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도닉 모델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온라인 콘텐츠의 컨조인트 분석 : Video on Demand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Conjoint Analysis of Online Content : A Case of Video on Demand Service)

  • 이정우;이문규;최홍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5-98
    • /
    • 2007
  • 온라인 콘텐츠는 경험재의 성격을 띄고 있어 사용자가 경험하면서 어떠한 속성들을 중심으로 가치를 부여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TV드라마 다시 보기를 중심으로 전문가들의 심층 면접을 통하여 온라인 콘텐츠의 주요한 속성들을 도출하고 이어서 이렇게 도출된 속성들에 대하여 컨조인트 설문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각 속성에 부여하는 상대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가격, 장르, 부가서비스, 연기자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속성들로 도출되었고 이들을 촬영한 컨조인트 분석에서는 '가격'이 제일 민감한 속성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장르, 부가서비스, 연기자의 순서로 중요성이 높았다.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가격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고, 남성은 장르를 더 중요시했다.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로는 온라인 콘텐츠의 속성들의 조합에 따라서 가격이나 부가서비스의 성격을 달리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낼 수 있었고 이에 따른 이용자 층 세분화 전략, 부가서비스의 특화 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콘텐츠 가격 설정을 위한 헤도닉 모델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 기숙사의 기숙사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arding Fee Determinants of University Dormitory)

  • 이중식;유선종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9-36
    • /
    • 2014
  • Properties of school foundation are divided into fundamental property for education and fundamental property for profit. As school sites and teachers used for educational and study activities of students, fundamental property for education includes practice sites, farms and support research attached facilities in addition to schoo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lause 1 of Article 4 of the University Foundation and Management Regulation and the Attached Table 2 of the Same Regulation, dormitory is classified as property for education(non-profit). In other words, there is no need to create profit for dormitory management. It is supposed that there are little regional differences in construction cost of dormitory with general specifications. In this case, boarding fees of university dormitories should make no difference. This study analyzed boarding fees, depending on regional factors(Seoul, Gyeonggi-do,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depending on foundation subjects(national public university and private university), classes(four-year university and college) and principal schools-branch schools. The result of One-Way ANOVA showed that Seoul showed the highest average boarding fee and it was followed by Gyeonggi-do,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lso, the average boarding fees of private universities and four-year universities were higher than national public universities and than colleges, respectively. In addition, branch school's boarding fee was higher than principal school's. Additionally, this study extracted a model using the hedonic model to see how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region, foundation subject and class influence the boarding fee. This study would serve as fundamental research on the boarding fee. Thus far,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in obtaining accurate data and analyzing boarding fees, since there is no open data about dormitories and it isn't mandatory to open it, bu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ould be used as fundamental research for estimating and analyzing boarding fees of many universities in the future.

수자원관리 부문에서 수혜자부담원칙 경제적 평가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사례분석 - (A Study on Economic Evaluation of Beneficiary Pays Principle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 The Case of Namyangju in Korea -)

  • 윤재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5호
    • /
    • pp.323-336
    • /
    • 2014
  • 본 연구는 헤도닉가격기법(hedonic price method)을 활용한 경기도 남양주시의 2012년도 지가 분석을 통해 수질보호구역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추정하고, 한강 하류지역에 수혜자부담원칙에 의해 부과되는 물이용부담금 제도에 대한 평가 의견을 제시한다. 분석결과 Double-log 모델이 수질보호구역으로 인한 영향을 추정하는데 보다 적합한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Double-log 모델에 따르면 남양주시에 대한 적정 총 보상액은 약 8.6조원으로 추정되었다. (95% 신뢰구간: 약 4.4조-12.4조원) 또한, 영구연금지급방식에 따른 남양주시에 대한 연간 보상액은 약 0.9 조원으로 추정되었으며 (95% 신뢰구간: 약 0.4조원-1.2조원), 이는 추정된 적정 연간 보상금이 2012년에 징수된 한강수계에 대한 물이용부담금 총액 (약 0.5 조원) 보다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팔당지역의 국유지를 제외한 수질 보호구역의 면적이 (약 $2,572km^2$) 남양주시의 수질보호구역 면적의 (약 $140km^2$) 18 배가 넘는 점을 고려할 때, 한강상류지역의 재산권 침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위해 수혜자부담원칙에 따라 하류지역에 부과되는 물이용부담금의 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택시장변동 분석을 위한 멀티에이전트 모형의 개발 및 시뮬레이션 (Multi-Agent Model and Simulation for the Dynamics of Housing Market)

  • 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1-115
    • /
    • 2009
  • 조속한 주택시장의 안정화가 우리나라의 국가적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주택시장의 특성을 반영하며 새로운 정책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주시를 대상으로 멀티에이전트 주택시장모형과 시뮬레이션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진주시의 지역적 주택시장을 분석한 다음, 주택선택모형, 헤도닉주택가격모형, 주거입지선택모형 등 3개의 하위 모형으로 구성된 멀티에이전트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150{\times}100$개의 셀로 구성된 가상공간을 설정하고 모형을 프로그래밍하였다. 이 시스템으로 도시개발이 주거 입지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보았다. 그 결과 단순히 도로, 상업시설, 편의시설의 입지만으로는 주거가 쉽게 유입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대신에 녹지를 공급함으로써 매우 많은 주거입지를 유도할 수 있어 도시개발에서 인프라와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정비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멀티에이전트 모형과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원활하게 작동하며, 다양한 정책실험과 주택시장의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2E(Play-to-Earn) 게임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Why do People Play P2E (Play-to-Earn) Games?: Focusing on Outcome Expectation and Social Influence)

  • 장문경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3호
    • /
    • pp.23-44
    • /
    • 2022
  • 최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하나인 P2E(Play-to-earn) 게임이 많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P2E게임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미래성장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긍정적인 평가받는 동시에, P2E게임 아이템을 가상화폐 형태로 현금화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사행성을 가지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P2E게임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헤도닉 정보시스템 사용의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선행요인을 인지된 재미, 경제적 인센티브, 그리고 사회적 영향으로 제시하고, 사회적 영향에 주는 요인을 동료 및 외부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모델을 P2E게임을 플레이한 경험이 있거나 인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재미와 주관적 규범은 P2E게임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유의미하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인센티브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동료 영향과 외부 영향은 주관적 규범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게임업계, 정부, 게임사용자 등 여러 이해 당사자들의 P2E게임에 대한 평가가 첨예한 상황에서 발전적인 사회적 논의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