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복 지수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기수련과 스트레스반응척도 및 행복지수의 관계 고찰 (The Connection between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Happiness Index(HI), and Qi-training)

  • 박선영;최철홍;이은경;정대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5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Happiness Index(HI), and Qi-training to find out the meaning of Qi-training on anti-stress. Method: The study group was consisted of 35 subjects training Qi and 179 subjects not training. We bad all subjects to reply to demographic questimnaire, SRI questimnaire and HI questimnaire. We made the Qi-training group write the kinds and periods of Qi seperately. Results and Conclussions : 1. The higer Happines Index score, the subjects bad lower Stress Response Iuventory total score. Each details were connected significantly. 2. The Qi-training group's mean SRI total scores and ill scores were higer than the non-training's significantly. 3. In Qi-training group, mean HI scores get higer as training longer.

  • PDF

건강도시 인식정도와 개인행복지수의 관계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a Health-Cities and Personal Happiness)

  • 남희은;이미란;김혜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5-185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individual happiness exponent according to local residents' perception degree of Health-Cities. The data, which is accumulated by the survey on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erception degree of Health-Cities targeting 662 of local residents living in Y-gu in Busan,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happiness index and cognition degree of Health-Cites indicate that the higher perception of Health-Cities'facilities, administrations, services, education, health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the local residents have, the lower individual happiness index they acquired. The cognition degree of transportation has effects on local society and daily life; the cognition degree of facilities and businesses has impact on financial stability. The cognition degree of administrations has influence on psychological relaxation, services have meaningful effects on psychological stability, work and residence, education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psychological stability, families and marriage, individual human relationships in respect.

간호사가 지각한 간호조직문화와 행복지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Index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 김경남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1-7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index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7 nurses who were working at 3 general hospitals in B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1 to August 28 of 2013.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0.0 using descriptive method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r affili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137, p=.008), happiness index(r=-.290, p<.00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r innov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123, p=.017), rank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126, p=.015), task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218, p<.001). Factors affecting for turnover intention were happiness index(${\beta}$=-.297, p<.001), rank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beta}$=.266, p<.001), nursing experience(${\beta}$=.199, p=.009), affili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beta}$=-.142, p=.034). The explained variances for were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17.2%. Based on the study consider to development and education program of happiness index and affili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nurses in the hospital setting.

아동·청소년의 BMI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인식 연구 (According to the BMI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ating-Lifestyle Habits, and Recognized Study)

  • 이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65-27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의 비만실태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과제중 '2009 한국 아동 청소년 온라인게임 및 가족여가활동실태조사' 연구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활용 대상자는 초등학생 2,778명, 중학생 3,385명, 고등학생 3,299명 총 9,4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BMI에 따라 그룹화 하였다. 저녁식사 후 간식 섭취는 18.5>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8.8%, 18.5${\leq}$BMI<23.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1.1%, 23.5${\leq}$BMI<25.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0.1%, $25{\leq}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7.4%로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p=0.001).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지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높은 그룹 일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시간 등과 같은 시간에 적극성을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낮은 그룹 일수록 적극적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위사람과의 식사 속도 역시 BMI 지수가 높은 그룹일수록 식사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청소년 시기에 올바른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보다 건강하고 윤택한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 청소년기의 올바른 인식과 생활습관을 갖추도록 해주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 청소년은 물론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M'의 재앙: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일과 삶의 균형과 정책 방향 (Curse of 'M': Work-Life Balance and Essential Development of Policies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 김경희;유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16-431
    • /
    • 2016
  • 웰빙(well-being)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중요 정책이 되고 있다. 대표적 국제기구들 중 하나인 OECD는 GDP가 더 이상 국민들의 행복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그 대체지수로서 더 나은 삶 지표(Better Life Index)를 고안하여 세계 각국에 권고하고 있다. 그 지표들 중 하나인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은 부양가족을 지닌 근로자들의 행복을 위한 매우 중요한 지표들로 간주하여 11개의 지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일과 삶의 균형 지표는 다른 지표과 비교했을 때 공동체 지표와 함께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일과 삶의 균형에서 당면한 문제와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과제는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의 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 근로자들이 처해있는 한국사회 고유의 특성과 일과 삶 균형에 관련된 정책은 어떠한가, 셋째, 기존의 관련 정책을 한국 사회의 특성에 맞춰 어떻게 변화 또는 발전시켜야 하는가이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부 차원에서의 문화적 접근이 부족했다. 즉 적극적 캠페인을 통해 전통적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려는 실질적인 노력이 없었다. 회사 차원에서는 권위적인 조직 문화를 역이용하여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근로시간의 준수, 출산 및 육아휴직의 사용을 회사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권고하는 것을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일하는 여성이 직장인과 엄마 역할 사이에서 갈등하는 상황을 남편 및 가족의 이해와 지지로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족지원책이 필요한 것이다.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대한 프로파일 탐색 (A Study on the Profile Analysis of Types of Adolescents' Stress)

  • 임채영;염동문;정현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213-23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변인의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조사(2013)' 횡단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9,521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유형에 대한 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와 잠재계층 분류율에 따라 2개 계층 유형이 선택되었다. 1유형은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저위험집단으로, 2유형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상대적 위험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저위험집단을 기준으로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와 행복 정도가 낮을수록, 가출경험이 있을수록, 학업성적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사정이 낮을수록 상대적 위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생은 가출경험과 학업성적수준에서, 고등학생은 학업성적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전체 청소년에서 모두 저위험집단에 비해 상대적 위험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행복정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가정교과의 인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recognition measurement of Home Economics Subject)

  • 백민경;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1-116
    • /
    • 2012
  • 이 연구는 가정교과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개방형 질문지조사,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사, 예비조사의 3단계를 거쳐 조정된 문항을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4집단(중 고 학생, 학부모, 가정과교사, 교육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hi}^2$ 검증과 그 지수로서 Cramer의 V계수를 산출한 결과 총 57개 문항으로 수정되었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척도는 8개의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8개 요인의 전체 설명력은 57.439%였다. 8개 요인은 '인간의 성숙과 사회적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실천적 교과', '전 생애에 걸친 광범위한 교양을 쌓는 교양교과',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를 주도하는 생활문화 교과', '독자적인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구축과 적극적 홍보가 요구되는 교과', '생활의 과학적 지식과 기본 능력을 길러주는 생활교과', '실생활의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고 실생활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응용교과', '사회적 편견으로 교육적 당위성에서 소외되고 있는 교과', '행복한 삶의 설계에 기여하는 행복 디자인 교과'로 명명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개인 및 집단이 가정교과에 대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타당한 잣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가정교과가 필수교과로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집단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도를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치과의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치과위생사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f dentist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 김나연;배현숙;강유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3-26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affects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21 dental hygienists that have been working at dental clinics or dental hospita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IBM Co., Armonk, NY, USA).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index according to upper and lower group based on the mean score for servant leadership.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key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However, a stewardship of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factors was not found to have any correlation with the market cultur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including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Meanwhile, the stewardship and community-building effect of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Consequently, a higher servant leadership factor in dentists was correlated with a higher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The findings show that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affect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Therefore, effective intervention and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and sou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necessary to enhance dental hygienists' happiness index. Additionally, a follow-up study will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dentist's servant leadership,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happiness index of dental hygienists, considering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environment of the dental clinics.

셀프 라이프코칭 앱(App) 개발을 위한 앱의 웰니스 증진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Wellness-Enhancing Effect of an App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lf-Life Coaching App)

  • 김광용;김종완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15-28
    • /
    • 2023
  • 행복은 개인들이 추구하는 삶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 증진을 위해서 개인들이 스스로 자신의 웰니스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셀프 라이프코칭 앱의 웰니스 증진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총 36명의 참여자를 실험집단(1·2)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연구용 앱을 활용해 4주간 셀프 라이프코칭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처치 중 주간 피드백을 실험집단1에는 제공하고, 실험집단2에는 제공하지 않았다. 종속변인으로 노동자를 위한 웰니스 지수(WIW)와 한국형 웰니스 척도(KWS)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사전, 사후, 추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효과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주간 피드백 유무에 따른 실험처치 효과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시간에 따른 웰니스 증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실험처치가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가 선형적임을 확인하였다. 참여의견 조사 결과, 참여자의 84.2%가 이번 활동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78.9%가 상용화된 앱이 있다면 1주 또는 2주에 한번 사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누구나 스스로 자신의 웰니스 증진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를 일정 부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인 가구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광주지역 1개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Targeting One Gu in Gwangju)

  • 김화진;김경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6호
    • /
    • pp.115-12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o analyse the differences and effects of related variables(sociodemographic variables, characteristic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happin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based on quota sampling that considers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in each dong of one Gu in Gwangju. Finally, data of 686 single person household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was 6.47 points, it was somewhat higher as compared to prior research that was targeting general households. And the average score of happiness index was 4.17 points, depression was 33.11 points.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occupation,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period of single life, life satisfaction, and contact with family. In addition, the level of depression(${\beta}=.24$, p<.01) had the bigges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it was followed by happiness index(${\beta}=-.19$, p<.05) and family visit(${\beta}=-.15$, p<.05).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7%.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find a high mental health risk group and treat it early,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ingle person households might have mental health problems by being isolated or alienated from society. In addition, diverse program and services designed to maintain familial bonds despite family members living separately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