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체공법선정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QFD 기반의 해체공사 공법선정과 FMEA 위험성평가 통합 모델 (QFD-Based Integrated Model of Dismantling Method Selection and FMEA Risk Assessment for Work Stage)

  • 이형용;조재호;손보식;채명진;김현수;전재열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29-640
    • /
    • 2021
  • 2018년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주거용 건축물은 2018년 기준 약 37%에 달한다, 해체물량의 증가는 해체산업의 성장과 함께 환경 및 안전사고 등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체공법 선정에 있어 안전성, 경제성, 환경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장 적용에 가장 적합한 공법 의사결정 방법을 제시하고, 특히 해체공사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현장 공법 적용 시 위험요인에 대한 사전평가를 통해 공법선정뿐만 아니라 선정 공법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QFD 기반의 TOPSIS 해체공법선정과 FMEA 위험성평가 통합모델을 제안한다.

해체공사비 비교분석을 통한 발파해체 공법의 전망 (A Prospect of Explosives Demolition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Demolition Cost.)

  • 조태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30-138
    • /
    • 2004
  • 고층건물의 해체공사는 멀지 않은 장래에 급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의 일반적인 해체방법은 기계식해체공법과 발파해체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해체공법의 결정은 해당건물이 가지는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많은 변동요인들이 있지만 일상적인 경우라면 경제성 판단이 공법선정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해체공법 선정요인들 보다는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한 도심지 고층건물의 해체비용을 기계식공법과 발파공법으로 구분하여 산출하였으며, 이것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발파해체공법의 향후 활성화 시점을 전망하였다.

콘크리트 교각의 친환경적 해체공법 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Demolition Methods of RC Pier)

  • 이창수;권재근;정봉조;김태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97-105
    • /
    • 2004
  •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시민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에 있어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인 공법의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해체공법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환경오염의 주원인인 냉각수와 슬러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공법의 타당성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천공개수, 깊이, 크기, 그리고 자중을 변수로 선정하여 다양한 경우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자중에 따른 최적의 천공개수, 천공깊이, 천공크기를 제시하였다.

중앙 도서관 발파해체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s Demolition of Central Library)

  • 박근순;김상훈
    • 화약ㆍ발파
    • /
    • 제26권2호
    • /
    • pp.77-91
    • /
    • 2008
  • 최근 노후 건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물의 해체 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시공사례는 한남동 단국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한 중앙도서관 건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파해체공법은 Professive Collapse(점진적 붕괴) 공법을 적용하였다. 발파해체 주 발파 층은 2층, 4층, 보조 발파 층은 1층으로 선정하였다. 진동측정결과 가장 근거리(약 150m)에서 측정된 진동은 0.0302cm/sec (PPV기준)이었고 사전에 설치한 크랙게이지 측정값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대전 중앙데파트 발파해체 사례 (A Case Study of Blast Demolition at Chung-Ang Department Store in Daejeon City)

  • 민형동;박종호;송영석;박훈
    • 화약ㆍ발파
    • /
    • 제27권1호
    • /
    • pp.62-78
    • /
    • 2009
  • 최근 오래된 건축물의 재건축이나 도심재생, 자연 생태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빌딩 건축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노후화된 건축물에 대한 철거가 급증하고 있다. 건축물 철거공사 시에는 주변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고, 관련 법규를 준수하면서 수행되어야 하는데. 철거공법 중에는 여러 가지공법이 있으나 이중 발파해체 공법은 공사비용이나 안전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실용적인 철거공법이다. 본 논문은 대전천 생태 복원 사업 중의 일환으로 35년 전 대전천 상부에 복개 구조물로 건축된 중앙데파트를 철거하기 위해 발파해체 공법을 적용하여 철거를 수행한 사례이다. 본 구조물은 8층 건물로 높이는 지하층을 포함하여 총 41.6m이며, 건면적 $1,650m^2$, 연면적 $18,351m^2$ 이다. 주변에 상가 및 건물 등이 밀집한 대전시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시설물로는 대전 지하철(18m), 후면상가(20m), 지하상가(15m), 목척교와 은중교(0.25m) 및 광케이블(0.25m) 등이 있다. 본 porject는 복잡한 도심지인 점을 감안하여 발파해체 공법 중 내파공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주요 시설물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에 구조물의 붕괴 거동을 검토한 후 시행되었다. 총 80kg의 폭약과 1,000발의 뇌관이 사용되었다. 본 프로젝트는 국내 도심지에서 내파공법을 적용하여 발파해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숭의종합운동장 특수구조물 발파해체 (Explosive Demolition of Special Structure of Soongeui Complex Stadium)

  • 석철기;박훈;김래회;송영석;정우진;한동훈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108-118
    • /
    • 2010
  • 숭의종합운동장은 철근콘크리트 라멘조의 구조물로서 기둥과 슬래브, 보로 구성된 특수구조물이며, 최근까지 국내에서 발파해체를 실시한 구조물과는 달리, 구조물 내부에 슬래브가 존재하며 전광판이 있는 특수한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발파해체는 외야석 좌측구간부터 실시하고 관중석의 붕괴는 좌측부터 2열의 기둥을 1개의 블록으로 선정하여 우측으로 연속적으로 붕괴되는 공법을 적용하였고, 높이가 높은 전광판은 전도공법을 적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목적 방호재인 물주머니(water bag)를 적용하여 분진제어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숭의종합운동장 특수구조물해체는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RC 라멘조 발파해체 적용사례와 기술.경제적 성과분석 -대전 중앙데파트 발파해체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RC Rahmen Structure Explosives Demolition (Focusing Demolition at Chungang Department in Daejeon City))

  • 정민수;송영석;박윤석;허의행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99-107
    • /
    • 2010
  • 국내 발파해체기술은 저층위주로 개발, 적용되어 왔으며 1970년대 이후 건축된 고층 RC 라멘조의 내구연한으로 재건축이 필연적으로 예상돼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발파해체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저층구조물에 적용되었던 발파해체 요소기술을 고층구조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층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요소기술의 정립과 현장 적용성 여부를 판단하고, 문제점 발생 시 개선방안을 제안 해 고층건물에 대한 발파해체 기술을 개발하고자 대전 중앙데파트 발파해체현장에서 방호방법의 현장검증시험과 분진저감을 위한 물대포 현장 적용시험 및 최적천공방법 선정을 위한 요소시험을 수행해 발파해체 요소기술의 신뢰성 확보와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고층건물 철거 시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발파해체 공법을 국내 기술로 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알려 외국 철거업체의 국내 철거시장진입을 방지하고 국내 해체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BIM을 활용한 원전 해체 물량산출 방안 (Plan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for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 정인수;원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297-6304
    • /
    • 2015
  •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원전 1호기의 폐쇄가 결정됨에 따라 원전 해체가 화두가 되고 있다. 원전 해체는 우리나라에서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일로 해체 과정도 어렵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 일부분인 해체물량 또한 파악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산업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BIM 기술을 원전 해체 물량산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원전 해체 공법선정 및 공정 확립, BIM 모델링 환경 준비, 작업분류체계 구축, 객체분류체계 구축, BIM 통합모델 작성, BIM 객체에 물량 속성 배분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안은 영구정지 대상 원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부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기반한 기술확보를 통해 나아가 해외 원전 해체 사업 수주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물 분별해체 제도 도입을 위한 적용 대상 건축물 범위 설정 (Applicable Building Rang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Separation and Dismantling System)

  • 박지선;송태협;최동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89-196
    • /
    • 2013
  •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친환경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발생단계에서부터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물 분별해체공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 분별해체 제도 도입을 위하여 국내 현황을 분석하였고 국내 실정을 감안한 적용 대상 건축물 범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외 분별해체 관련 제도를 분석하였고, 국내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별 현황 조사를 하였으며 건축물 용도별 분별해체 작업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분별해체 도입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파악하였고 관련업체를 대상으로 도입의 필요성과 대상 건축물 선정 기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국내 모든 건축물을 대상으로 분별해체를 적용하는 것은 현재의 해체기술력과 경제적인 여건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고 비용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난이도 및 현장조건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비용이 다르게 책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연면적과 용도별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도입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체공사의 분진발생과 토양, 수질 오염의 특성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ust, Soil and Water Pollu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Demolition Sites)

  • 이경희;김효진;박재한;주경훈;고광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00-108
    • /
    • 2010
  • 최근 도심지의 고층건물 해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친환경적인 해체공법의 개발 및 실용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해체 시 발생 할 수 있는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계측 및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제어기술 및 대책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해체현장에서 발생하는 주된 환경위해요인은 소음 진통 분진 등이며 현재까지 어느 정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해체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량의 물에 의한 토양 및 수질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체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특성을 현장별로 비교 평가 하였고 이를 제어하기위해 사용되는 살포수에 의한 현장의 수질 및 토양오염의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오염도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나, 살포수와 대상건물에 따라 특정 오염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해체현장에서의 수질 및 토양오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사전에 우려되는 유해물질을 선정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포함되어있는 분석 자료는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건축물의 해체현장에서 발생하는 환경 위해요인의 현황을 파악하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