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수병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향수제품 디자인을 위한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Colors and Fragrances for Commercial Perfume Design)

  • 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427-439
    • /
    • 2008
  • 향수제품의 향에 적합한 색을 향수병과 포장지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향을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해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약 200여개 향수병의 색을 분석하여 향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색채 디자인 패턴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향과 색의 대응관계를 조사하였다. 향수병을 볼 수 없는 상황에서 피실험자들에게 세 가지 향수제품의 향을 맡은 후 연상되는 색을 선택하게 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향수제품 모두 차별화된 색상(hue) 대응이 이루어졌고, 선정된 색상은 실제 향수병의 색상과 상당히 유사한 색상 영역에 분포하였다. 또한 향수제품의 세 가지 향 노트(상향, 중향, 하향)에 따라 연상되는 색의 현저한 톤(tone) 변화를 발견하였다. 위의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향수제품에 있어 향과 색 간의 뚜렷한 교차-양상 연상관계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Immigrants)

  • 박지영;이창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65-672
    • /
    • 2012
  • 본 논문은 전국의 여성결혼이민자 609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향수병을 제외하고 중간수준보다 낮았으며, 희망과 긍정적 복지는 중간수준을 상회하였고, 부정적 복지는 중간수준보다 낮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긍정적 복지와 희망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정적 복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 향수병, 적대감, 두려움, 문화충격, 죄책감과 긍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끝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차별감, 향수병, 적대감, 문화충격, 죄책감과 부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르네 랄리크의 향수병 디자인 연구 (Perfume Bottles designed by Rene Lalique)

  • 강유희;이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18-335
    • /
    • 2010
  •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cosmetic industry and provide basic materials needed for a design idea by analyzing perfume bottles designed by Rene Lalique.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documentary research and demonstrative research. The documentary research consid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ith a focus on rela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previous research, and Internet materials. The demonstrative research extracted photo materials of the bottle designs of Lalique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 sites along with literature that classified them into shapes, colors, materials, and patterns that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ic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urve-oriented shape was common and multi-colors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a single color in the 1910's. Colorless-transparent glass and a flower patterns were used frequently for materials and patterns, respectively. Lalique reflects this style in his bottle designs because the Art Nouveau effect in the 1910's. In the 1920's, curved and straight shapes had a similar percentage. The use of multi-colors and one type of glass bottle increased versus the 1910's. Similar to the 1910's, a flower pattern was used most frequently. This suggests that Lalique was influenced by the established Art Nouveau and was also interested in the Art Deco style, In the 1930's, an organic curved shape was common. Unlike the 1910's and 1920's, a single color was more common than multi-colors. The one type of glass bottle and a geometric pattern were common for materials and patterns, respectively. The Art Deco style was reflected in the bottle design of Lalique in the 1930's.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Foreign Workers' Acculturative Stress in Korea Society)

  • 김성희;김성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32-3842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에 이주한 노동자들이 문화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23명의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자료는 2010년 1월부터 5월까지 수집되었으며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7개 하위영역 중 향수병과 차별감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으며, 고졸 졸업자가 중졸이하보다, 모국 공동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영역별 차이 중, 차별감, 향수병, 문화충격, 모국 공동체가 없는 경우 및 공공장소에서의 부당대우를 경험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동거하는 경우보다 향수병을 더 느끼며, 남자가 여자보다, 고졸이 중졸이하 보다,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죄책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사회에 건전하게 적응하기 위한 향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 감정적 반응에 대한 심미적 요소의 영향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Emotional Responses to Perfume Bottle Design)

  • 양종열;홍정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29-140
    • /
    • 1999
  • 제품 심미성은 디자인 조사뿐만 아니라 제품 디자인에 대한 중요한 전략적 도구라는 것을 의심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놀랍게도 디자인 문헌에서는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 할 것인가 소비자 반응에 대한 그 영향을 어떻게 측정 할 것인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이 연구는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대한 제품 디자인의 심미적 요소의 영향을 탐색한다. 특히 특정 제품군(향수병)의 심미적 차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척도를 보여준다. 이 연구가 향수 제품에 국한되었다 할지라도 다른 다양한 제품 디자인 및 packaging과 같은 분야의 심미성 역할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외국인 근로자의 음주동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on Problem Drinking in Foreign Workers for Drinking Motives, Acculturative Stress)

  • 하영미;박기수;조정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25-2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근로자의 음주동기, 문화적응 스트레스, 문제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G 시에 소재한 2곳의 조선소에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 12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위험음주는 39.2%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음주동기의 하위영역인 사교동기(${\beta}=.368$ p=.003)와 동조동기(${\beta}=.337$ p=.005)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영역인 향수병(${\beta}=-.197$, p=.009)으로 문제음주에 대하여 약 39.5%의 설명력을 보였다(F=26.849, p=.000).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제음주를 예방하기 위해서 음주동기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활용한 알코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미국의 군복무 관련 질환의 보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nsation about Diseases Related Military of United States of America)

  • 김태열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23
    • /
    • 2009
  • 지난 50여년간 국가유공자 및 제대군인의 보상은 전쟁 및 군복무중 발생한 상이처로 인해 장애를 입은 자를 중심으로 보상해 왔으며, 군 복무 중 발생한 질병의 보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심도 있게 논의된바 없다. 우선 한국의 군복무와 관련한 질병 보상과 관련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중요하게 고려되야 할 부분은 우리보다 100여년 이상 앞서 연구해 왔고 지금까지도 활발히 진행중인 미국의 질병 보상 제도와 질병 인정범위에 대해 분석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미국의 군복무와 관련한 질병에 관한 최초 보상의 역사는 1800년대로 군복무와 관련한 질병에 관한 대표적인 최초의 보상 질환은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초기 형태인 향수병(nostalgia)으로 이 질환이 군복무와 연관된 질환으로 인정받은 최초 질병이었다. 미국의 경우 미국의 군복무와 관련된 질환은 직접질환과 추정 질환으로 분류되는데 먼저 군복무 직접 질환의 경우 질병 보상이 되는 대표적 질환은 고혈압, 당뇨, 빈혈, 동맥경화증, 관절염, 심장염, 간질, 신장염, 정신병, 활동성 결핵, 위궤양 등 거의 모든 질환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정신병 흡연과 음주에 의한 질환 자살도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은 경우는 대부분 보상이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선진국에 비해 한국의 군복무와 관련한 질병보상 범위와 너무도 상이한데 국가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14조에 의거 1급부터 7급까지 등급판정을 부여하는데 이는 대부분 외상에 의한 절단, 관통상, 신체 기능상실자를 위주로 보상을 하고 있어 외상과의 합병증이 없는 질병에 대한 보상은 실질적으로 거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끝으로 군복무와 관련한 질병 보상과 의료, 복지증진을 위한 종합적인 발전 방안을 몇가지 제언코자 한다. 첫째, 제대군인 질병연구센타 설립. 둘째, 정신질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군(PTSD), 진행성 질환 무상의료 지원 및 연금지급 셋째, 고엽제 2세환자의 역학조사가 필요하다.

  • PDF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관광관련 전공 국내 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University Adjustment: Focused on Foreign Students Majoring Tourism at Universities in Korea)

  • 윤선영
    • 서비스연구
    • /
    • 제5권2호
    • /
    • pp.177-197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경기도 소재 4개의 대학에서 유학하고 있는 관광 관련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타국생활 적응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건강한 유학생활의 지침 마련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언어능력은 대학생활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간에 부분적으로 정(+)의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예방 및 근거와 대학생활에 도움이 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며 한국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 개선 및 다문화시대에 국내 소수집단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문화적 배경에 따른 대학기숙사 물리적 환경이 학생들간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at University Dormitory on Social Interaction among Students)

  • 김원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48-54
    • /
    • 2017
  • 대학기숙사는 재학생들의 다양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독특한 캠퍼스경험과 학업성취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또한 학생 재학률 향상과 외국학생 유치를 위한 수용능력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학생들의 사회적 교류와 공동체 의식은 학업스트레스와 향수병을 경감하고 개인적 성장과 동년배 그룹의 사회문화 적응에 긍정적인 기회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숙사의 물리적 환경이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사회적 교류와 공동체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조사하는데 있다. 교차분석은 개인적 배경에 따라 공동체의식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나 두 개의 문화적 그룹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음을 밝혀내었다. 공동체의식 요소와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조사 분석에서 한국학생그룹은 전반적으로 미국학생그룹보다 비교적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미국학생들의 사회적 교류환경을 위해 쾌적한 냉난방과 같은 기능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 반면, 한국학생그룹은 가족지향적인 환경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결과를 통한 선형분석은 물리적환경의 만족도가 높아감에 따라 공동체 의식 및 사회적 교류환경 정도가 높아짐을 확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 기숙사 계획에서 기관의 기능보다는 가정적 환경에 역점이 두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inese Student Adaptation to Korean Universities and Level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 김종원;김은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9-112
    • /
    • 2019
  •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 시장의 모습도 변화하고 있다. 국내 대학들은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위기극복의 방안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유학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은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요한 학생 구성원이 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본국을 떠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 유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PLS(Partical least squares)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요인인 교수 요인과 교직원의 관심정도는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한국어 구사 능력은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정서적 요인인 향수병은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도는 대학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