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어 트렌드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메타버스 저작 가이드라인 제공을 위한 한국인 헤어스타일 트렌드와 3D헤어 모델링 (Korean Hair Style Trends and 3D Hair Modeling for Metaverse Content Creation Guidelines)

  • 이채림;진성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01-508
    • /
    • 2023
  •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남성과 여성의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헤어이미지를 활용하여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3D 헤어 모델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헤어스타일 분류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큰 특징을 기준으로 하여 14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였다. 남성 6가지 스타일과 여성 8가지 스타일로 분류하였으며 헤어이미지에 가장 적합한 헤어스타일을 매칭하여 메타버스 저작환경에서 헤어 제작을 위해 필요한 헤어모델을 추천하는데 사용하도록 하였다. 메타버스와 같은 플랫폼에서 원격지에서 접속한 사용자의 헤어를 촬영하거나 이미 획득한 헤어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3D 헤어 모델을 매칭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유사한 3D 헤어 모델을 제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계절(季節)에 따른 헤어컬러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2003 $\sim$ 6년 여성잡지(女性雜誌)에 나타난 헤어컬러 트렌드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Seasonal Changes of Hair Color - Centered on 2003 $\sim$ 6' hair color trends published on women's magazines -)

  • 안현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1호
    • /
    • pp.1-14
    • /
    • 2007
  • This study was aimed at giving help to the people intending to change their own hair color design and also providing the guide line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hair color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statistically analyzing seasonal changes of hair colors puplished on women's magazines(Vogue Korea, Estetica Korea, Woman Chosun, Ce.ci) from 2003 to 2006. The researching methods were as follows; (1) hair colors published on women's magazines from september 2003 to August 2006 were measured by N.C.S. color reader(4 magazines $\times$10 main hair colors/magazine $\times$ 12 months $\times$ 3 years = 1,440 colors). (2) N.C.S. tone is made of percentage, so measured values and chroma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seasonal deferenc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and specified on high significant values. But hues were not made of percentage, so thes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cross tabulation analysis, $x^2$ -test and specified on high significant values. These all had been analyzed by SPSS program(ver. 1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sually seasonal changes of hair values were significant, specially in foreign licensed magazines, and bright values appeared in S/S and dark values in F/W. (2) Seasonal changes of hair hues were significant only on foreign women's magazines. Therefore seasonal changes of korean hair colors were not significant compared by foreign hair colors because of hardness of color changes of dark black hair and hair damages by hair tints and bleaches and trends of well being and hair care. But hair color changes have been developed gradually and will developed furthermore. So korean hair cosmetic circles have to present hair color trends deferenciated by seasons. And S/S hair values have to be brignt and F/W have to be dark. And new seasonal hair hues matched by korean have to be developed and presented.

2008~2009 F/W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Make-up Trends in 2008~2009 F/W Fashion Collections)

  • 김미현;이유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51-159
    • /
    • 2008
  • 오늘날 사회의 제반현상들은 각 분야별로 각각의 트렌드가 있으나 복식의 변화와 관련된 패션 트렌드가 모든 트렌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다. 패션 컬렉션은 패션 트렌드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경향과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은 세계 4대 컬렉션으로 불리며 최신 유행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를 가장 빠르게 전해주는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은 의상과 더불어 메이크업과 헤어, 액세서리 등의 전반적인 요소들을 보여준다. 패션 컬렉션에서 연출되는 메이크업은 디자인이나 색채뿐만 아닌 발상 자체에서부터 다양한 이미지가 시도되는 자리로 이를 중심으로 매 시즌의 새로운 메이크업 트렌드가 완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8${\sim}$2009 F/W 패션 컬렉션의 메이크업 경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메이크업 경향이 각 화장품 브랜드의 새로운 트렌드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 여성들의 헤어커트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Haircut Preference of Korean Women in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손광현;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11-316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여성들의 헤어 트랜드 정립화에 기여하고자 연령, 학력, 결혼 여부, 직업군, 월평균 소득, 거주지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요인들에 따른 헤어커트의 선호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배포 후 수합된 305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그레쥬에이션 형태를 많이 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각각 상이(相異)하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성 헤어커트의 형태와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 여성들의 세련되고 혁신적인 헤어 트랜드 정립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여성 본인에게 부합되는 가장 이상적인 헤어스타일을 찾을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하고 창조적인 뉴 모드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개발의 시발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헤어미용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여성의 개성을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로 적극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헤어패션감각(感覺)에 따른 헤어컬러에 관(關)한 연구(硏究) - 수도권(首都圈) 20대(代) 여성(女性)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Hair Colour Accompanied with Hair Fashion Feeling - Focussed on the Capital Area Women in Their Twenties -)

  • 안현경;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99-116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at giving help to the people intending to change their hair fashion feeling for changing their own hair colour design and also providing the guide line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hair colour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statistically analyzing hair colours and the other factors(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ir styling, total fashion feeling, hair style) of capital area women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on tatal fasion feeling & hair fashion feeling, and hair trend. The researching methods were composed of prior theoretical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The prior theoretical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analysis of literatures, magazines and internet sites about total & hair fashion feelings and hair trend.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3 questions in 5 categories. The survey of the questionnaire had been conducted from June 15 to June 28 in 2005 on the 600 women in the capital area, investigated by a group of experts on cosmetics or clothing from academic or business society. The analysis of materials from the survey was done by SPSS program(ver. 12.0) using frequency analysis, $x^2$-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specified on high significant valu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x^2$-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ir fashion feeling groups, especially hair colours in the order of percentage. This study would be very helpful to the people trying to change their own hair fashion feeling and be useful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hair colour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comprehending hair colour market and also be valuable to develop the analysis methodology of hair colour and hair fashion trend.

미용학(美容學) 관점의 시누아즈리(chinoiserie) 서양화 속 여성 헤어디자인에 대한 요인분석 (In the Western painting of Chinoiserie from the perspective of cosmetology Factor analysis for female hair design)

  • 고희자;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9-144
    • /
    • 2021
  •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행위는 가장 자연스러운 욕구이자 본능이기 때문에 외모의 중요성과 함께 인간의 외모 관리에 대한 미용학적 관심이 날로 증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미용 트렌드(beauty trend)의 요구가 현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이에 미용학(美容學)과 연관이 깊은 미술(美術)에서 근원을 도출하고자 18세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 유행한 '시누아즈리' 풍의 서양화 속에 등장하는 여성 헤어디자인의 형태(形態), 질감(質感), 색상(色相) 등에 대하여 그림을 통해 면밀한 연구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서양화 속 등장하는 여성의 헤어디자인에는 각각의 개성 있는 형태, 질감, 색상의 특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촌각(寸刻)을 다투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뉴 모드(new mode)의 헤어스타일 개발의 초석(楚石) 구축과 함께 다양한 미용 콘텐츠(contents) 개발을 위한 시금석(試金石)으로 작용하고자 한다.

현대(現代) 헤어 디자인 트렌드에 나타난 유행(流行) 혁신(革新) 이미지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ashion Innovative Image in Contemporary Hair Design Trend)

  • 김경인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4호
    • /
    • pp.18-28
    • /
    • 2007
  • Resent Fashion trends are changing very rapidly.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se trends, Fashion should be regarded not as object but as a social phenomenon.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contemporary hair design trend and fashion innovative Image were defined, and the literatures regarding the relation of these two attributes were studied. To study allegory images in the hair design trend, we would like to analyse the relevance between the fashion innovativeness and cultural trend. The method used here are mostly visual data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creative development of hair design and rediscovery of fashion meaning.

대학생들의 외모관리관심도 및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 (The appearance management interest of University Student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verged with Beauty trend)

  • 오정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05-315
    • /
    • 2018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다양한 형태의 외모관리행동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G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4월15일부터 30일까지 15일 동안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 267명의 자료를 SPSS 18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외모관리 관심도는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를 제외한 체형관리, 피부관리, 헤어관리, 화장품사용관리에는 남, 여 대학생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화장품사용관리 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은 트렌드와 융합된 패션스타일 화장스타일 피부관리 체형관리 행동요인들의 경우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트렌드와 융합된 운동건강기구 사용 요인에는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생들의 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뷰티산업체의 신상품개발연구 등에 참고자료 활용을 기대하고, 추후 새로운 융합형태의 외모관리행동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모던걸 헤어스타일의 구성요소와 사회적 여성성과의 상관성 연구 - 미용학 전공 여대생 관점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Modern Girl Hair Style and Social Feminine Performance)

  • 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45-350
    • /
    • 2020
  •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타인과 경쟁 시 우위를 점하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사회생활에서 간과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정보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현대사회는 당당하고 독립적인 인생 설계를 위한 진취적 자조론(自助論)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역량을 겸비한 여성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1920, 30년대 봉건적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독립적이며 자주성을 표출한 모던걸이 구사하던 헤어스타일의 앞머리 커트, 아웃라인 표출, 층 단차, 질감 변화 등 구성요소들과 사회적 여성성(女性性)과의 상관성을 미용학 전공 여대생들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현대 여성의 자립과 사회적 역할을 견고히 확립할 수 있는 참신하고 혁신적인 헤어 트렌드의 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현대사회 여성리더의 사고(事故)와 심리에 대한 표준화를 도출하며, 창조적인 미(美)의 발현을 통해 개인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는 사회 주체로서 자주적 여성성의 정립을 위한 초석(礎石)을 다질 것으로 사료된다.

일제 강점기 여성 단발의 헤어디자인 조형적 요소 분석 (Analysis of hair design formative factors in the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79-484
    • /
    • 2018
  • 일제 강점기 여성들 one length hair style의 변천사 및 형태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선행논문과 저서를 바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등 헤어디자인의 구성 요소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one length hair style 커트가 가능해지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1910년-192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커트 길이의 단차가 전혀 없는 out line을 지닌 형태, 자연 그대로의 모발 질감, 자연 모발 색상을 보였다. 193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약간의 커트 길이의 단차를 보이면서 다이아몬드 형태, 자연스런 질감의 narrow wave, 과산화수소나 oxygenated water을 이용한 약간의 탈색이 이뤄졌다. 194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형태, 질감, 색상 면에서 화려한 미(美)를 추구하려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one length hair style에 관한 심층적이고 세분화 된 후속 연구가 가능해지며, 헤어미용 교육의 기초 자료 및 뉴 모드의 트렌드 개발을 위한 초석으로 작용하리라 사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