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어 디자인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미용학(美容學) 관점의 시누아즈리(chinoiserie) 서양화 속 여성 헤어디자인에 대한 요인분석 (In the Western painting of Chinoiserie from the perspective of cosmetology Factor analysis for female hair design)

  • 고희자;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9-144
    • /
    • 2021
  •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행위는 가장 자연스러운 욕구이자 본능이기 때문에 외모의 중요성과 함께 인간의 외모 관리에 대한 미용학적 관심이 날로 증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미용 트렌드(beauty trend)의 요구가 현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이에 미용학(美容學)과 연관이 깊은 미술(美術)에서 근원을 도출하고자 18세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 유행한 '시누아즈리' 풍의 서양화 속에 등장하는 여성 헤어디자인의 형태(形態), 질감(質感), 색상(色相) 등에 대하여 그림을 통해 면밀한 연구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서양화 속 등장하는 여성의 헤어디자인에는 각각의 개성 있는 형태, 질감, 색상의 특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촌각(寸刻)을 다투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뉴 모드(new mode)의 헤어스타일 개발의 초석(楚石) 구축과 함께 다양한 미용 콘텐츠(contents) 개발을 위한 시금석(試金石)으로 작용하고자 한다.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의 양상 (Minimalism in Modern Hairstyle and Fashion)

  • 손향미;박길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54-1561
    • /
    • 2005
  • 본 연구는 과거의 것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재창조되어지는 경향이 짙은 현대 패션 경향 중 1960년대 미술의 중요 쟁점으로 떠오르는 미니멀리즘의 개념과 특성을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의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오늘날 다양하고 개성화 된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먼저 미니멀리즘에 관한 국내외 저서, 논문 등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분석틀을 제시한 후, 세부적으로 인터넷 즉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틀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에 표현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의상에 있어서 장식의 배제와 계절에 상관없이 형태의 최소화로 나타났으며, 헤어스타일에 있어서 모발의 은폐로 물체성 즉 인체 본성으로의 환원을 강조하였다 둘째, 단일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조각영역에 회화의 특징을 도입하여 조각영역의 확장을 가져오듯이 의상에 있어서 모노크롬한 색상의 의상을 사용함으로써 세련미을 표현하였고,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도 의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머리염색을 사용하였다. 셋째, 반복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의상에 있어서 내부적 외부적 패턴의 반복으로 나타났으며,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도 염색기법을 활용한 모발 내 패턴의 반복과 외부적 첨가를 통한 모발 외 패턴의 반복이 나타났다. 넷째, 공간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의상에 있어서 신소재 개발에 따른 다앙한 소재를 차용하였고,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는 철망, 유리 등의 공업용 소재를 사용해 두상과 장식과의 사이의 공간을 형성해서 관람자로 하여금 더욱 디자인에 몰입하도록 하는 적극적이고 활동적 참여를 유도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처림 미술양식의 하나인 미니멀리즘은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 디자인에 새로움을 더해주는 중요한 요소로 독특한 아이디어 발상으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과거의 미술양식의 재등장은 단순히 한 시기의 패션 트랜드의 제시에 만 그치는 것이 아닌 앞으로 다가올 우리의 미래에 대한 전망도 함께 내포한다고 볼 수 있겠다.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 - 성취도 분석을통한 NCS 교육 개선 방안 (A Plan to Improve Hair Beauty NCS Education through Importance - Performance of Hair Beauty Field by NCS Ability Unit)

  • 최은화;이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73-784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교육 효과성의 확인과 향후 개선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그들이 평가하는 신입디자이너들의 성취도를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중요도-성취도 간의 차이와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결과 헤어미용분야의 NCS교육은 기존 41개 능력단위 중 중점 개선 항목 6개, 유지 강화 항목 21개, 장기개선 항목 14개, 개선 고려 항목 1개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창의성의 부족, 최신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부족 등이 나타나 NCS 교육현장에서 헤어디자이너로서의 창의적 능력개발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헤어디자인요소의 변화에 따른 헤어스타일이미지 (Hair Style Image by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 이효숙;박숙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782-179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hair style image about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tion. The twelve color photographs of manikins with various hair style were used as the stimulus. As measuring instrument, a likert scale composed of 35 items of five point adjectives was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157 males and 140 females residing in the Busan area. The range of the age is from 20 to 55.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crosstab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test and t-test used SPSS Pack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8 factors - romantic, natural, elegant, simple, classic, casual, modem and mannish were found out as constructing factors of hairstyle image. 2. As a result of hair style image analysis about variations of hair-length, The short hair style was perceived in modern, mannish, casual, sophisticate, medurm-length style in classic and elegant, long hair style was perceived to be high in romantic and natural. 3. As a result of hair style image analysis about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The length of hair style was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in hair design and secondly important one was the wave of hair style. The color of hair style didn't critical effect on image of hair style.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Cosmetology Major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on the cosmetology profession)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67-1677
    • /
    • 2021
  •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 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미용전문직관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전공만족은 '전문성' t=4.625(p=.000), '직업인식' t=3.152(p=.002)로, 전공가치는 '전문성' t=2.330(p=.021), '전문활동' t=2.438(p=.015), '직업인식' t=4.843(p=.000)으로, 대학생활적응은 미용전문직관의 하위요인인 '전문활동' t=2.746(p=.006), '직업인식' t=4.303(p=.000)으로 나타나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미용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에게 있어 전공만족은 대학 및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 및 헤어 미용 직무 자신감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영향으로 사회생활을 적응할 수 있게 해주며, 미용전문직관은 헤어 미용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로 미용 전공 대학생 때 전문직관이 생기게 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전문직관의 형성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올바른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해 미용전문직관이 확립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자기계발과 더불어 교수 및 교육관계자들의 전문직업 윤리와 가치관에 관한 교육과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현대(現代) 헤어 디자인 트렌드에 나타난 유행(流行) 혁신(革新) 이미지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ashion Innovative Image in Contemporary Hair Design Trend)

  • 김경인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4호
    • /
    • pp.18-28
    • /
    • 2007
  • Resent Fashion trends are changing very rapidly.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se trends, Fashion should be regarded not as object but as a social phenomenon.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contemporary hair design trend and fashion innovative Image were defined, and the literatures regarding the relation of these two attributes were studied. To study allegory images in the hair design trend, we would like to analyse the relevance between the fashion innovativeness and cultural trend. The method used here are mostly visual data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creative development of hair design and rediscovery of fashion meaning.

헤어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 김광희;김은영;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77-182
    • /
    • 2020
  •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운영이다. 그리고 미용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적 감각이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높은 인식이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이 평균학력이며, 5~10년 정도의 경력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는 전문적인 이론 지식과 기능이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이며, 미의 선도적인 역할이라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예비미용인과 일반인은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디자인 감각과 창조성이며, 청결과 봉사적인 역할을 감당해야한다는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헤어미용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실력이며, 여성헤어미용사를 선호한다는 인식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사의 이직 원인으로 임금관련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임 급여는 100만원 이상~150만원 미만이, 하루 평균 근무시간으로 9~10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에게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헤어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이 호전되고 있지만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의복관여에 따른 헤어관여와 헤어태도의 차이 및 헤어실태 (Hairdo Involvement.Hairdo Attitude Differences Depending on Clothing Involvement and Actual Conditions of Hairdo)

  • 이혜원;김미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9-8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hairdo involvement and hairdo attitude influenced by clothing involvement. In addition, actual conditions of hairdo were investigated.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uring September to October 2006. Four hundred and six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software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luster analysis, ANOVA test, Duncan test, frequency analysis and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actors for clothing involvement were found to be interests and pleasure in clothes, coordination of clothes, symbolic representation, fashionableness, and risk awareness. The hairdo involvement factors were found to be interests and pleasure in hairdo, fashionableness, symbolic representation, risk awareness, and coordination of hairdo. The factors for attitude toward hairdo were found to be orientations toward leader's fashion conformity, distinct individuality, constancy, and consciousness of others. 2. According to the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three types of group were defined. When difference in the hairdo involvement was analyzed, all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difference in the hairdo attitude was analyz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rientations toward leader's fashion conformity, distinct individuality and consciousness of others. 3. Reason for choosing hair style is 'it's because they wanted the hair style', 'it's easy to groom', 'it's what they usually choose'. Average hair grooming time is less than 5 minute had higher rate, and then less than 10 minute came second. The money spend on buying consumption goods for hair treatment per month had the highest rate on spending 10,000 to 20,000won and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hairdo had the highest rate on hairdresser. The reason for choosing hair saloon had the highest rate on hairdressing skill, which shows that people choose hair saloons which they can trust on hair saloon's hairdressing skill.

  • PDF

홈케어 헤어 트리트먼트 처리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모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me Care Hair Treatment on Hair during Permanent Wave Treatment)

  • 이보람;고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70-276
    • /
    • 2021
  • 본 연구는 홈케어 헤어트리트먼트 특성 및 사용 빈도에 따라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시중에 유통되는 헤어트리트먼트를 양이온계면활성제, 실리콘 오일로 구분하였다. 사용빈도에 따라 제품별 5회, 10회, 20회 다르게 헤어트리트먼트를 처리한 후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모발의 굵기, 인장강도, SEM을 이용한 모표피 관찰, EDS를 이용한 모발 구성 원소 분석을 하였다. 실험 결과 천연유래성분이 주성분이며 양이온계면활성 및 실리콘 오일이 미첨가된 제품군이 모발 보호 효과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에 천연유래성분을 이용한 제품군이 더욱 연구 개발되어야 하며 자극적 화학 성분이 첨가된 제품은 사용 방법 및 빈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