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초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5초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 잘피 ($Zostera$ $marina$ L.)의 성장에 따른 부착생물의 군집 변화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 Variations of the Epiphytic Community and Biomass Related to the Host Plant ($Zostera$ $marina$ (eelgrass))

  • 정미희;윤석현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62-372
    • /
    • 2011
  • 본 논문은 잘피의 성장과 부착생물과의 관계, 그리고 부착생물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실시된 연구로서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에서 1998년 7월에서 1999년 7월까지 총 13개월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잘피 잎의 면적과 부착 생물의 현존량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부착가능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부착생물의 현존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해초의 외적인 성장이 증가할수록 부착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시간적 가능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부착이 가능한 면적이 확대되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2) 부착생물의 건중량에 대한 무기물량 및 유기물량의 비율과 엽록소 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때, 부착조류의 경우 석회홍조류나 규조류와 같이 무기물의 비율이 높은 조류의 현존량이 녹조류나 갈조류와 같은 조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독립영양지수 (AI, Autotrophic Index)를 통해 살펴본 부착생물의 군집은 약 2개월의 종속영양군집이후 1개월의 독립영양군집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으나, 독립영양생물을 위주로 한 군집의 유지기간이 짧고 지수의 값이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유기물질 또는 미생물 등을 위주로 한 종속영양생물의 군집이 우점한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벽체 수리 기록과 시기별 시공기술 고찰 (A Study of the Wall Repair Record and Construction Technology of Geungnakbojeon Hall at Muwisa Temple in Gangjin)

  • 홍은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140-155
    • /
    • 2020
  • 본 연구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수리 자료, 행정 문서 등의 분석을 통해 시기별 벽체 수리 내용을 살펴보고, 건물에 설치된 벽체의 재료와 시공기술이 어떠한 차이점 및 공통점을 갖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체 수리 시기는 1935년, 1956년, 1982~3년 이뤄진 수리를 대상으로 그 전후 시기의 과정을 함께 분석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35년 해체 수리 시 진행된 벽체공사에서 외엮기는 원래의 것을 준수하고, 초벽·재벌·정벌은 기존과 다른 재료가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벽체의 구성 재료에는 초벽은 점토, 석회, 강사, 재벌은 모래, 회반죽, 정벌은 회반죽과 해초풀이 사용되었다. 둘째, 1956년 수리 시 확인한 벽체의 외엮기 구성 방식은 껍질째 가는 잡목을 가로·세로외로 사용하였고, 새끼줄을 이용해 대각선으로 엮는 방법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측면 벽체 훼손 상태를 통해 벽선과 유사 크기의 중깃이 상·하인방에 결구된 방식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1982~3년 수리공사에서는 외엮기 방식은 재래의 수법을 따른다고 하였고, 직접 피운 생석회(소석회)와 모래, 황토, 여물, 해초풀을 섞어 회사벽을 구성하였다. 넷째, 시기별 수리공사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외엮기 방식은 1900년 이전의 방식이 명확하였으며, 초벽에 사용된 재료는 1935년 이후 재료의 변화가 있었다. 다섯째, 수리별 사용되는 재료는 달라졌지만, 각 공사마다 유의할 점에 대해 표기한 부분에서 문화재 수리 원칙에 대한 공통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판 건 해초류(미역, 김, 다시마 등) 중 아황산염류 함량 조사 (Sulfates Contents Survey on Dried Seaweeds in Market)

  • 함희진;김무상;김명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0-343
    • /
    • 2000
  • 서울시내 건 해산물 도매시장인 중부시장으로 반입되는 건 해조류에 대한 아황산염류 함량을 조사한 결과 30ppm 이상을 함유하는 검체가 0.19%(2/1063)이었고, 건 미역 2건에서 171.4ppm. 295.7ppm으로 모니어-월리암스 변법에 의한 검사 결과 나타났다. 아연분말 환원법에 의한 간이 검사 결과에서는 아황산염류 함량 1-30ppm인 경우가 전체 1063건 가운데 54건으로 5.08%를 차지하였고, 품목별로는 김 28건, 건 미역 27건 그리고 다시마 2건에서 단응을 보여 이들 품목들의 가공에 아황산염류가 문제시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앞으로도 건 해조류에 대한 아황산염류 등 첨가물 검사가 강화되어야만 안전한 건 해조류가 시민에게 공급될 수 있으리라고 보여진다.

  • PDF

동대만과 오지리 연안에 서식하는 해초(Zostera marina)내 질소함유율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Nitrogen Dynamics of Zostera marina Inhabited in Dongdae Bay and Ojiri)

  • 김민섭;이성미;신경훈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186-194
    • /
    • 2006
  • Nitrogen dynamics of Seagrass Zostera marina were investigated in both Dongdae Bay and Ojiri from March to August, 2004. All seagrass samples were separated into four fractions such as leaves (new and adult), sheath and rhizome in order to understand temporal variations of nitrogen content in different fractions of Zostera marina. There are temporal variations of shoot production rates and total nitrogen contents in their different fractions at both study areas. Leaf production were almost 4 to 5 fold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The irradiance is the primary factor controlling the leaf production of Zostera marina in both sites although water temperature also influence its productivity. Nitrogen contents of leaves were overall low in summer than in winter, but nitrogen content of rhizome increased during the summer season. In addition, nitrogen contents of new leaves were mostly higher than adult leaves in spite of lower nitrogen content of new and adult leaves in high productivity period. This result suggests that Zostera marina seems to have significant translocation ability of nitrogen in a shoot. The nitrogen content of leaf tissue may reflect nutritional nitrogen availability.

마이크로네시아 연방 축 라군의 해초지와 맹그로브 군락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 (Meiobenthic Community Structures on the Sediment of Seagrass Bed and Mangrove Forest in Chunk Lagoon, Micronesia)

  • 민원기;김동성;권문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13-23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eiobenthos on the sediment of the mangrove forest and seagrass bed in the Chuuk lagoon. The samples were collected by an acryl corer at 14 stations. Nematodes were the most abundant meiobenthos, followed by ciliophorans and polychaetes; these taxa comprised more than 70% of the total abundance at all stations. The meiofuuna sampled in seagrass bed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of mangrove substrates. Total densities were higher in mangrove stations than other sites, averaging 1,671 to $2,967inds/10cm^2$. Densities in seagrass area ranged between 605 and $1,053inds/10cm^2$. Biomasses, however, were higher in seagrass bed $(975-2,167{\mu}g\;free\;dry\;weight/10cm^2)$ than in mangrove area $(1,064-1,180{\mu}g\;free\;dry\;weight/10cm^2)$. Ordination chart by MDS of major meiofaunal density in each station showed difference between mangrove area and seagrass area in terms of habitat of meiobenthos.

수중 양식과 탐사를 위한 LED 녹색평판조명램프 (Green Panel Lighting Fixture of LED Lamp for Aquaculture and Marine Aquanautics)

  • 소현준;강상택;김재균;소대화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30-733
    • /
    • 2010
  • 본 논문은 녹색조명설비의 구현으로 얇은 패널구조의 LED 조명등을 제작하여 가로등조명, 수중배양 양식조명, 집어등 및 수중탐사의 특수조명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패널구조의 녹색조명등은 상기한 용도의 조명등으로서 매우 탁월함이 확인되었다. 그 중 집어등의 경우는, 작은 치어 등의 미세생물체와 어류의 조광이동성 및 군집 활동성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며, 수중배양 양식 조명에서는 녹색 조류, 해초, 수초 및 각종 유기체의 광합성 성장에 유용하였고, 특히 수중조명장치로서의 방수성 및 방열작용의 탁월성이 확인되었다.

  • PDF

해호말(자라풀과): 최근 한반도 연안에서 발견된 해초류 Halophila nipponica 의국명 (Hae-ho-mal, Halophila nipponica (Hydrocharitaceae), a recently discovered seagrass species on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정배;박정임;정창수;이상용;이필용;이근섭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5-57
    • /
    • 2009
  • 전라남도 여수시 안도리에 채집한 자라풀과(Hydrochariataceae)의 Halophila nipponica J. Kuo가 국내 연안에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일본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종으로 기재된 H. nipponica는 Halophila에 속하는 종 가운데 유일하게 온대 수역에 생육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바다라는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본 분류군의 국명을 해호말로 명명하였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消費者物價) 변동(變動)의 분포(分布)와 정책적(政策的) 함의(含意)

  • 유윤하;성명기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8권3_4호
    • /
    • pp.63-127
    • /
    • 1996
  •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消費者物價指數) 편제를 위해 조사(調査)되고 있는 470개 품목의 가격변동분포(價格變動分布)가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이같은 특성이 의미하는 이론적인 함의(含意)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결과 얻어진 가격변동(價格變動) 분포의 일반적 특성들은 첫째, 가격변동(價格變動)의 분포가 한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0의 값에서 압도적으로 긴 막대를 갖고 있다. 즉 대부분 품목의 가격변동이 평균보다 낮은 수준에 밀집해 있는 가운데 일부 품목의 대폭적인 가격상승이 전체 평균을 끌어올리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전체평균을 끌어올리는 품목은 대체로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 즉 외식비(外食費), 가사(家事)서비스, 피복(被服) 신발서비스, 이미용(理美容) 등과 같이 인건비(人件費) 비중이 높은 품목들과 과실(果實), 어개류, 채소(菜蔬) 해초(海草), 유란(乳卵), 육류(肉類) 등 농축수산물(農畜水産物)이 물가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품목들이다. 셋째, 인플레와 가격변동 분포의 분산(分散) 및 왜도(歪度)는 양(陽)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다. 즉 인플레가 진행될 때 상대가격체계(相對價格體系)의 심한 교란이 동반된다는 것이 확인된다. 위에서는 얻은 결과들은 가격변동이 신축적이지 않다는 것, 즉 가격변동(價格變動)에 메뉴비용(費用)이 소요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격변동에 메뉴비용(費用)이 소요된다는 사실은 최근 선진국에서 활발히 논의 또는 추구되고 있는 '제로인플레' 운동이 상당한 실증적 근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뉴비용(費用)의 절감은 물론 인플레에 수반되는 상대가격체계(相對價格體系)의 교란을 피함으로써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 PDF

침하 저감용 보강재로 보강된 인공어초 설치 지반의 거동 특성 (Behaviors of Artificial Reef Reinforced with Settlement Reduction Reinforcement)

  • 윤대호;김윤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을 저감하고자 다양한 보강재로 보강된 해저 지반의 침하 및 세굴 거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지반에 적용한 보강재는 총 3가지로서 지오그리드(geogrid), 지오그리드-대나무 매트(geogrid-bamboo mat, GBM) 및 해초-지지봉 매트(seaweed-pile mat, SPM)를 각각 보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래, 실트 및 점토 지반에 대해 지지력 실험, 대형 수조 침하 실험, 2차원 흐름 수조 세굴 실험 등 다양한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보강재의 보강에 따라 인공어초의 지지력 증진, 침하 및 세굴이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모래나 실트 지반보다 점토 지반과 같은 연약 지반에서 보강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군평선이(Hapalogenys mucron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elted Beard Grunt, Hapalogenys mucrona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ri Island, Yeosu, Korea)

  • 서호영;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8-263
    • /
    • 2005
  • 군평선이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채집된 군평선이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군평선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게류, 갯지렁이류 및 단각류순으로 중요하였다. 그 외에 이매패류, 두족류, 해초류, 집게류, 등각류, 미동정 난, 곤쟁이류, 복족류 및 요각류 등이 발견되었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전환이 뚜렷하였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10~11.9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이 높았지만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단각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한 반면, 새우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12~17.9 cm 크기군에서는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한편 체장 18~22.1 cm 크기군에서는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새우류와 더불어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