for firm's performance. This article also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esearch.

  • PDF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 Lee, Yong-Hwan;Koo, Joong-Phil;Kim, Kwan-Young;Park, Joung-La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8 no.4
    • /
    • pp.33-43
    • /
    • 2019
  •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oncept of school space innovation to aim at the importance of user education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or consumer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ve curriculum and various school-governm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ggest the ways to link school space innovation to the best possible reflection for demander-centered or the demander needs To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the autonomous educ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were reviewed, and the literature survey o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nd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goals and basic value-added awareness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wa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basic values of education, the functions of school education, the direc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space spatial composition, and school space.

An Analysis of Keywords on 'School Space Innovation' Policies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News Articles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 공간 혁신' 정책 키워드 분석 -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 Lee, Dongkuk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2
    • /
    • pp.11-20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and related issues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issued by key Korean mass media using text mining.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collected 519 news articles associated with the school space innovation issued by 54 Korean mass media companies. Based on this data, this study perform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regarding the keywords. Based on th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pace innov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hool space innovation has progressed in response to future education. Second, user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school space innovation. Third, experts are supporting the innovation of school space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urth, the community is actively considering the innovation of school space. Fifth, the main pro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actively conducted in a mix of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 clear direction for contemporary school space innov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genda and implementation.

A Study on the Creation of Campus Innovation Park in Local University (지방대학의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에 관한 연구)

  • Lim, Sang-h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6 no.2
    • /
    • pp.11-20
    • /
    • 2021
  • In line with the era of local universities, a total of 402 people, including companies, private businesses, individuals (founders), and companies listed in the 2021 campus innovation park, were surveyed for six days from 02/15/2021 to 02/21.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future-oriented (47%)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campus innovation park consumer-centered methods (p<.05), the standardization factor 𝛽 is future-oriented (𝛽=.479), Environmental Analysis and Policy (𝛽=.047),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greater future-oriented influence on innovative park consumers than environmental analysis and poli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needs of consumers and businesses related to the campus innovation park construction project of S University in the province and suggesting ways to establish an efficient innovation park.

Antecede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Its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 Case of Korean IT SMEs (기술혁신지향성의 선행요인과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IT 중소기업 사례)

  • Moon, Chang-Ho;Kim, Si-Yeo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4 no.1
    • /
    • pp.49-84
    • /
    • 2016
  •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which denotes the firm's general direction of thought toward steadily pursuing and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long run for its viability and competitiveness, is on the rise. Althoug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has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firm's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o date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role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for the firm's successful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Recognizing such deficiency in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this study selected internal and external critical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proposed and empirically examin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demonstrating the contingency relationships among the antecedent factors,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selected antecede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included two internal factors of CEO's technical-function experience and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two external factor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intensity of competition, and eventu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se antecedent factors affected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via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model suggested that the two environmental factor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intensity of competition had a positive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alysis of data on sample of 86 Korean IT SMEs showed that CEO's technical-function experience,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environmental uncertainty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정부지원 R&D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사례 비교연구

  • Lee, Jeong-Dong;Hwang, Jeong-Ha;Park, Chan-Su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158-175
    • /
    • 2005
  • 정부지원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는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정부투자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동시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부 R&B 프로그램의 성과평가에 대한 체계를 비교분석함으로서 올바른 성과평가의 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각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기에 앞서 성과평가와 관련한 일반적인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R&D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가 갖추어야 할 이론적인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R&D 프로그램의 성과평가를 위해서는 R&D 활동 자체가 혁신시스템 안에서 수행되고, 집행과정에서 그 효과가 증폭되어 혁신시스템을 변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책평가 이론 외에도 혁신시스템 이론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혁신시스템적 사고방식하에서 올바른 성과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평가기준으로 서 제시되는 적합성, 효율성, 효과성의 각각에 대해 혁신시스템적 기여도에 대한 고려가 충실히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혁신시스템의 모든 요소들을 포함하는지, 환경적인요인을 고려했는지, 혁신 요소들 간에 형성된 네트워크에 대해 충분한 고찰을 하고 있는지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실증연구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모두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맞춰 각 국가 별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해외와 국내의 주요 R&D 프로그램으로 비교적 성과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사례들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평가에 대한 평가, 즉 메타평가를 통해 각 프로그램의 성과평가가 가지는 특성을 밝히고 이들을 비교하여 적절한시사점 이 도출하였다. 이들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혁신시스템을 고려한 성과평가의 일반적인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추후에 진행될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에서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일반 모형을 응용함으로써 조금 더 체계화된 성과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결과 관점간 가중치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현행 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검증결과 관점간 가중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에서 연구회별 관점의 가중치와 소속 연구기관별 관점의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연구회의 가중치와달리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기관평가제도는 일부 연구기관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서 유효한 평가제도로 볼 수 없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지표에 대한 각 지표별 가중치와 지표 문항 개선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본다.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능을 충진시켜서 암세포를 파괴시킨다. 또한 콜로니 자극인자인 사이토카인을 생산시켜서 면역담당세포의 신생을 촉진시키기도 하며, 암의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으로 저하된 백혈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최근의

  • PDF

IS 인적자원 혁신의 영향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 김승윤;고영호;남기찬;이재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6-329
    • /
    • 2001
  • 정보기술의 발전은 기업이 혁신적으로 비용을 감축하거나, 고객에게 전혀 다른 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과거에 갖지 못했던 새로운 능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에게 요구되는 정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 IS)의 새로운 능력들이 성공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 IS 자체의 혁신이 선행적으로 요구된다. 최근에 이러한 IS 혁신 및 IS를 통한 경쟁적 우위의 확보를 위해서 IS 인적자원 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IS 인적자원 혁신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어 IS 인적자원 혁신을 위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혁신, IS 혁신, 인적자원 혁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IS 인적자원 혁신의 영향 요인을 환경적 요인, 전략적 요인, 조직적 요인, 개인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IS 인적자원 혁신의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영향 요인들이 IS 인적자원 혁신과정에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나타낸다.

  • PDF

한국 해군의 군사혁신 추진과제

  • Kim, Mu-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239
    • /
    • pp.66-75
    • /
    • 1999
  • 주변국들의 군사혁신 추세는 현존하는 북한의 위협과 함께 한반도 주변의 안보환경을 매우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우리는 주변강국의 군사혁신 추세를 대칭적으로 따라잡기는 어려우므로, 작지만 정보화, 과학화, 정예화된 당찬 군사력을 확보하고자 우리의 현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정보통신 및 전장관리체제, 해상.해중.항공전력별 무기체계 발전, 부대구조의 재편성 및 전력운영개념의 발전분야를 중심으로 지혜로운 군사혁신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