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헌치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용접 수평헌치로 보강된 철골 모멘튼 접합부의 내진설계 (Seismic Design of Steel Moment Connections with Welded Straight Haunch)

  • 이철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73-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용접 수평헌치로 보강된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내진설계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보의 하부를 수평헌치로 용접하는 방안은 취약한 내진성능이 드러나 기존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내진보강이나 내진성능이 뛰어난 건물의 구축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용점 삼각헌치로 보강된 접합부의 설계법은 최근에 미국의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 설계법은 응력 전달 메커니즘이 상이한 수평헌티 접합부의 설계에는 적용될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수평헌치와 보의 상호작용 및 변형의 적합 조건을 고려하여 도출된 단순화된 해석적 응력전달 모형을 간략히 기술한다. 이를 기초로 수평헌치 접합부의 단계별 내진 설계절차를 제안한다. 아울러 헌티단부의 응력집중을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디테일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헌치로 보강된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탄성 횡변위에 대한 영향 (Effects of Haunch Reinforced Steel Moment Connection on Elastic Lateral Drift)

  • 이철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통권30호
    • /
    • pp.149-157
    • /
    • 1997
  • 철골 모멘트 접합부를 헌치로서 보강할 경우 내진거동이 크게 증진됨이 최근의 실물대 시험에서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헌치로서 보강된 철골 모멘트 접합부가 골조의 탄성 횡변위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내부의 보-기둥 부분골조를 대상으로 기둥, 보 및 이중패널존에서 기인하는 탄성 횡변위 성분을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핵심이 되는 내용은 헌치 보강시 생성되는 이중패널존의 전단변형을 고려하는 것이었다. 제시된 방안에 의한 예측치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결과와 잘 부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사례연구에 의할 때 헌치의 도입으로 패널존의 강성증대가 가장 현저하여서 패널존의 전단변형에서 기인하는 탄성 횡변위가 50%정도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헌치 보강에 따른 부차효과(side effects)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용접 수평헌치로 보강된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반복재하 내진실험 (Cyclic Seismic Testing of Steel Moment Connections Reinforced with Welded Straight Haunch)

  • 이철호;권근배;정종현;오명호;구은숙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1-37
    • /
    • 2002
  • 최근에 용접 수평헌치로 보강된 내진 철골 모멘트 적합부의 응력 전달모형 및 설계법이 Lee-Uang에 의해 새로이 제안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재하 실물대 실험을 통하여 이 설계방안의 타당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응력집중에서 기인하는 헌치단부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세도 제안하고자 하였다. Lee-Uang의 방안에 의해 설계된 3개의 시험체는 모두 설계의도에 부합되게, 헌치단부의 외측에서 형성된 소성힌지에서 0.04 radian에 달하는 뛰어난 소성회전능력을 발휘하였다. 도한 헌치단부에 구배를 주고 처공하거나 또는 보 웨브 스티프너를 헌치의 웨브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하는 상세에 의해 헌치단부의 균열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아울러 해석적으로 예견되었던 헌치 웨브의 스트럿 거동도 스트레인 계측을 통하여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용접 수평헌치로 보강된 내진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해석적 모형화 (Analytical Modeling of Seismic Steel Moment Connections Reinforced with Welded Straight Haunch)

  • 이철호;윤태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통권48호
    • /
    • pp.559-56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용접 수평헌치로 보강된 내진 철골모멘트접합부를 간단히 해석적으로 모형화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1994년 노스리지 및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피해 이후 철골모멘트접합부의 새로운 내진상세가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이 가운데 보의 하부를 헌치로서 보강하는 방안도 유망한 대안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삼각헌치 대신 수평헌치를 도입하면 보강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나 아직 응력전달 메카니즘이 규명되지 않고 있어서 정립된 설계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보와 헌치의 상호작용 및 변형의 적합조건을 고려하여 이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방안에 의해 설계에 필요한 보-헌치의 상호작용력 및 보와 헌치 플랜지 용접부의 휨응력도를 만족스럽게 예측할 수 있다.

  • PDF

헌치로 보강된 철골모멘트골조의 지진응답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eismic Response of Haunch Repaired Steel MRFs)

  • 이철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69-78
    • /
    • 1997
  •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보 하부를 헌치로 보강하여 내진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음이 최근의 실물대 보-기둥 "부분골조" 실험을 토하여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헌치보강에서 기인할 수 있는 부작용 (side effecs) 또는 보강구조체의 "시스템 레벨"의 거동에 관해서는 현재 잘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헌치보강시 생성되는 이중패널존의 거동을 해석과정에 반영하여 보강구조체의 시스템 레벨의 거동변화를 고찰하였다. 이중패널존의 모델링은 최근에 필자가 제시한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1994년 노스리지 지진 당시 접합부 손상을 입은 13층 철골모멘트골조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적/동적 비선형해석에 의해 얻어진 원구조물과 부강구조물의 전체적 응답(global responses)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취약층(weak story)의 촉진과 같은 유해한 부작용도 수반되지 않았다.은 유해한 부작용도 수반되지 않았다.

  • PDF

바닥슬래브를 고려한 용접철골모멘트접합부의 내진보강 (Seismic Retrofit of Welded Steel Moment Connection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Composite Floor Slabs)

  • 이철호;김성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25-36
    • /
    • 2017
  • 1994년 노스리지 지진 당시 발생한 용접모멘트 접합부의 취성파괴는 주로 보 하부 플랜지에서 발생하였다. 특히 국내 기존 용접철골모멘트 접합부의 경우 과다한 전단스터드 배치에 따른 의도치 않은 합성작용로 인해 지진 내습 시 보 하부 플랜지의 취성파단이 더욱 우려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효과로 인한 접합부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량전단탭/수평헌치/삼각헌치로 보강된 접합부 및 RBS가 도입된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통상 기존 접합부 상부 플랜지의 수정이 불가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 하부 플랜지에만 수평/삼각헌치를 보강하거나 RBS를 도입하여 이 때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물대 실험 결과 수평/삼각헌치 혹은 중량전단탭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모두 합성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특수모멘트접합부가 요구하는 수준 이상의 소성회전각 5%이상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RC 기둥에 RBS를 도입할 경우 접합부에 소요되는 변형의 대부분을 RBS측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함으로써 SRC기둥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 중 중량전단탭 보강에 따른 접합부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가의 수치해석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제시한 각각의 보강안에 대한 권장상세를 제시하였다.

주상복합건물 전이층의 거동 분석과 헌치의 적용성 평가 (An Evaluation and Response Analysis of Hybrid Building System by Introducing Haunch at the Transfer fool)

  • 장성훈;김희철;홍원기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63-72
    • /
    • 2001
  • 상부 벽체와 하부 골조로 구성되는 주상복합건물은 전이층에서 수직적인 강성과 강도의 불연속성을 갖는다. 이러한 복합구조는 전이층에서 춤이 큰 보에 의하여 하중이 전달되면 설계시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실제 전이보의 설계시 춤을 매우 크게 하여 요구되는 강도보다 큰 안전율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이층의 단순화모델을 이용하여 보의 높이 및 지지면의 길이에 따른 아치거동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분석하고 두 변수를 포함하는 헌치부재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기존 시스템과 비교하였다. 중요 변수와 헌치의 기울기는 1:1의 비율에서 사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전이보를 대신하여 사용한 결과 중력방향의 상부 아치거동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력 집중부위에서의 응력 감소와 깊이 전이보의 높이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간비와 헌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헌치보의 전단성능에 관한 연구 (Shear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Haunched Beams by Shear Span-to-Depth Ratio and Haunch Slope)

  • 송호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9-129
    • /
    • 2002
  • Reinforced concrete haunched beams have been used for enhancement of shear resistance of beams to avoid the stress concentration. But American and British codes do not give my formula for the design of haunched bea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shear failure of reinforced concrete punched beams for various haunch inclinations and shear span-to-depth ratio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shear behavior of haunched beam were similar to that of resembled rectangular beams, shear span-to-depth ratios and inclinations of haunch had effects on shear cracking strength.

용접 수평헌치로 보강된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내진설계 (Seismic Design of Steel Moment Connections with Welded Straight Haunch)

  • 이철호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0
    • /
    • pp.269-277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 seismic design procedure for steel moment connections with welded straight haunch. Recent test results showed that welding a straight haunch beneath the beam could be a viable solution for not only repair and rehabilitation of pre-Northridge moment connections but also new construction. Although a design procedure for the connection with triangular welded haunch has been developed recently, it is not applicable for the straight haunch moment connection because the force transfer mechanism is different. A simplified analytical model that considers the force interaction and deformation compatibility between the beam and haunch is briefly presented first based on the writer`s previous study. A generic design procedure as well as details that minimize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haunch tip are also recommended.

  • PDF

헌치로 보강된 철골모멘트 골조의 지진 응답: 사례연구 (Seismic Response of Haunch Repaired Steel MRFs: A Case Study)

  • 이철호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1997
    • /
    • pp.173-181
    • /
    • 1997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unch repair on the system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moment-resisting frames (steel MRFs),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a 13-story frame damaged during the 1994 Northridge earthquake. It was assumed that only those locations with reported damage would be repaired with haunches. A new analytical modeling technique for the dual panel zone developed by the author was incorporated in the analysis. Both the inelastic static and dynamic analyses did not indicate detrimental side effects resulting from the repair.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strength in dual panel zones, yielding in these locations were eliminated and larger plastic rotation demand occurred in the beams next to the shallow end of the haunches. Nevertheless, the beam plastic rotation demand produced by the Sylmar record of 1994 Northridge earthquake was still limited to 1.7% radians. The repair resulted in a minor increase in earthquake energy input. In the original structure, the panel zones should dissipate about 80%(for the Oxnard record) and 70%(for the Sylmar record) of the absorbed energy, assuming no brittle failure of moment connections. After repair, the energy dissipated in the panel zones and beams were about equ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