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태모형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eview of Research Trend in Model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정보추구행태 모형의 연구 경향)

  • Kim, Kap-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4 s.58
    • /
    • pp.235-25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studie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ISB)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provided model of ISB. Studies were divided into 3 types in terms of factors, processes, or types/patterns of ISB and sub-analyzed by 9 aspects such as research method/ theoretical framework, context of ISB and vice versa. Korean research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ISB studies are to do holistic research approach capturing complexity and multidimention of ISB as well as to extend research objects. Also, it needs to construct substantive theories based upon korean phenomenon of ISB.

Combined RP/SP Model with Latent Variables (잠재변수를 이용한 RP/SP 결합모형에 관한 연구)

  • Kim, Jin-Hui;Jeong, Jin-Hyeok;Son, Gi-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4
    • /
    • pp.119-128
    • /
    • 2010
  • Mode choice behavior is associated with travelers' latent behavior that is an unobservable preference to travel behavior or mode characteristics. This paper specifically addresses the problem of unobservable factors, that is latent behavior, in mode choice models. Consideration of latent behavior in mode choice models reduces the errors that come from unobservable factors. In this study, the authors defined the latent variables that mean a quantitative latent behavior factors, and developed the combined RP/SP model with latent variables using the mode choice behavior survey data. The data has traveler's revealed preference of existent modes along the Han River and stated preference of new water transit on the Han River. Also, The data has travelers' latent behavior. Latent variables were defined by factor analysis using the latent behaviour data. In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er's latent behavior and mode choice behavior. In addition,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 choice models with latent variables are better than the model without latent variab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Models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정보행태 연구 분야에서 협동적 정보행태 모형의 비교·분석 연구)

  • Lee, Ji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3
    • /
    • pp.183-205
    • /
    • 2013
  • A number of studies and models have focused on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CIB) in various contexts a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CIB is recognized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models of CIB developed by Prekop (2002), Reddy and Jansen (2008), Shah (2008), Karunakaran, Spence and Reddy (2010), and Yue and He (2010), and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of CIB. The future research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models on CIB are to extend research object and context, to do holistic research approach tracing complexity of CIB, and to debate and verify the models of CIB. In particular, it needs to modify and improve the models based on the empirical research for domestic context.

The Study on Modeling of operational behavior in normal cogeneration systems (상용열병합발전시스템의 운전행태 모형화에 관한 연구)

  • 권혁민;정찬교;정근모;최기련;박문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4.11a
    • /
    • pp.105-110
    • /
    • 1994
  • 국내 총 71개 상용열병합발전업체를 대상으로 운전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모형화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 이에 응답한 46개 업체의 운전행태를 분석해 보았으며 이들을 다시 10개 업종으로 구분하여 해당 업종의 전력수요량, 발전량, 수전량의 계절별, 시간대별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기준치를 이용하여 향후 전력예측의 자료를 제공하였다. 업종별 발전행태에 의한 5개의 모형과 용량에 따른 5개의 모형을 도출하여 전원개발계획시 분산형전원을 고려할 수 있는 토태를 마련하였다.

  • PDF

Route Choice and Diversion Behavior Models of the Drivers Commuting to a University (대학출근운전자의 노선선택 및 전환행태 모형)

  • 김경환;김태형;서현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87-100
    • /
    • 2000
  • 각 지역특성에 맞는 ATIS사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 통행자들의 노선선택 및 전환행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학출근운전자들의 노선선택 및 전환 행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을 모형화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의 경우, 2개의 주 출근노선이 있으며 하나는 시내통행노선(노선 1)이고 다른 하나는 시외곽 통행노선(노선 2)이다. 노선1은 노선2에 비해 연장은 짧은 반면에 통행시간은 길며 신호교차로수. 우회전수도 많다. 먼저, 운전자의 노선선택행태모형을 통해 해석된 결과를 보면 시내노선에 대한 외곽노선의 상대적 효용이 아주 높으며, 전체적으로 출근운전자들은 짧은 통행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근소요시간이 길고 라디오정보의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시내노선을 이용할 확률이 크며, 반면에 남성과 교직원인 운전자는 외곽노선을 이용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행태조사에 기초한 노선전환행태모형을 통해 해석된 결과를 보면 연령, 출근시간, 라디오정보의 이용빈도들이 전환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상의 교통정보제공시의 운전자의 노선전환을 모형화한 노선전환의사모형에서는 대개의 정보에 대해 운전자가 노선전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에서 지체길이에 따른 전환경향을 보면 지체의 길이가 길수록 전환경향이 높아 30분정도의 지체길이에서는 반드시 변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 운전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기술적인 유고(Incident)정보보다는 정량적인 지체정보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aggregate Logit Models from Choice-Based Freight Data (선택기반 화물데이타를 이용한 개별로짓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Nam K.C.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7 no.1
    • /
    • pp.25-42
    • /
    • 1993
  • 지난 20여년간 화물수송 분야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수송 공급 측면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기술적으로 앞선 수송수단들이 등장했으며, 수송 수요 측면에서는 로지스틱스 개념의 도입으로 화주들의 보다 높은 수송 서비스가 요구 되었다. 수송수단의 수송 분담에 있어서도 특히 철도에서 공로로의 두드러진 화물이동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송 현안 해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화물수송수요 예측기법의 이론적, 개념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그 중 두드러진 발달은 화주의 행태를 반영하는 행태모형의 개발과 새로운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형태이다. 전통적으로 화물수송 및 교통 연구에 널리 사용된 행태모형은 확률표본을 사용하여 왔으나, 80년대 부터 비확률 표본 사용에 관심이 높아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들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제한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자료자체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화물수송 분야에서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두 편이 발표 되어 있다. 따라서 볼 연구는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선택모형의 잠재력을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네 종류의 제조품 그룹을 대상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수집하여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추정결과를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 하였다. 추정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직관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그 결과는 문헌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수송계획에 있어서 자료수집비용 절감의 필요성을 생각할 때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Model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정보추구행태모형의 비교 연구)

  • 사공복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0 no.1
    • /
    • pp.93-119
    • /
    • 2003
  • Model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ere reviewed and analyzed. General models which could be utilized in designing empirical research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ere suggested. On general models of information seeking, applicable in multiple contexts. occupations, roles, and knowledge domains were focused. The models by Wilson. Krikelas. Dervin, Ellis. Kuhlthau, Leckie, and Johnson were examined chronologically.

Development of Pedestrian Delay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보행자 지체모형 개발)

  • Chang, Hyun-ho;Yoon, Byoung-j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2
    • /
    • pp.283-294
    • /
    • 2018
  • An accurate pedestrian-delay model is essential for the pedestrian-oriented evaluation of signalized intersection (SI). The crossing behaviors of pedestrians at signalized pedestrian crosswalks (SPCs) are various, and their arrival behaviors consist of two types, random and platoon. It is natural, hence, that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arrival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stimate accurate pedestrian delay. Despite this necessity, a simple pedestrian-delay model that cannot explain these behaviors of pedestrian movements is still recommended in Highway Capacity Manual (HCM). For these reasons, a pedestrian-delay model, suitable for various SPCs and SIs, is required to make pedestrian-oriented decisions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arious SPCs and SI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pedestrian-delay model that is based on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arrival.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wo sub models: the one for SPC and the other for SI. The SPC delay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during pedestrian green time. The SI delay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platoon arrival. The results of a numerical simulation showed that the proposed delay model can successfully overcome the under- and overestimation problems of the HCM model with explaining various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arrival.

A MODEL SYSTEM FOR NON-WORKER'S DAILY TRAVEL DEMAND BASED ON DISAGGREGATE BEHAVIOURAL MODEL (개별 로짓 모형을 이용한 비취업자의 1일 통행행태에 관한 연구)

  • 배영석;김태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8 no.1
    • /
    • pp.89-102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개별모형(disaggregate model)을 이용한 도시권의 교통수요예측 모형체계의 구축을 최종목적으로 하며, 그때 개인이 1일 중에 행하는 복수의 트립에 관한 의사결정간의 상호관계를 적절히 고려함에 의해, 되도록 개인의 교통행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함과 동시에 모형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논리성과 실용성이 잘 조화된 모형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모형의 체계는 비취업자와 취업자 각각의 1일의 통행행태유형의 선택에 관한 2개의 Sub-model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논문은 그 Sub-model중의 하나인 비취업자의 1일의 통행행태유형(트립발생, 각 트립의 목적지와 교통수단)의 선택에 관한 개별모형의 개발을 행한 것이다. 본 모형의 특징은 tour별 효용최대화행동가설에 기초를 두어 개인이 1일 중에 행하는 각 트립의 선택행동은 해당트립의 전후에 행해지는 트립들의 선택행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여 트립간의 상호관련성을 표현하였다. 모형의 구조로서는, 모형의 취급이 보다 용이하도록 tour별 효과최대화를 트립단위의 단계형 모형으로 표현하는 nested logit model형의 수차동시효과최대화 모형을 구축하였다 실제의 도시권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별개모형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 PDF

공항 접근 교통수단선택 효용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및 민감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지홍;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61-261
    • /
    • 1998
  • 교통계획의 목적은 교통체계를 분석하여 교통과 활동간의 상호작용을 효율화시켜 도시 및 지역사회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으며, 합리적인 교통계획을 수립하여 한정된 투자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교통수요에 대한 합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교통수요예측의 접근방법은 미시적인 개별적 접근방법과 거시적인 집단적 접근방법으로 구분되며, 다시 모형화 기법이 결정적인가 확률적인가에 따라 개별결정적, 개별활률적, 그리고 집단결정적, 집단확률적 모형의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일반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2가지 형태는 집단결정적, 개발확률적 모형이다. 집단결정적모형은 전통적 교통수요예측모형에 해당되며, 개별확률적모형은 1970년대 Mc Fadden을 시작으로 Ben-Akiva, Manheim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 행동선택 이론에 근거한 개별행태모형이 이에 해당된다. 개별행태모형은 개개인의 통행행태를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개개인은 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하고, 비용과 관련한 통행행태는 거시적 수준에서의 주어진 제약 조건과 관계가 있으며, 의사결정은 확률분포에 의해서 결정되는 효용원칙(Efficiency Principle)에 입각하여 해석한다. 도시내와 도시간, 취업자와 비취업자, 출퇴근 시, 목적별 등의 여러 가지 통행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들을 사용하여 교통수단 선택모형의 파라메카 값을 추정하고 통행패턴을 분석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행태모형인 로짓모형 중에서 집단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통행 중 공항시설의 접근에 필요한 교통수단 효용함수의 파라메타 값 추정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행시간, 통행비용이라는 변수를 공통으로 두고, 대중교통의 경우에만 해당하는 환승이라는 특정대안변수(Specific alternative variable)를 첨가하여 그것이 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대중교통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지하철과 버스를 하나의 대안으로 묶어서 효용함수를 구한 다음 다시 승용차, 택시, 대중교통을 독립된 대안으로 두고 모형을 정립하는 NESTED LOGIT모형으로 파라메타를 추정하여 대중교통의 효용에 관해 분석·비교하였다. 본 논문에 이용된 자료는 공항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면접조사한 자료이며 대상 교통수단은 승용차, 택시, 지하철, 버스로 설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