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정DB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Improvement of Administration Information Dataset Transfer Tools 'SIARD_KR'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이관도구 SIARD_KR의 개선방안)

  • Byeon, Woo-Yeong;Yim, Ji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1
    • /
    • pp.195-217
    • /
    • 2022
  • SIARD_KR is an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preservation tool. It is a partially modified version of SIARD, technology used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relational databases developed by the Swiss Federal Archives, to suit Korea's situation bett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how SIARD is able to effectively extract all data contained in the relational database without loss. However, not all data contained in the database is meaningful information, that is, an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This paper began, therefore, wit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whether SIARD_KR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SIARD_KR is not only a tool for extracting data stored in the DB. We want to see if it is capable of identifying and extracting only meaningful information, and maintaining meaningful information, even if it is separated from the origin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IARD_KR, identify expected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them.

Analysis of Wage Determinants of Care Workers (요양보호사 임금결정요인 분석)

  • Na, Young-Kyoon;Jeong, Hyoung-Sun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29 no.4
    • /
    • pp.496-501
    • /
    • 2019
  • Background: In this study, wage status and wage determinants of care workers were analyzed. Methods: The analysis used database (DB)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DB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DB of long-term care workers, DB of health insurance qualification, and contribution possess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We analyzed the wage status of the care workers from 2009 to 2016 through basic analysis and estim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wage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care workers using pooled ordinary least squares. Results: The monthly average wage of care workers was raised from Korean won (KRW) 1.37 million in 2009 to KRW 1.52 million in 2016, and the working hours were shortened by 20 hours from 207 hours to 187 hours. Hourly wages increased by KRW 1,329 from KRW 6,831 in 2009 to KRW 8,160 in 2016. The average monthly wage of care workers was affected by gender, age, years of employment, monthly working hours, establishment type, city size, institutional size, the grade of the institution, and management status. In particular, the wage level of the care workers was high when the larger the size of the institution, the better the management status (fill rate), the establishment type is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nd "corporation," the institutional rating is high, and the facility manager has the first grade of the social worker license. Conclusion: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ggressive policie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care workers as well as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so that there will be more long-term care facilities that are guaranteed social publicity above a certain level.

A Study on a Maintenance Model focused on Updating Process in GIS Databases (GIS DB의 변동자료 발생원인을 고려한 유지관리 모델 연구)

  • 김도훈;고광철;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07-413
    • /
    • 2004
  • GIS는 '단번에' 효과가 나타나는 다른 전산시스템과는 달리 최소한 3~4년의 손익분기점을 가지는 기술인 만큼 효과적인 운영이 중요하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자료의 최신성을 확보할 수 있는 DB의 지속적인 유지관리 활동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는 대부분의 GIS 활용체계는 준공과 동시에 운영과 유지관리 차원에서 적절한 대처를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 손익분기점 달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지자체 GIS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각 시스템에 맞는 실질적인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는 그렇지 못한데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원적인 문제점은 실제 유지관리 활동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 더욱 크다고 하겠다. 실제로 모든 사업추진과정에서 정해진 방법론에 의해 유지관리방안을 마련하게 되어 있으나 아주 형식적인 수준에서의 언급이 대부분이고 지자체라는 행정기관의 특성과 지자체 GIS의 주된 대상이 공사 및 시설물 관리와 관련되어 있다는 업무적 특성은 전혀 배제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제로 GIS DB의 유지관리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만 하는 것일까\ulcorner 이 질문에 대한 접근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GIS DB의 갱신이 일어나는 발생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발생원인의 특성과 행정기관의 특성을 적절히 연계시켜 유지관리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 유지관리 후 활용체계 정비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변동자료 발생원인의 분석’, ‘명확한 변동자료 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 PDF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PMIS Effectiveness Measurement - Focusing the Administration DB Construction Projects -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중심으로 -)

  • Kang, Dong-Seok;Yoo, Si-Hy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6D no.3
    • /
    • pp.417-422
    • /
    • 2009
  •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validity of indicators assessing PMIS(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in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practical affairs. As people inves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IT) or IT system, private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investment in IT and it's business value. Moreover, the need of evaluating effectiveness on the investment in IT with the limited national budget are on the increase in public s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struct of PMIS(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so that we systematically compare and measure performance of public informatization project processed by each public organizations. It needs to develop indicators and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m. we verified the construct validity of indicators assessing PMIS(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on the Administration DB Construction Projects.

Applications Using Smartphone Study of the Levee Inquiry System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제방조회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Kang, Kyung-Seok;Park, K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22-626
    • /
    • 2012
  • 우리나라의 물관련 정보와 관련된 시스템은 국토해양부 및 관련 기관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고유의 업무성격에 맞춰 구축 및 운영, 개발 중에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은 치수, 이수, 환경 및 생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치수적 측면에서 제방관리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취득이 어렵고 기구축된 시스템의 DB간 상호 연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IT 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자원분야의 정보화 환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방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인 하천일람의 "하천이력관리체계", 유역조사사업의 "WAMIS", 하천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RIMGIS"의 관련자료를 분석함으로서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를 구축하고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한다. 제방 명칭, 행정구역별, 하천별, 수자원단위지도별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여 국가홍수관리시스템 구축 및 대국민정보제공 활용 및 관리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Jumplementation & Design of the Adminstration Management System for Easy_SRP System vl .0 Functions P. M. High school (초중고등학교 행정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축 사례 Easy_SRP System v1.0의 기능)

  • 최성;최장익;김승찬;김호성;이종욱;최현식;오영갑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207-210
    • /
    • 2001
  • 현재 초ㆍ중ㆍ고등학교(이하 ‘학교기관’ )에서 쓰이고 있는 기존의 수작업 방식의 회계관리와 DOS 방식의 행정전산관리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벗어나 새로운 GUI 윈도우 체계의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어 본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학교기관에 납입해야 할 모든 납부금, 급식비, 장부관리에서부터 수입, 지출 등 학교에서 쓰이는 회계부분의 수작업을 모듈화 및 집약화하고 누구나 쉽게 운영할 수 있는 행정관리 시스템, 일괄처리로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DB를 이중모드(사용자 모드와 관리자모드)로 분리, 보안문제를 보충하고, 문서의 표준화로 정보교류의 용이하다. 전국 학교기관의 회계운영방식을 표준화하여 구축 설계하고, 초보자 입장을 지향한 순차적 처리방식과 회계관리의 중복처리를 집약화 하여 구축하였다.

Database Construction &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River Corridor Survey Map (하천수변조사지도 DB 구축 및 관리 시스템 개발)

  • Yoon, Jae-Min;Kang, Kyung-Seok;Jee, Gye-Hwan;Oh, Kyu-Chang;Kim, Jung-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05-2009
    • /
    • 2008
  • 하천수변조사는 하천수변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 파악과 이들의 상호 연관성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정이다. 하천수변조사는 치수 및 이수기능뿐아니라 하천환경 기능을 보전, 재생 및 복원시키고자 하는 하천정비사업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천정비기본계획, 하천환경정비사업 등에서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집된 자료의 형태가 대부분 도면이나 이미지 형태로 관리되고 있어 향후에 수변의 변화 상태를 갱신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권역내의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수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의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천수변조사지도 DB 구축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단기적으로는 하천환경정비시 보전 및 복원 방향의 설정, 하천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공사 진행에 반영, 공사 과정 중에서 하천의 반응상태를 파악하여 사업진행이나 방식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성 전후의 하천환경 및 생태변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자연친화적인 하천환경 관리를 위한 하천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the DB Design Standard for Submitting Completion Drawings for Auto-Renewal of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지하시설물정보 자동갱신을 위한 준공도서 제출 표준DB 설계 연구)

  • Park, Dong Hyun;Jang, Yong Gu;Ryu, Ji S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8 no.6
    • /
    • pp.681-688
    • /
    • 2020
  • The Under Space Integrated Map has been constructed consistently from '15 construction projects until the present time in an effort to implement the "ground sinking prevention method"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The constructed Under Space Integrated Map is utilized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person in charge at local government through application of the system of underground information based on the administrative network and to deliver this to specialized underground-safety-effects -evaluation organizations through map extraction based on a floor plan. It suffers from a limitation in its practical use, however, since information is only provided, without promoting a separate renewal project. Although in Section 1 of Article 42 in the Special Law Concerning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the content pertaining to submission obligations of completion drawings related to underground information including change and renewal are stated explici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ubmission is not sufficient since a submission window based only on the administrative network is operated. Accordingl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structed an online system for submitting completion drawings, in an attempt to change the method by which entities involved in underground development directly submitted completion drawings. In this study, a DB standard relating to submitting completion drawings was designed and applied in order to construct an auto-renewal system based on submitted completion drawings, which will be extended to cover the range to underground structures hereafter.

The Effect of Income Support Allowance for Care Workers on Their Wage Increase (요양보호사 처우개선비 정책이 임금인상에 미친 효과)

  • Na, Young-Kyoon;Jeong, Hyoung-Sun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30 no.1
    • /
    • pp.92-99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come support allowance policy for the care workers on wage level. Methods: The analysis data was constructed using database (DB)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DB of long-term care personnel status, and DB of health insurance qualification and contribution possess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We analyzed the wage status of care workers 2009 to 2016 through basic analysis. We used the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method for the workers who worked in the same institution from 2012 to 2013, The effects of the income allowance policy on wage increase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net effect of the income support allowance policy, the monthly average wage of the care worker increased by 25,676 won and the hourly wage increased by 478 w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come support allowance policy has achieved some of the goals of raising the wage level of the care workers, and the effect of raising wages for other occupations in the long-term care business can be confirmed. Conclusion: The low wage problem of long-term care workers such as care workers is not the only problem in Korea. In other countries, there are various wage support policies for employe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improvement in the treatment of care workers in Japan and wage pass-through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o wages, there is a need to promote policies to provide employment motivation through efforts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and improve their job status and career development for employe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mprovement of CSVR used for Flood Damage Estimation based on Insurance Claim DB (침수피해액 추정을 위한 CSVR의 보험 Claim DB 기반 개선)

  • Baek, Chun Woo;Roh, Jin Yong;Lee, You Me;Park, Hong Gyu;Bae, Yo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3-193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거대 자연재해 발생의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 주요정부기관, 보험사 및 연구기관 중심으로 자연재해 피해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침수사고 인한 피해는 건물은 물론이고 가재도구, 재고자산, 기계시설 등의 내용물에서도 발생하며, 건축물 신축단가 등을 이용해 비교적 쉽게 자산가치를 산정할 수 있는 건물구조물과 다르게, 건물내용물의 자산가치는 시설물의 업종, 용도, 사용자 특성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큰 특징이 있다. 내용물의 피해액 추정을 위해 자연재해 피해예측 모델은 건물 구조물과 내용물 가치의 비율인 CSVR(Contents to Structure Value Ratio)을 사용하며, CSVR은 시설물 용도에 따른 자산가치평가 통계를 이용해 산정할 수 있다. 충분한 자산가치평가 DB를 확보할 경우 CSVR의 정확도 확보가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민간보험사의 재물보험 계약 4만여건의 건물, 내용물 보험가입금액을 행정안전부 도로명전자지도에서 분류하는 건물 용도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험가입단계에서 대략적으로 추정하는 보험가입금액과 실제 자산의 가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보험가입물건의 실제 자산가치는 일부만 DB화 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 발생 후 작성되는 손해사정보고서에서 평가한 정확한 자산가치 DB를 수집하여, 보험가입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CSVR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손해사정보고서에서 평가한 실제 자산가치를 기준으로 분석한 CSVR과 보험가입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CSVR은, 업종에 따라 유사하거나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며, 침수로 인한 정확한 피해액 추정을 위해서는 보다 양질의 DB확보를 통한 CSVR의 정확도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