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향

Search Result 9,45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ubjective sensibility factors determining the preference of perfume (향 선호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감성 요인)

  • 백은주;이윤영;김완석;이배환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23-30
    • /
    • 1999
  • 향은 방향성 또는 휘발성 물질에 의해 코의 점막을 통해 흡입되어 뇌파등의 생체 신호의 변화를 초래하고 풍부한 감성도 유발시킨다. 향은 기억력에 관련된 원시 감정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생체에서 나오는 페로몬(pheromone)은 행동 양식까지 영향을 미친다. 또한 향을 이용하여 증상의 경감, 예방효과등 질환을 치료하는 aromatherapy는 매우 유망한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페로몬향과 aromatherapy에 사용되는 essential oil등을 이용하여 주관적 감성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통계 분석하여 여러 종류 향들의 자극으로 유발되는 감성의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둘째로 향의 선호도를 결정하는데 작용하는 감성요인을 알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향은 26종류이고, 총33명의 지원자가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9점척도의 18문항을 선별하여 4가지 유형으로 작성한 후 유형별로 자료를 정리하여 베리막스의 요인분석, 외귀분석, 군집분석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베리막스의 요인분석으로 설문에 사용한 감성 형용사를 쾌한 감성으르 결정하는 요인, 자극의 강도를 결정하는 요인, 이외의 다른 고풍스럽거나 현대적인 요인 등 비슷한 3개 요인으로 나누었다. 향의 선호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감성척도에서는 피검자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남성의 경우 '황홀하다, 여성적이다' 인데 반해 여성인 경우 '쾌적하다. 친숙하다'라는 감성 척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각 향별로 군집을 분류하여 향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으며 또한 각 향별 선호도를 결정하는 감성 척도도 구해 보았다. 또한 향의 분류에 따른 감성 척도의 특징을 성별로 관찰한 결과 페로몬 향의 경우 essential oil과는 달리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후각을 자극하는 향물질로 유발된 감성을 측정해 본 결과 성별에 다라 선호도를 결정하는 감성요인의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essential oil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는데 비하여 페로몬 향의 경우 성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Psychological Structure and ANS Response by Odor Induced Emotion (연령별 향 감성구조 및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 박미경;정희윤;이경화;최정인;이배환;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4 no.2
    • /
    • pp.39-45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sensibility and autonomic nervous responses to odor by ages. 72 participants, 24 each in their teens, twenties, and thirties were given odor stimuli, cederwood, grapefruit, teebaum, peppermint, rose. During the presentation of stimuli, participant were measured blood flow, skin temperature, skin conductance, and ECG and subjective emotion to each odor were evaluated, Five factors, aesthetic, intensity, naturality, uniqueness, and romantism were identifie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ages. Emotional factors that predict the preference to certain odors turned out partly different by ages. However, odors that made participants feel sick created more autonomic nervous response than odors that made them feel good.

  • PDF

The Assessment of Odors Using Autonomic Nervous Responses (자율신경계 반응을 이용한 향(香)의 영향 평가)

  • 민병찬;정순철;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수진;김혜주;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07-41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향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00%의 Rose oil bulgarian, Lemon oil misitano, Jasmin abs., Lavender oil france (KIMEX co. Ltd)의 네가지 향을 사용하여 심전도, 피부온도, 피부저항의 생리신호를 측정하였고, 생리신호의 측정과 함께 주관적 설문지의 평가를 통해 생리신호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주관적 평가 중 양극 척도의 긴장/이완에 해당되는 문항의 분석결과 장미>자스민>레몬>라벤더 순으로 피험자들에 의해 장미가 가장 긴장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향의 선호도 조사에서는 장미향이 가장 진한 향으로 레몬 향이 가장 좋은 향으로 분석결과가 나왔다. 생리신호 중 평균 R-R 간격의 측정 결과는 장미향에서 가장 긴장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주관적 평가 결과 역시 장미향이 긴장도가 높게 나와 생리신호와 주관적 평가의 결과가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피부온도 결과에서는 평균 R-R 간격에서 긴장도가 가장 높은 장미가 피부온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피부저항은 레몬 향이 가장 긴장된 것으로 나온 반면 라벤더가 가장 이완으로 나타났으며 라벤더의 경우 주관적 평가와의 상관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향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주관적 평가와 생리신호를 동시에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주관적 평가와 생리신호의 상관성을 통해 향이 자율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 수가 있었다.

  • PDF

Human Understanding is Expected of the Physician: Proposing a Model of Disease Development (의사에게 요구되는 인간이해를 통합한 질병발생모델의 제안)

  • Sang-Heum Park;Samel Park;Jin Young Kim;Hyeon Ah Lee;Sang Mi Lee;Tae Hoon Lee;Sang Byung Bae;Sung Hae Chang;Si Hyong Jang;Sung Wan Chun;Jong Ho Moo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 v.99 no.2
    • /
    • pp.84-95
    • /
    • 2024
  • In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uman understanding is emphasized as one of three necessary characteristics that a physician must have. Inflammation, which is caused by inflammatory inducers (inf-ids), is a fundamental feature of disease at the cellular and molecular levels. Inflammation protects the body, but excessive or prolonged inflammation can be damaging and can cause disease. Humans are repeatedly exposed to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generate inf-ids throughout their live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microbial and non-microbial inf-ids, as well as stressors that inevitably arise during social interactions.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the adaptive physiological response that is present from birth. Inf-ids may also be produced by the four-step habit loop, which consists of a cue (e.g., stressor), emotions, routine act (adaptive response), and a reward. Immune cells in the circulatory system and in tissues may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in inflammatory responses. However, low-grade inflammation may be difficult to detect. We propose a model of disease development that integrates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understanding.

Camera Parameter Extraction For Long Distance Estimation Using Omnidirectional Camera (전방향 카메라를 사용한 원거리 추정을 위한 파라미터 추출)

  • Lee, Kang-San;Jeon, Joo-Il;Kang,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27-230
    • /
    • 2009
  • 본 논문은 전방향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거리 측정을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전방향 카메라의 교정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전방향 스테레오 카메라의 교정에 있어서,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를 각각 독립적으로 교정하거나 두 대의 카메라의 베이스라인이 크지 않은 경우의 교정은 기존의 연구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그러나 전방향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라인이 충분히 커야 하며, 충분히 큰 베이스라인은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를 동시에 교정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이는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에서 촬영된 교정을 위한 테스트패턴의 크기가 최소한 한 대의 전방향 카메라에서 매우 작은 크기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베이스라인이 큰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의 교정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EEG Responses and Olfactory-related Occupations (천연향 자극에 대한 향 관련 종사자들의 EEG반응)

  • 강인형;민병찬;진승현;전광진;성은진;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8-131
    • /
    • 2002
  • 향 관련 직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는 유기 화학적 냄새에 폭로된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작업환경 개선을 주된 목적으로 실시되어져왔으나 천연향 자극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관련 전문직과 화장품 판매직을 대상으로 100%의 basil oil, lavender oil, lemon oil, jasmine oil, ylang-ylang oil (KIMEX co. Ltd, Korea), skatole (TAKASAO co. Ltd, Japan)등 6종 향 자극에 대한 EEG, 주관평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문직에서 선호도가 높은 향은 Fz와 F3에서, 선호도가 낮은 향은 P4에서 $\alpha$/$\beta$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호 정보량에 대해서는 두 직업 모두 선호도가 낮은 향에 대한 상호 정보량이 선호도가 높은 향에 비해 더 많았다. 특히 화장품 관련 전문직에서는 전두엽의 상호 정보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판매직과 비교하여 전문직은 천연향 자극이 감성효과가 아닌 외부자극에 대한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 영역과 관련된 지성효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Bidirectional Zeta-Flyback Converter for Improved Efficiency (개선된 효율을 가지는 양방향 Zeta-Flyback 컨버터)

  • Jung, Mun-Kyu;Kwon, Young-Ah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6
    • /
    • pp.844-849
    • /
    • 2012
  • In this paper, a bidirectional Zeta-Flyback converter is proposed. The topology of the proposed converter is analyzed, which is superposition of bidirectional Flyback converter mode and bidirectional Zeta converter mode in a cycle. The proposed converter allows power flow in either a forward direction or a backward direction. Bidirectional power flow is obtained by a transformer and components. The proposed converter's output is controlled by duty of constant frequency PWM of switch. Compared to conventional bidirectional isolated DC-DC converters, the proposed 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has high power density and high transformer utilization. To confirm the proposed converter,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Effects of Odors on the Autonomic Responses caused by Mental Stress (스트레스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에 향이 미치는 영향)

  • 정순철;민병찬;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수진;김혜주;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13-416
    • /
    • 1999
  • 본 연구는 쾌하고 안정의 감성을 유발하는 향과 상대적으로 쾌도가 작고 각성의 감성을 유발하는 향이 스트레스 자극 후에 안정 상태로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향은 100%의 Rose oil bulgarian, Lemon oil misitano, Jasmin abs., Lavender oil france (KIMEX co. Ltd)의 네 가지이고 자율신경계의 반응은 심전도, 피부저항의 생리신호로 측정하였다. 스트레스의 유발은 단계적으로 난이도를 증가시키면서 덧셈의 연산 결과가 옳은지 틀린지를 검증하게 하였다. 실험과정은 처음의 안정 상태를 3분간 측정하였고, 2분의 계산 부하가 주어졌고 다시 3분간의 회복 상태를 측정하였다. 3분간의 회복 과정 측정 시 향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를 통제 집단으로 하여 각각의 향을 제시했을 때의 상태와 비교하였다. 주관적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레몬과 라벤더 향은 긍정과 이완 감성을, 자스민과 장미는 부정과 긴장 감성을 유발하는 향이라고 피험자들은 대답하였고 이것은 생리신호의 분석결과 스트레스 자극 유발 후 안정상태로의 회복이 향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해서 레몬과 라벤더 향을 제시했을 때 빨라지고, 장미향을 제시했을 때 느려진다는 사실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그러므로 비록 예비 실험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교감신경계 활성화의 회복을 촉진시키거나 또는 더디게 하는 향의 심리적 효과를 자율신경계의 반응으로서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Subjective Preference and Sensibility Structure of Fabric Softner Odors (섬유유연제 향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와 감성 평가)

  • Kweon Soo-Ae;Lee Eun-Kyung;Choi Jong-M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8 no.2
    • /
    • pp.129-135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preference for odors, which has been an important factor for selecting fabric softner, an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sensibility of odors. Among six different odors, the subjects preferred freesia, blue bianca, violet, herb, green tea, and peach, in that order. Compared to male subjects, female subjects preferred freesia, herb, and blue bianca. The structure of odor sensibility to freesia showed 5 different factors and the odor sensibility to peach showed 6 different factors. Therefore, the structure of odor sensibility according to different odors was a bit different. Common factors of freesia odor and peach odor were aesthetics, character, excitement and intensity.

  • PDF

Development of an Emotion Scale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motion Induced by Odors (향 감성평가 척도개발 및 향 감성구조 분석)

  • 손진훈;박미경;이배환;민병찬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5 no.1
    • /
    • pp.61-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motion Rating Scale induced by Odors'an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induced by odors. At first 37 adjectives that describe odor to develop a rating scale were selected. Subjects were to rate odor emotion on a 7-point bipolar scale. 304 subjects participated and were as a group instructed to rate odor emotion. 53 out of 304 subjects were retested to test for reliability of the scale two weeks after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finally 25 adjectives were then selected based on high test-retest reliability and factor loading, high contributing to one factor. 24 subjects each in 10s, 20s, 30s & 40s were to rate odor emotion induced by 5 different odors on the scale developed.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consisted of 'Esthetics', 'Intensity', 'Romance', 'Nature'and 'Character'.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by age appeared quite similar but that by different odors was little bit differ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